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지 않는 죄 - 나쁜 생각, 나쁜 명령. 그 지시는 따를 수 없습니다. ㅣ 스스로 생각 시리즈
이모령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25년 2월
평점 :
히틀러는 증오, 혐오, 배제라는
나쁜 생각을 하고 독재 권력을 탐하고 전체 주의를 바탕으로 국민을 선동하여 전쟁을 일으키고 유대인이나 정적 등을 죽이는 홀로코스트를 저질렀다. 아돌프 아이히만은 자신은 공무원으로 수동적 실행자였을 뿐이라며 죄책감이 없어 보였다.
전후 독일의 여러 총리들은 무릎 꿇고 사죄하고 피해자들과 피해 국가에 대한 재정적인 배상도 병행하였다. 진정한 반성이다. 일본은 어떤가?
이게 옳은 일일까? 나쁜 명령을 따르지 않을 방법은 무엇일까?를 늘 생각하자. 이게 비판적 사고이다.
우리는 기계의 톱니바퀴가 아니라 옳은 일을 행할 수 있는 존엄한 인간(p25)
윤리적 판단과 비판적 사고가 생각하지 않는 죄, 악인이 되지 않도록
나를 지켜줄 것이다.
생각하지 않는 죄와 악의 평범성을 이야기 한 한나 아렌트.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하지 않는 죄, 옳지 않다는 것을 알고도 옳지 않다고 말하지 않은 죄, 옳지 않은 걸 알면서도 행한 죄, 자기의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거나 합리화하는 죄를 말한다. 딱 아이히만이고, 아이히만은
평범한 사람이었다. 누구나 아이히만이 될 수 있다.(악의
폄범성)
스탠리 밀그램의 심리학 시험. 권위에 대한 인간의 복종이 얼마나 강한지
보여주는 중요한 심리학 연구이다. 일반적인 사람들도 권위자의 명령을 받으면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입증 되었다.(p35)
명령을 받더라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낀 사람이 거부했다.(p38)
다른 참가자가 먼저 저항하는 모습을 보이면, 참가자의 복종률이 급격히
감소한다(p39)
모두가 침묵하고 있더라도 무언가 잘못되어간다는 걸 느낄 때 먼저 목소리를 내면 그것을 결코 나만의 목소리로 그치지는
않는다. (p41) 선전 선동. 악을 행하지 않을 수 있는
용기를 준다.
오스카 쉰들러, 미프 히스, 지노
바르탈리 “ 내가 한 일은 단지 옳은 일을 한 것 뿐이다.그
것을 칭찬받기 위한 것이 아니다.”(p46) 이레네 센들러,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발키리 작전) , 디오트리히 본회퍼, 마르틴 니묄러나 레드오케스트라, 백장미단은 히틀러의 잘못을 알리고
유대인을 보호하고 히틀러를 제거하는 옳은 일을 한 용감한 사람들이고 조직이다.
생각은 우리의 행동을 만들어 냅니다.(p55)
아돌프 히틀러_파시즘: 힘센
한 사람이 모든 걸 결정하는 세상
민주주의: 자유, 평등, 참여, 법의 지배
자신의 태도를 선택하는 자유는 빼앗을 수 없다.(빅터프랭클) 인간은 극한 상황에서도 윤리적, 도덕적으로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선택이다. (p73)
비판적인 사고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야 하고 용기를 가지고 권위자의 잘못된 지시에도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