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 편지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야생초 편지 2
황대권 지음 / 도솔 / 2002년 10월
구판절판


다도의 형식과 조건을 갖출 수 없는 곳에서라도 성(誠)과 정(情)으로써 다도를 즐길 수 있노라고. 이런 말이 있다. 배고픔이야말로 최고의 식욕이라는. 거친 음식일지라도 배가 고플 때는 아주 맛있게 느껴지는 법. 이와 마찬가지로 정갈치 못한 물과 재료로 끊인 차일지라도 갈급한 자에겐 그것이 최고의 차인 걸 어쩌리!-66쪽

풍요로운 생활환경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지만, 열악한 생활환경에서도 마음먹기에 따라 얼마든지 풍요로운 삶을 꾸려 나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삭막한 교도소에서 만나는 상처투성이 야생초들은 나의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주는 귀중한 '옥중 동지'가 아닐 수 없다.-76쪽

내가 야생초를 좋아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내 속의 만을 다스리고자 하는 뜻도 숨어 있다. 인간의 손때가 묻은 관상용 화초에서 느껴지는 화려함이나 교만이 야생초에는 없기 때문이지. 아무리 화사한 꽃을 피우는 야생초라 할지라도 가만히 십 분만 들여다 보면 그렇게 소박해 보일 수가 없다.-102쪽

평화란 절대적 평온, 정지, 무사, 고요의 상태가 아니라, 내부적으로 부단히 움직이고 사고하는 '동적평형(動的平衡)' 상태라는 것이지. 사회가 평화롭다, 두 사람 사이가 평화롭다고 할 적에는, 내부적으로 부단히 교류가 이루어지고 대화가 진행되어 신진대사가 잘 되고 있다는 뜻이 된다.-109쪽

야생초는 그야말로 천지에 지천으로 깔린 보물과도 같다. 이러한 보물들을 단순히 소 여물이나 관상용으로 내버려 둔다는 것은 이만저만 손해가 아니다.-144~1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비꽃 편지
권오분 지음, 오병훈 그림 / 도솔 / 2005년 1월
품절


"나는 들꽃전도사다." 스스로에게 내 별명을 상기시키며 복수초가 갖는 소중한 뜻을 용기를 내어 그들에게 말해 준다. 복 복(福)자에 목숨 수(壽) 자를 써서 '복을 주고 오래 살라'는 뜻이라고.-15쪽

그렇게 잎과 꽃이 평생 만나지 못한다. 서로 만나지 못하면서 잎은 꽃을 그리워하고 꽃은 잎을 그리워한다고 해서 상사화(相思花)라고 불려지는 것 같다. 그리움을 가져본 사람이면 이 꽃을 보고 아무렇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보고 싶은 사람을 보지 못하고 그리워만 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33쪽

예쁘지만 화려하지 않고, 아름다운 색깔을 지녔으면서도 향기로 주위를 끌려고 하지 않는 소박한 제비꽃, 그러나 그 긴 겨울 추위를 용케도 견디고 아직 사방이 찬바람 소리로 가득할 때, 햇빛이 잠시라도 머무는 양지쪽이면 어느 풀잎보다 먼저 잎을 내고 꽃 피우는 그 모습은 봄마다 나를 눈물겹게 한다. 그리고 게을러지는 나의 생활에 채찍을 가차 없이 가한다.-66쪽

아무짝에도 쓸모없다고 잡초 취급 받는 식물이지만 고마리는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풀이다. 또 늦여름에서 가을까지 5월 같은 청초함으로 만물이 시들어가는 가을을 싱그럽게 해주는 걸 보면, 쓸모없는 풀이란 이 세상에 없는 것이다.-134쪽

세상이 일컫는 보석이나 패물들을 사랑했더라면, 나는 삼라만상에 가득한 찬란한 보물들을 찾아낼 수 없었을 거다. 돈으로 계산되어지는 것들에 대한 무심함이, 돈이 없어도 무한정 소유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게 해주었다.
자물쇠나 보석함이 필요 없는 나의 숱한 보물들은 때때로 나를 아주 멋스럽게 해준다.조개껍질로 만든 목걸이를 정장 위에 장식하고 화려한 송년모임에 스스럼없이 참석하는 나를, 나는 사랑한다.-227~2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 흑설공주 1
노경실 외 지음, 윤종태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6년 6월
장바구니담기


낮은 낮대로 아름답고, 밤은 밤대로 아름답듯이, 거미는 거미대로 아름답고, 나비는 나비대로 아름답듯이 여러분들 각자는 모두 아름다움이란 보석을 가슴에 품고 있다는 사실-32쪽

'아냐, 나는 달라! 나는 스스로 노력해서 살아 나갈 거야. 언니들처럼 돈이나 권력 많은 남자한테 잘 보여서 뽑혀 가는 신세는 되고 싶지 않아. 그건 마치 예쁜 강아지 대회에 나가는 강아지 같은 꼴이야. 그래, 쇠똥구리의 땀과 노력을 잊지 말자!'-63쪽

이제 누구도 내 인생을 간섭할 수 없어요. 왕자의 아내보다 더 값진 삶은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삶이란 걸 알았으니까요. 자기 생각이 없는 삶은 저 유리 구두처럼 언젠가는 다 부서질 거예요.-72쪽

"눈은 마음의 거울이라 했으니, 눈은 곧 그사람이다."

