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떡

 

                                                      맹문재

 

 

 

 

                          내 손을 잡은 큰고모님은

                          말갛게 웃으신다

 

                          들일과 땔감 나무를 하느라 손이 거칠고

                          자식들 걱정에 머리가 세었지만

                          장조카를 바라보는 눈길은

                          윤기가 난다

 

                          상처나거나 상한 감자들이

                          물 담긴 독에 담겨 썩는동안 내는

                          고약한 구린내

 

                          물을 갈아주고 또 갈아주는 손길에

                          구린내는 사라지고 남는

                          햇살 같은 녹말가루

 

                          그리하여 감자떡은

                          상처도 슬픔도 냄새도 감쪽같이 지운

                          말간 얼굴이다

 

                          할머니를 닮은 큰고모님이

                          눈밭에 서 있는 내게 감자떡을 내민다   (P.23 )

 

 

 

 

 

 

                     찐빵

 

                                                    박형준

 

 

 

 

                           겨울에 도시로 전학 와 새 학교 갔다

                           처음 집으로 돌아오는 길,

                           저녁이 오도록 집을 못 찾고

                           비슷비슷한 골목을 헤매다녔다

                           시골집에서는 저녁때가 되면

                           무쇠솥을 들썩이는 밥물의 김처럼

                           부엌문을 열고 어머니가 나를 부르는 소리만으로

                           동네 어디에서 놀고 있어도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는데

                           이제는 나 혼자의 힘으로 집에 돌아가야 한다

                           돌아가야 한다며,

                           찐빵집 앞에서 피어오르는 하얀 김을 바라보았다

                           겨울 저녁 찐빵집 앞을 지나가다 보면 그때처럼

                           추억의 온도로 부연 찐빵의 김에 내 자신을 맡기고 싶어

                          진다

                           팥소 가득한 찐빵을 뜨겁게 목구멍 속으로 밀어 넣으며

                           하얀 김 속에서 그렇게,

                           집에 가다 말고 잠시 서 있고 싶어진다   (P.28 )

 

 

 

 

 

 

                      김밥

 

                                                     이병률

 

 

 

 

                             어느 날의 김밥은

                             굴리고 굴려서 힘이 된다

                             굴리고 굴려서 기쁨이 된다

 

                             잘라진 나무의 토막처럼 멋진 날이 된다

 

                             김밥은 단면을 먹는 것

                             둥그런 마음을 먹는 것

                             그안의 꽃을 파먹는것

 

                             아픈 날이면 어떤가

                             안 좋은 날이면 어떤가

                             김에서는 바람의 냄새

                             단무지에선 어제의 냄새

                             밥에서는 살 냄새

                             당근에선 땅의 냄새

 

                             아이야

                             혼자 먹으려고 김밥을 싸는 이 없듯이

                             사랑하는 날에는 김밥을 싸야 한단다

 

                             아이야

                             모든 것을 곱게 펴서 말아서 굴리게 되면

                             좋은 날은 온단다   (P.40 )

 

 

 

 

 

 

                       산낙지

 

                                                        정호승

 

 

 

 

 

                             신촌 뒷골목에서 술을 먹더라도

                             이제는 참기름에 무친 산낙지는 먹지 말자

                             낡은 플라스틱 접시 위에서

                             산낙지의 잘려진 발들이 꿈틀대는 동안

                             바다는 얼마나 서러웠겠니

                             우리가 산낙지의 다리 하나를 입에 넣어

                             우물우물거리며 씹어 먹는 동안

                             바다는 또 얼마나 많은

                             절벽 아래로 뛰어내렸겠니

                             산낙지의 죽음에도 품위가 필요하다

                             산낙지는 죽어가면서도 바다를 그리워한다

                             온몸이 토막토막 난 채로

                             산낙지가 있는 힘을 다해 꿈틀대는 것은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바다의 어머니를 보려는 것이다   (P.194 )

 

 

 

 

 

                                                       -<시로 맛을 낸 행복한 우리 한식>-에서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6-22 18:11   좋아요 0 | URL
"우리 한식"이라면... 겹말이네요 ^^;;;
"한식"이라고만 하거나 "우리 밥"이라고 해야지요...

아무튼, 뭐, "우리 한옥"도 "우리 한국말"도 "우리 한국"도...
쓰고 싶으면 쓸 노롯이지만...

이제 저녁밥 슬슬 지으며
저녁나절 누리다가 잠들 무렵이로군요...

appletreeje 2013-06-23 00:32   좋아요 0 | URL
저도 이 詩集, 제목을 보다 참 많이 아쉬웠어요.
'한식'하면 왠지 평소 우리가 즐겨 먹는 그런 음식이나 밥이 아니라
꼭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어필하고 싶다는 그런 어휘 같아서요.
밥이란, 음식이란.. 우리가 늘 먹고 살아가고 그 먹고 살아가는 의미의
다정하고 소중한 '나눔'과 '섬김'의 다른 예쁘고 아름다운 이름,이라는
생각이들어서요..

2013-06-22 2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23 00: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23 13: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24 01: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