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가 되는 법

 

 

 

 

                     도마 위에서 칼을 잡아보면 알 수 있지

                     양파를 썰거나 청양고추를 다져보면

                     왜 눈물이 나는 지 알 수 있지

                     칼 잡은 손끝에서 짜릿하게 감지되는 건

                     비명뿐이라는 걸

                     갓 잡은 생선머리나

                     돼지 혹은 소 닭의 세포조직에서

                     소신燒身 공양 직전의 묵언默言을 들을 수 있다는

 

                     도마 위에서 칼을 잡아보면 알 수 있지

                     진정한 요리사는 밤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기도한다는 걸

                     상상의 무덤을 만들어

                     그곳에 반드시 두 번 절한다는 걸

 

                     도마 위에서 잔파를 썰거나 마늘을 다져보면

                     알 수 있지

                     야성을 잃고 시래기가 다 된 줄기나 무

                     인동의 겨울을 지낸 장류醬類와의 결합을

                     결코 야합이라 하지 않는

                     숙성의 시간

                     태생이 다른 식재료를

                     손바닥 가득 쥐고 무쳐보면 알 수 있지  (P.12 )

 

 

 

 

         

                  추억도 생물이 좋다

 

 

 

 

                      마포 농수산물시장의 수산물 좌판은

                      한 주에 두 번쯤은 나를 오라고 한다

                      신출내기 요리사인 나

                      약속도 하지 않았는데

                      옛고향처럼 나를 자꾸 오라고 한다

                      좌판 위에서 번쩍이는 활기

                      생물 갈치는 요즘 너무 비싸고

                      국내산 낚시태 생태는 씨가 말랐다

                      생물 고등어 아니면 생물 꽁치나 멸치

                      품격을 갖춘 학 같은 저 신사 민어

                      부산 충무동시장에서 어머니가 데쳐내던 통오징

                    어

                      저녁 식탁에서 추억은 항상

                      초고추장처럼 입맛을 다시게 한다

                      한주에 두 번쯤 수산물 좌판을 찾아가는 것은

                      그곳에 적셔져 있던 고향길이 보여서일까

                      일흔 살이 넘어서도 나 장보러 간다  (P.14 )

 

 

 

 

                 잔치국수 한 그릇은

 

 

 

 

                     어머니 손맛이 밴 잔치국수를 찾아

                     이즈음도 재래시장 곳곳을 뒤진다

                     굶을 때가 많았던 어린 시절

                     그릇에 가득 담긴 국수 면발과

                     가득찬 멸치육수까지 다 마시면

                     어느새 배부르고 든든한 잔치국수

                     굶어본 사람은 안다

                     잔치국수 한 그릇을 먹으면

                     잔칫집보다 넉넉하고 든든하다

                     잔치국수 한 그릇은 세상을 행복하게 한다

                     갓 삶아 무쳐낸 부추나 시금치나물,

                     혹은 아무렇게나 썰어넣은 김장김치 고명 위에

                     어머니 손맛이 밴 양념장을 끼얹으면

                     젓가락에 감기는 국수 면발이

                     입안에 머물 틈도 없이

                     목구멍을 즐겁게 한다

                     아직 귀가하지 않은 식구를 위해

                     대나무 소쿠리엔 밥보자기를 씌운

                     잔치국수 다발

                     양은솥에는 아직도 멸치육수가 뜨겁다  (P.24 )

 

 

 

 

 

                 

                느닷없이 봄은 와서

 

 

 

 

                     봄은 화안하다

                     봄이 와서 화안한 까닭을 나는 알고 있다

                     하느님이 하늘에다 전기 스위치를 꽂기 때문이다

                     30촉 밝기의 전구보다 더 밝은 꽃들이

                     이 세상에 일시에 피는 것을 보면

                     헐, 나는 하느님의 능력을 믿는다

                     봄은 눈부시고 화안하다

                     사람과 세상이 제 모습을 감추고 있는

                     긴긴 겨울밤은

                     하느님이 아직 스위치를 꽂지 않으셔서

                     어둡다고 생각한다

                     오늘 아침 느닷없이 봄은 와서

                     내 눈을 부시게 한다  (P.38 )

