너와 나의 국토대장정

 

 

 

 

                            모든 길은 확정적으로 주어졌다

                            깃발은 19세기식 수염을 휘날리면서

                            쁩쁘쁘 트럼펫을 부는 구름의 입술들

                            귓전에서 따갑게 손뼉 치는 가로수 가지들

                            사흘째부터 우리는 서로 말을 잃었다

                            사흘째부터 취침 시간에는 어머니 사랑해

                            소감문에 적어야 할 명단만 늘어났다

                            잘했어 이제부터 너희는 빛나는 청춘이야

                            이마에 도장을 꽝꽝 찍으며

                            아침부터 태양은 머리 위에서 홍알거렸고

 

                            이력서 한 줄처럼

                            각자의 땅만 내려다보고 묵묵히 걸어간 동안   (P.25 )

 

 

 

 

 

 

                            국지성

 

 

 

 

                              우리에게도 집중력은 있지만

                              우리에게 집중되지는 않았습니다

                              우리에게만 집중되길 바란 건 아니었으나

                              우리의 공부와 무관한 곳에서 대학 건물은 올라가고

 

                              초고층 주상복합을 보고 온

                              할아버지는 역시 고성장 시대야, 너만은 키가 커라

                              소년의 다리를 자꾸 잡아 늘였습니다

                              관절의 부드러움을 위해

 

                              아파? 괜찮아 얘야, 노동은 유연성이라더구나

                              발라봐, 발라봐, 오일이란다, 쇼크는 없단다, 할배는 머니

                              라 부른단다, 할머니를 줄여 그리 불렀단다, 투자하면 돌아

                              오잖아, 너도 장차 여자를 만날 때는

 

                              할아버지, 제가 돋보기로 놀길 바랐셨나요

                              검은 종이를 태우는 건 재미있지만

                              선택과 집중으로 벌레를 태워 죽이긴 싫어요

                              죄송합니다, 지금도 저는 매미를 못 잡습니다, 무능합니다

                              저를 벌레 보듯 하는

                              공터에는 돋보기를 쓴 사람들이 늘어만 가고

 

                              하느님, 당신조차 이제는 시력이 나빠지셨습니까

                              골고루 비를 나누소서

                              당신이 든 태양은 돋보기처럼 말이 없다가

                              한쪽에선 폭염이,

                              한쪽에선 폭우가.  (P.26 )

 

 

 

 

 

 

                              부지깽이 소셜 클럽

 

 

 

 

 

                                누군가 엉덩이를 툭 치고

                                누군가 귀에 바람을 불어 넣고

                                벽에 붙어 당신은 후끈댔어

                                벽을 킁킁 쳐대며

                                불꽃처럼 당신은 아무 곳으로나 흩어졌다

 

                                영혼을 들쑤신 자 누구나

                                구식 사이키 조명에 따라

                                비보이의 엉키는 스텝에 따라

                                드라이아이스 연기에 갇혀버린지 오래

                                누가 단속이라고 외치면

                                모두 덜덜 얼어붙는 순간

                                당신은 혼자 잘 타는 숯덩이

                                당신 손목을 잡고 이리저리 테이블로 운반해줄께

 

                                - 다 같은 놈들인가요

                                신선한 이분을 찍어주세요, 부킹!

 

                                자정이 되면 당신의 주사는 시작된다

                                기호 1번 2번 또 몇 번을 달고

                                무대에 올라 당신은 고래고래 소리치지

                                사람들은 얼씨구나 춤추고

                                나는 먹다 버린 과일의

                                표면만 살짝 깎아 공약처럼 새 안주로 내놓고

 

                                자, 거짓말 같은 밤의 쇼가 끝나갑니다

                                집으로 돌아들 가세요

                                우리도 내일 장사를 준비해야지요

                                새벽에 야시장에서 사과 박스가 온답니다

                                안에 든 게 뭐냐구요? 제대로 안주를 달라구요?

                                어이 고릴라, 부지깽이 들고

                                이 손님 좀 저 끝방으로 모시고 가!  (P.50 )

 

 

 

 

 

                                                                -박강 詩集, <박카스 만세>-에서

 

 

 

 

 

 

 

 

 

 

 

 

2007년 《문학사상》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한 박강 시인의 첫 번째 시집 『박카스 만세』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등단 후 6년 만에 내놓는 첫 시집으로 표제작 「박카스 만세」를 비롯해 총 60편의 시를 담았다. ‘갑을사회'에서 '88만원 세대'로 살아가는 청년 세대의 비애를 현실적인 시어와 현장감 넘치는 이미지로 표현한 『박카스 만세』는 “모든 희망을 담지한 주체인 갑으로부터 국지성 혜택의 한계 조건에 연연할 수밖에 없는 을로 바뀐 삶의 내력이 심리적으로 구조화되는 과정을 리얼한 관찰과 적실한 이미지”(조강석 문학평론가)로 드러낸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박카스”, “우루사” 등 ‘피로 완화’를 연상시키는 언어들을 동원해 역으로 회복 불가능한 현대인들의 피곤함을 포착한 것이 눈여겨볼 만하다. 박강의 시 세계에서 이러한 피로를 유발하는 것은 계급적 좌절감이다. 시민에서 민중으로 올라갔다 서민으로 내려와 살아가는 서글픔을 드러낸 「위생의 제국」은 정치.사회적 주체인 시민이 역사.철학적 주체인 민중으로 고양되었다가 경제적 객체인 서민으로 전락한 것이 청년 세대가 느끼는 불안의 실체임을 보여 준다. 이러한 서민들의 마음에 내재화된 심리적 강등의 구조물이 바로 박강의 시이지만, 한편 추락을 조롱하고 낭만을 응용함으로써 한 줌 희망을 삶에 적용하는 것 역시 박강의 시다. 절망을 소망으로 이겨내는‘을’들의 노래가 우리 시대의 피로를 어루만져 줄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6-28 11:39   좋아요 0 | URL
서로서로 손잡고 이 나라 이 땅 두 발로 디디면 세상이 달라지겠지요...

appletreeje 2013-06-29 09:38   좋아요 0 | URL
예, '서로서로 손잡고' 이 땅을 함께 두 발로 걸어가다보면
세상이 달라지리라 희망합니다...

2013-06-28 13: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29 0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