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홍익대학교 청소노동자 노문희씨를 인터뷰 한 적이 있다. 그녀의 담당구역인 건물 3층 복도 끝에 휴식공간이 있었다. 새의 둥지처럼 몸 하나 겨우 웅크릴 공간. 책상 하나 놓이니 꽉 차는 창고 같은 방이지만, 다행이 벽면의 통유리 너머로 짙푸른 나무가 흔들려 운치를 더했다. 책상 위에는 낡은 스프링 노트가 정물처럼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학생들이 버린 노트를 주워서 일기를 쓴다고 했다. 그녀가 넘기는 노트 속에는 깨알 같은 글씨와 소녀 얼굴의 스케치가, 마치 전혜린의 노트처럼 동경과 낭만으로 일렁였다. 나는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다. 까맣게 염색한 보글보글 억센 파마머리에, 울퉁불퉁 힘줄 튀어나온 마른 손등에, 소매통 넓은 파란색 작업복을 걸친 청소부. 예순 살의 그녀가 감수성 주체로 여기 책상에 앉곤 한다는 사실이 마냥 낯설었다. 돌아오는 길, 우리 엄마도 가을이면 단풍잎, 은행잎을 주워 식탁유리 밑에 끼워놓곤 했던 생각이 났다. 엄마가 화초 가꾸기를 좋아하니까 그런 줄 알았는데, 엄마가 주운 것은 낙엽이 아니였을지도 모르겠구나 싶었다. 살면서 흘린 것, 놓친 것, 떨궈진 것을 낙엽으로 보았던 게 아닐까. 잃어버린 당신 시간을 모으듯 몸을 구부리고 줍고 부서질세라 쥐고 고이 간직하는 동안 엄마는 가을을 통과하는 소녀였던 거다. (9쪽)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드걸은 살아있다. 누군가 나에게 올드걸의 정의를 묻는다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돈이나 권력, 자식을 주된 동기로 삼지 않고 본래적 자아를 동력으로 살아가는 존재, 늘 느끼고 회의하고 배우는 '감수성 주체'라고. (10쪽)

 

 

 문학에 눈 뜨는 일은 회의에 눈 뜨는 일이고, 회의에 눈뜨는 일은 존재에 눈 뜨는 일이었다. 시를 읽는 동안 나 역시 생각에서 생각으로 돌아눕고 곱씹고 뒤척이기를 반복했다. 흔한 기대처럼 시는 삶을 위로하지도 치유하지도 않는다. 백석 시인이 노래했듯이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 할 뿐이다. 사는 일이 만족스러운 사람은 굳이 삶을 탐구하지 않을 것이다. 시가 내게 알려준 것도 삶의 치유불가능성이다. 니체가 말했듯 "상투어로 자신을 위로하는 끔찍한 재능"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삶의 바닥까지 시는 깊이 내려간다. 시를 통해 나는 고통과 폐허의 자리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법을, 고통과의 연결고리를 간직하는 법을 배웠다. 일명 진실과의 대면 작업이다. 어디가 아픈지만 정확히 알아도 한결 수월한 게 삶이라는 것을, 내일의 불확실한 희망보다 오늘의 확실한 절망을 믿는 게 낫다는 것을 시는 귀뜸해주었다.

 참 고마운 일이다. 어딜 가나 치유와 긍정의 말들을 사나운 헤드라이트 불빛처럼 얼굴에 들이대어 삶에 눈 멀게 할 때, 시는 은은히 촛불 밝혀 삶의 누추한 자리를 비추어주니까. 배신과 치욕과 절망과 설움이라는 분명히 존재하는 삶의 절반을, 의도적으로 기피하고 덮어두는 그 구질구질한 기억의 밑자리를 시는 끝내 밝힌다. "인간은 자기가 어떻게 절망에 도달하게 되었는지를 알면 그 절망 속에 살아갈 수 있다"는 벤야민의 말을 나는 시를 통해 이해했다. 시를 읽는다고 불행이 행복으로 뚝딱 바뀌지는 않지만, 불행한 채로 행복하게 살 수는 있다. 그래서 황동규 시인이 말했듯이 "시는 행복 없이 사는 훈련"인 것이다. (13~14쪽)

 

 

부득이한 밤을 맞아 불가피한 업무를 하기 위해, 여기까지만 오늘은 읽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모노로그 2012-12-12 14:49   좋아요 0 | URL
나무 늘보님 너무 멋있는 글귀들이 가득한 페이퍼네요 ^^
시를 통해 나는 고통과 폐허의 자리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법을, 고통과의 연결고리를 간직하는 법을 배웠다. 일명 진실과의 대면 작업이다^^
밑줄 찌익 ~ ㅋ ~ 감동 받고 갑니다 ㅋ~

appletreeje 2012-12-13 11:10   좋아요 0 | URL
드림님~~ㅎㅎ 반가워요~^^
드림님은 역시, 우등생!!
저야말로 전부터 드림님 글에 감동받곤 하는 것 잘 아시죠~?
날씨가 추워요. 건강 조심하시구요. 전 또 감기몸살이 왔어요.
오늘도 힘차고 좋은 날 되세요^^

2012-12-13 12: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2-13 13:5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