사람들이 서로 차이를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어야 평화롭고 살기 좋은 세상이 될 수 있을 거예요.-132/134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사시나무 2006-07-06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이가 들수록 내 안에 고집은 점점더 커지는것 같아. 이게 아닌거 같으면 도저히 받아들일수 없는 그 명확한 선이란게 가끔씩 내 안에 보이는거 보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게 참 힘든일인것 같다..

봄맞이꽃 2006-07-06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은사시나무야... 실은 나두 그래...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 흑설공주 1
노경실 외 지음, 윤종태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설공주이야기라?  책제목만 듣고서는 이책이 무슨 이야기인지 알수가 없어서 무척 궁금했습니다.

책을 읽고 나서야 [흑설공주이야기]라는 책을 이해하였습니다.

흑설공주이야기는 저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 동화책입니다.

어릴적에 읽던 전래동화나 명작동화와는 사뭇 달랐습니다.

20년이 훨씬 넘은 시절에 읽던 동화속 백설공주, 콩쥐팥쥐,인어공주, 신데렐라는 계모의 구박을 받으면서 왕자님을 기다리는 그런 이야기였습니다.

그시절(20년전)에 책을 읽었던 사람들이 이제 성인이 된 지금 어떻게 변했을까요?

그저 왕자님이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하며... 어떻게 하면 날씬해질까? 이뻐질까?고민하면서 힘든 다이어트에 얼굴 성형에... 그리고 남성들은 무조건 여성를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남성이 우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그런걸 보면 어릴적에 [흑설공주이야기]란 책이 왜 없었을까... 그시절에 이런 좋은책이 있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합니다.

이제 여성도 남성도 동등한 입장에서 권리를 주장할수 있는 시대입니다.

마냥 왕자님만 기다리고... 무조건 새엄마는 나쁜사람이라는 잘못된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여성이 할수 있는 일이 따로 있고 남성이 할수 있는 일도 분명 따로 있습니다.

하지만 여성과 남성을 편견하고 차별하는 일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흑설공주이야기]는 요즘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좋은 시각(始覺)이 되는 책인거 같습니다.

이책 앞표지에 보면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라고 적혀있는데... 전 [어린이들과 어른들을 위한 흑설공주이야기]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은사시나무 > 내 생애 첫번째 지리산종주...짜잔..ㅎ







새벽3시 출발...성삼재에서 출발..

지금 이 시각에도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이다.. 묵묵히 헤드렌턴 불빛을 뒤따르며 한걸음씩

옮기는 사람들...다들 비장한 각오..전사같다..성삼재에서 새벽3시에 출발..지리산 주능선을 따라

천왕봉을 거쳐 중산리로 하산..약 34km ..무박산행은 첨이라 떨리고 , 지리종주는 또 첨이라 더 떨린다..

 세석산장에서 맞이한 내생에 첫번째 헬리콥터..사고가 난 모양이다.. 헬리콥터 부르는데 몇백이라던데

우리나라만큼 구조체계가 잘 된 나라도 없다고들 한다고 들었다. 산에 가면 다들 조심조심..하시길..

그나저나 헬리콥터가 내가 있던 자리 바로 위에 떠서 바람에 날려 돌아가시는줄 알았다..ㅎㅎ

 



 

 

 

 

 

 

 

 

 

 

 

 

 



 

 

 

 

 

 

 

 

 

 

 

 


각기 다른 빛깔의 지리산..아름답고 신비로웠다....




 

 

 

 

 

 

 

 

 

 

 

    대구등산학교 68산악회...이 사람들을 만난지 반년의 세월이 흘렀다..

    점점 친가족이 되어가는듯하다.. 68산악회 영원하기를...

    장터목대피소에서...... 정상(천왕봉) 공격하기 얼마전..

 



 

 

 

 

 

 

 

 

 

 

 

                                 



 

 

 

 

 

 

 

 

 

 

 

                         

    천왕봉 1915m .... 멀고 험한길 돌고돌아 여기까지.... 모두들 너무 수고하셨습니다..

   힘겨운 뒤에 얻을 그 무언가를 찾아서 오늘도 우리는 산으로 간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맞이꽃 2006-07-05 1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리산은 나두 이번이 첨이다. 그날 헬리곱터 생각만 하면 정말 아찔하고 무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