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시대 부동산 - 부동산 시장이 재편된다
삼토시(강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지난 6월 27일, 정부에서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발표했다. 주말에 이 긴급 뉴스를 접하고 깜짝 놀랐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6억 원으로 제한되며, 6개월 이내 전입 의무 부과
이재명 대통령 시대.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하게 될지 무척 궁금하던 차에 <이재명 시대 부동산>(삼토시(강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을 읽게 되었다.
저자는 부동산 데이터 분야에서 '최고'라는 수식어가 따라붙을 정도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삼토시(강승우)이다.
나도 부동산 관련 정보를 찾을 때 종종 찾는 '붇옹산(지금은 부동산 스터디)' 카페에서 본 닉네임이라 더 익숙하게 느껴졌다. 부동산 데이터 전문가답게 이 책에는 수많은 데이터와 명쾌한 해석, 전망이 이어졌다.

진보와 보수 정권 하에서 부동산 가격이 차이나는 이유는 '정책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있다. 그 중 가장 뚜렷한 차이는 '다주택자에 대한 입장'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화는 다주택자들로 하여금 보유 자산을 '똘똘한 한 채'로 집중하게 만든다. 그 결과, 수요가 상급지로 몰리면서 상급지와 중/하급지 간 가격 격차가 확대된다.
부동산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똘똘한 한 채'이다. 작게 여러 채 가진 것보다 입지 좋고 가치가 높은 한 채가 더 각광받는 시대라는 것이다. 특히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강해질수록 '똘똘한 한 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를, 이 책에 나온 갖가지 데이터를 통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매매가와 전세가 간의 차액만 갖고 부동산을 살 수 있는 '갭투자'는 이제 쉽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이란 한 광고의 카피가 떠올랐다. 부동산은 분명 매력적인 투자 방식이기도 하지만 실 거주라는 근본적인 역할이 더 중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이 책에는 부동산 정책에 따른 앞으로의 시장 전망과 함께 '정부 규제에도 오르는 곳 39'라는 일종의 부록이자 알짜배기 정보가 담겨 있다. 39개 단지를 선정하게 된 배경으로 저자는 15억 원 이하 단지를 기준으로 '서울 직주근접' '경기 직주근접'과 상승이 예상되는 '대구'와 '울산'이다.

저자가 추천한 39곳 투자처를 보니 아는 동네도 있고 처음 보는 곳도 있었다. 평소에 잘 아는 지역이라 생각했는데 전문가의 해석을 듣고 보니 새롭게 보이기도 했다. 역시 부동산도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할 분야구나 다시 한번 깨달았다.

부동산은 늘 고민의 대상이다.
'지금 사야 하나, 기다려야 하나.'
정답은 그 누구도 알 수 없다. 당장 내일 또 어떤 변수가 나올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정책에 대해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내다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수많은 경우의 수를 예측하고 대비하고 준비한다면 좀 더 체계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