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세유

 

 

 

 

 

                         밤에 바람이 세차게 불면

                         부두에 어시장이 열리지 않는다

                         오반느 길에는

                         레전드 야매 담배가 3유로이고

                         그 옆에는 싸고 맛좋은 피자집이 있다

                         로마시대 조선소 박물관은

                         재개장 날짜 약속을 몇 번이나 어겼으며

                         햇볕을 찾아 나설 때 스쳤던 사람을

                         백화점에서 다시 스친다

                         집 앞에 있던 차는

                         파로 공원 앞길에서 신호를 기다리고

                         어둑한 길가에서 돈을 찾으러 코드를 누르던 영감이

                         오늘은 바케트를 끼고 지나간다

                         소리소리 지르던 그 거지는

                         자기 벤치를 떠나 이사를 갔고

                         관광객은 여전히

                         버스에서 내리기가 무섭게 사진을 찍어댄다

                         카페의 늙은 가르송은 철물점에서 나사 못을 고르고

                         카시스에는 시를 선물로 적어주는 가게가 있으며

                         마르세유와 카시스를 오가는 버스 운전수는

                         길모퉁이 브리스 옷집으로 들어간다   (P.16 )

 

 

 

 

 

 

 

                       나는 어디에 가 닿을 것인가

 

 

 

 

                          생각나니?

                          나 원래 동주였던 거

                          릴케였다가

                          푸시킨이었으며

                          네루다였다가

                          수영이었던 거

                          두진이었던 거

 

                          시인처럼 슬픔이 깊어지기를

                          명수처럼 쓸쓸한 시가 내게 오기를

                          정만처럼 신들린 듯 시를 써대다가.....

 

                          이들 모두의 숨죽인 밤들이

                          내게 등불이었음을.

 

                          그 불빛 아래

                          나 아직 언 손을 부비우나,

 

                          사랑을 잃고도 살았으며

                          더 쓸쓸해지기 전에 발길을 돌리고

                          여전히 내일 쓸 체력을 걱정하는 중이니

 

                          나 어디에 가 닿을 것인가?   (P.22 )

 

 

 

 

 

 

                      체 게바라

 

 

 

 

 

                           게바라가 왔다

                           오래된 항구 마르세유에

                           자신의 얼굴 사진이 찍힌 가방을 팔러

                           가난한 인민들이 모두 나와

                           열광하는 일요일 아침 벼룩시장에

                           게 게바라*가 왔다

 

                           빛나던 청춘은 남아메리카 산중에 묻어두고

                           자본 폭발중인 중국 공산당과 손잡고

                           혁명이 시장을 거쳐 모드로 바뀐 걸 아느냐며

                           이 가게 저 가게 기웃댄다

 

                           그의 혁명 조국은 여전히 가난과 자부심이 넘치고

                           그의 혁명 동지 피델 카스트로는 연로하여

                           아디다스 추리닝을 입고 입원 가료중인 이때

                           세상 모든 것이 비주얼로, 모드로 자리를 바꾸는 이때

 

                           내 청춘에 꽂혀 펄럭이던 깃발은

                           현란한 비주얼의 복판에서

                           게 게바라로 팔린다

 

                           먼 곳을 바라보는 몽상적인 눈빛

                           단돈 10유로   (P.40 )

 

 

                            *Gue Guevara. Che Guevara의 중국산 유사상표.

 

 

 

 

 

 

                      전조

 

 

 

 

 

                           "아침 꽃을 저녁에 줍다"라는

                            노신의 수상록이 있었지

 

                            그 책을 읽고 싶다

                            한 번은 읽었을 텐데 내용은 전혀 기억이 없고

 

                            나는 그 책을 버린 것 같다

                            잡지 등등과 한 묶음으로

                            집 앞 쓰레기통에 내놓았으리라

 

                            ....그리고 나는 살았다

                            그리고 나는 여러 꽃들을 보았지만

 

                            내일의 꽃을 본 적은 없고

                            저녁에 그 꽃을 주워본 적도 없다

 

                            빨리 돌려본 필름 속처럼 바삐 살며

                            나는 어느 때 꽃을 잊었으리

 

                            세월이 한참을 지나는 지금

                            아침 꽃을 왜 저녁에 주워야 하는지 알게 된 지금.....

 

                           "꽃은 내일 필 것이다"

                            그래, 그 영원한 전조로서의 삶을 알 것도 같은 지금   (P.46 )

 

 

 

 

 

                                                 -손월언 詩集, <마르세유에서 기다린다>-에서

 

 

 

 

 

 

 

 

 

 

 

 

 

 

● 편집자의 책 소개

교정지를 통톡하는 내내 나는 카메라를 들고 주변을 주의 깊게 바라보는 한 남자의 초상을 떠올렸다. 나이가 실제보다 많아 보이기도 젊어 보이기도 하는, 우렁찬 듯 촉촉한 눈빛을 가진 남자. 그가 십수년 세월 동안 파리 근교와 마르세유를 오가며 응시했을 낯설지만 푸근하고, 아름답지만 쓸쓸한 어느 시간의 손때 묻은 풍경들. 이국의 지인이 보내온 염장 맞을 우편엽서 같다가도 이내 공간 경계를 넘어 똑같은 품격과 물성으로 인간 공통의 환부에서 어혈을 추스르는 물파스 같은 시선의 잔향들. 일상의 속됨과 고결함을 같은 페이지 무게로 뒤적이며 현재와 과거, 고향과 타향의 물리적 변이를 감싸려드는 느긋하고 차분한 음성의 결들…… 손월언의 시들은 내게 그렇게 보이고 들리면서 때로 크고 따뜻한 손이 되어 순전히 자워적일 수밖에 없는 영혼의 체기를 달랜다. _강정, 발문 「사는 대로 사는 거지 뭐, 죽는 대로 죽는 거지 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6-26 10:40   좋아요 0 | URL
관광객이라면 사진을 찍지 않고는 아무것 남길 수 없으니
사진을 찍을밖에 없으리라 생각해요.

길손이나 나그네라면 마음에 담을 테니
굳이 사진을 안 찍겠지요.

그러면, 어떤 사람이 시를 쓸까요...

appletreeje 2013-06-26 17:51   좋아요 0 | URL
사진을 찍든 안 찍든 저마다 바라보고 느끼고 간직하고 싶은
풍경과 마음이 있으리라..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세계와 자신을 둘러싼 공감이나 사랑 좋은 꿈 좋은 마음이
과실처럼 무르익어 자신도 모르게 밖으로 흘러 넘칠 때, 시를 쓰지 않을까요..^^

2013-06-26 12: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26 17: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