 

 

 

 

                 문상

                                     -최하림에게

 

 

 

 

                     성모병원 영안실에서

                     나는 그를 위해 향불을 피웠다

                     지상에서 우리의 관계는 오랫동안 따뜻했다

                     둘러싼 국화꽃 생화生花 속에서

                     그는 한 마디 말도 하지 않았다

                     친구여 안녕

                     등을 돌려 영안실을 나오는 동안

                     갑자기 안개가 자욱하여

                     나는 발을 헛딛는다

                     주차장을 찾지 못해 영안실 계단을

                     세 번이나 오르내리다

                     다시 영안실 빈소의 영정 속에서

                     오라고, 오라고 손짓하는 그를 보았다

                     친구여 안녕, 등을 돌리고

                     산자의 주차장을 기어코 찾아내

                     시동을 거는 동안

                     나는 한 마디 말도 할 수 없었다

                     멀리 언덕 위 벚나무 꽃잎이 눈처럼 흩날렸다  (P.80 )

 

 

 

 

                                       -김종해 詩集, <눈송이는 나의 각角을 지운다>-에서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3-04-26 11:55   좋아요 0 | URL
언니랑 재래시장 가면 항상 칼국수와 잔치국수를 사 먹어요.^^
어찌나 맛이 있던지 손님들도 무척 많답니다.
'잔치국수 한 그릇은' 참 좋습니다!!*^^*

appletreeje 2013-04-26 12:08   좋아요 0 | URL
우왕~후애님!
오늘 기쁜 생일,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저도 재래시장에 가서 저 잔치국수 한그릇, 먹고 싶어요.^^
후애님! 오늘 맛있는 것도 많이 드시고, 즐겁고 행복한 날 되세요. *^^*

후애(厚愛) 2013-04-26 12:59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조금 있다 언니네로 미역국 먹으러 갑니다~ ㅎㅎ

2013-04-26 1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4-26 16: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알케 2013-04-26 13:15   좋아요 0 | URL
<잔치국수> 이 시..좋네요. 멸치 다시도, 김 한 조각의 고명도 없이 면만 삶아서
간장만 조금 넣어 먹던 고등학교 자취시절의 기억 -.-;;
그 땐 김치 한 보시기라도 있었으면 했는데.

appletreeje 2013-04-27 00:11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
'잔치국수 한그릇'만 읽어도 마음이 넉넉해지고 든든해지는 듯 해요.
국수에 간장만 넣어 비벼 먹어도 맛있지요. 김치 한 보시기만 있으면.^^
알케님! 방문해주셔서 넘 감사드리며
좋은 오후 되세요. *^^*

2013-04-26 19: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4-27 00: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슬비 2013-04-26 21:07   좋아요 0 | URL
저는 '추억도 생물이 좋다'가 마음에 들어요.
팔닥 팔닥 머리속을 뛰어다니는 추억이 생생하게 표현된것 같아서요.^^

appletreeje 2013-04-27 00:15   좋아요 0 | URL
다 마음에 들어 왔던 시였는데
'추억도 생물이 좋다',
정말 팔닥 팔닥 머리속을 뛰어다니는 추억이 생생합니다. ^^
그리고 보슬비님이 주시는 댓글도 그렇듯 제게 늘 행복하고 감사합니다.~
보슬비님! 편안하고 좋은 밤 되세요. *^^*

후애(厚愛) 2013-04-27 20:41   좋아요 0 | URL
편안한 주말~~~즐겁게♪행복하게 보내세요^^*

appletreeje 2013-04-28 11:05   좋아요 0 | URL
예~~감사합니다.!
후애님께서도 즐거운 일요일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