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을 움직이는 10가지 방정식
데이비드 섬프터 지음, 고현석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7월
평점 :
TEN 비밀 결사? 10가지
방정식을 활용해 성공한 사람들. 세상을 움직이는 10가지
방정식이라는 제목이 곧 세상이 10가지 방정식만으로 움직인다는 의미는 아니다. 목차를 확인하면서 해결되었다. 10가지 내용 중 일부는 개인의 삶과
동떨어진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는 베팅방정식이 이에 해당하고 가장 잘 알고 싶은 부분이었지만, 베팅을 하지 않으면서 에지를 갖고 이겨서 높은 배당을 갖고 싶다는 생각은 욕심이다.
인간이라면 거의 대부분 부자가 되는 비결, 행복해지는 비결,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는 비결, 올바른 선택과 판단을 하는 비결을
궁금해하고 그 비결을 자기 삶에 적용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이런 류의 책들이 베스트 셀러가 되고
끊임없이 출간되는 이유는? 목표는 만들지만 과정을 따르는 노력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새로운
제목과 주제, 저명한 저자가 이끌어주기 만을 바라기 때문이다.
우리가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인가? 통계, 확률~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던 것과는 달리 사회과학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데도 수학이 적용된다. 모델, 가설, 데이터, 해석이 필요하다.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 찾기.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어떻게? 우리 일상에서 벌어지는 일들과 수학을 연결하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어렵다’이다. 저자가 자세히 설명하면 할수록 더 어려워지는 건 왜 일까? 지적 호기심을 채우려는 의도보다는 나도 텐이 되고 싶은 욕심이 앞서기 때문에 당장 활용할 수 있는 해답을 찾고
있다. 그러니 어렵다.
수학은 세상을 표현하고 세상에 대해 논쟁하는 방식 중 하나에 불과하며(p86)
베이즈의 법칙?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려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다.
가정을 명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며,
답을 제시하는 수학자들의 사고 방식과 수학이라는 학문의 특징을 인정하고, 이 책에 실린 10가지를 이해하는 것을 첫 목표로 삼으면 달라질 거라고 생각한다. 일독으로
다 이해한다면 수학적 사고를 하는 천재라는 생각이 들고 나는 세 번은 읽어야 이해하고 수용하는 수준이 될 것 같은 느낌이다.
‘절대로’ 수학적으로 해석하거나 풀 수 없다고(아예 수학의 대상이 아니라고
여겼을 수도) 생각한 부분에 대한 저자의 해석을 경험할 수 있었다. 세상을
바라보고 풀어가는 수학자의 시선을 통한 10가지 방정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절대’라는 말은 앞으로 하지 않을 것을 결심한다. 수학적 사고는 삶의 질을 끌어올려주고 보다 나은 선택을 하는 데 길잡이 역할에 충실한 이 책을 곁에 두고 수시로
읽고 배워 우리 모두 성공하길 소망합니다.
이 리뷰는 서평단 자격으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