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고 넘치는 말의 홍수 속에서 그 작품에 대한 언어의 감옥에 갇히고 말기 때문이다. 지금 이글을 포함해 각종 리뷰나 평론들을 요행히 피한다 해도, 책 표지의 홍보문구에, 길거리 광고판에 노출되는 일마저 피할 도리는 없다(아예 눈을 감고 아무 책이나 집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까). 결국 우리는 실망할 혹은 감동할 준비를 하고 작품을 만난다. <오후의 죽음>에 나오는 문장을 빌리자면 "우리가 속된 의미로 썼던 말들이 모두 짜릿함을 잃어버렸습니다." (29쪽)
-이다혜, <책읽기 좋은날>-
직업에 연관된 책읽기가 지긋지긋할 즈음에, 도서관으로 줄행랑을 치며 (嚴冬의 旅行중에 주머니에 몰래 감춰둔 '올드파'를 꺼내 목구멍의 뜨거움을 넘기듯,) 젤리같이 편안하고 달짝하고 말랑한 나의 책들을 슬쩍 빌려온다. 그리고 지금이 그 즐거움을 만끽할 적시인 것이다. 올해의 모든 의무와 약속에서 벗어난 '홀리데이'의 시작인 오늘부터 연말까지.
그리하여 나의 휴가는 수면잠옷으로 위아래를 부드럽게 감싸우며, 이불을 허리까지 덮어 올리고
닭이나 초코렛을 안주삼아 맥주를 홀짝이며 정말, 새털같이 가볍고 즐거운 책읽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책읽기 좋은 밤이다. 나의 고양이들이 '트램펄린 위에서 하늘을 향해 뛰어 오를'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