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인간에게 원숭이를 죽일 수 있는 권리

                를 주었나

 

 

 

 

                        1985년 대학 1학년 일반 물리학 중간고사 때 일이다

                        y축으로 y높이의 전봇대가 서 있고, X축으로 X거리 떨

                       어진 곳에 포수가 서 있다. 전봇대 위의 원숭이 한 마리가

                       앉아 있다가 실수로 떨어졌다. 떨어지는 원숭이를 맞추려

                       면 포수는 몇 도 각도로 총을 쏘아야 하는가?

 

                         정답이 아크탄젠트 y분의 x이든, x분의 y든 중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나는 정답대신 질문을 해야했다

 

                         사람에게 원숭이를 죽일 수 있는 권리를 누가 주었나요

                       사람이라면 떨어진 원숭이를 치료해서 다시 숲으로 돌려

                       보내야 하지 않나요

 

                         F학점을 맞고 결국 공학도가 되는 것을 포기했다 28년

                       이 지난 지금 아크탄젠트를 정확히 푼 친구들은 대학 교

                       수도 되고 대기업 임원도 되고 잘 살고 있다 나는 삼류 시

                       인이 되었고 여전히 그때의 질문을 풀지 못하고 있다

 

                        누가, 인간에게 원숭이를 죽일 수 있는 권리를 주었나  (P.13 )

 

 

 

 

 

                      식구

 

 

 

 

                         사납다 사납다 이런 개 처음 본다는 유기견도

                         엄마가 데려다가 사흘 밥을 주면 순하디순한 양이 되

                      었다

 

                          시들시들 죽었다 싶어 내다버린 화초도

                          아버지가 가져다가 사흘 물을 주면 활짝 꽃이 피었다

 

                          아무래도 남모르는 비결이 있을 줄 알았는데,

                          비결은 무슨, 짐승이고 식물이고 끼니 잘 챙겨 먹이면

                       돼 그러면 다 식구가 되는 겨   (P.15 )

 

 

 

 

 

                        아내

 

 

 

 

                             다림질 하던 아내가 이야기 하나 해주겠단다

 

                             부부가 있었어. 아내가 사고로 눈이 멀었는데, 남편이

                          그러더래. 언제까지 당신을 돌봐줄 수는 없으니까 이제

                          당신 혼자 사는 법을 배우라고. 아내는 섭섭했지만 혼자

                          시장도 가고 버스도 타고 제법 불편함 없이 지낼 수 있

                          게 되었대. 그렇게 1년이 지난 어느 날 버스에서 마침 청

                          취자 사연을 읽어주는 라디오 방송이 나온거야. 남편의

                          지극한 사랑에 관한 이야기였는데 아내가 혼잣말로 그

                          랬대. 저 여자 참 부럽다. 그 말을 들은 버스 기사가 그

                          러는 거야. 아줌마도 참 뭐가 부러워요. 아줌마 남편이

                          더 대단하지. 하루도 안 거르고 아줌마 뒤만 졸졸 따라

                          다니는구만. 아내의 뒷자리에 글쎄 남편이 앉아 있었던

                          거야.

 

                              기운 내 여보

 

                              실업자 남편의 어깨를 빳빳이 다려주는 아내가 있다

                              영하의 겨울 아침이 따뜻하다    (P.41 )

 

 

 

 

 

 

                         그때는 미처 몰랐제

 

 

 

 

 

                            젊었응께 어렸응께

                            정말로 그때는 미처 몰랐제

                            서른둘에 이장 되어서 내가 처음 한 게

                            나무를 벤기라

                            마을 어귀 삼백 년 된 늙은 느티나무를 베어낸 기라

                            길을 내야 했거든

                            봐라 저 휑한 길을, 저 흉한 걸 내가 만든기라

                            어르신들 반대를 무릎쓰고

                            공약을 지킨 기 그땐 그리 자랑스러울 수 없었는데

                            젊었응께 어렸응께

                            저 신작로를 따라 사람들이 하나둘

                            마을을 떠날 줄 몰랐제

                            이리 될 줄은 이리 텅 빌 줄은

                            그때는 미처 몰랐제

 

                            내가 사람을 벤 기라

                            나무를 벤 기 아니라 사람들을 벤 기라   (P.85 )

 

 

 

 

                                                                 -박제영 詩集, <식구>-에서

 

 

 

 

 

 

    自序

 

 

   "한울은 사람에 의지하고 사람은 먹는데 의지하는 것이니, 만

   사를 안다는 것은 밥 한 그릇을 먹는 이치를 아는 데 있다 天

   依人 人依食, 萬事知食一碗"는 해월 선생의 말씀은 일종의 생태우

   주론이다. 식구론이다.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는 흡사 가마솥 같다는 생각을 한다.

   흙과 물과 공기 그리고 거기에 기댄 모든 생명체들이 한솥밥

   을 먹고 사는 식구라는 생각을 한다.

 

   식구

                                          한솥밥을 먹는 둥글고 둥근 입이

                                          한울이다

 

                                          한 식구가 모여 한 세상을 이룬다.

                                          그 한 마음으로 시집을 묶는다.     

 

                                                                                                         2013년  봄날

                                                                                                                 박제영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6-04 2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05 0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04 2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6-05 00: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3-06-05 07:07   좋아요 0 | URL
나무와 시골과 삶과 사랑을 이야기할 수 있는
시와 사람(이웃)을 만나면
참 즐겁고 반갑습니다.

appletreeje 2013-06-05 11:26   좋아요 0 | URL
저도 그래요, 함께살기님.
요즘은 감각적이거나 멋을 부리려고 하는
시나 사람들보다
나무와 시골과 삶과 사랑을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시나 사람(이웃)이.. 더 반갑고 마음속으로 정말 좋습니다. ^^

후애(厚愛) 2013-06-05 15:38   좋아요 0 | URL
늘 좋은 책 좋은 글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appletreeje 2013-06-05 22:11   좋아요 0 | URL
제가 더 감사해요. ^^
후애님! 편안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