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그림 - 아름다운 명화의 섬뜩한 뒷이야기 무서운 그림 1
나카노 교코 지음, 이연식 옮김 / 세미콜론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명화에 담긴 무서운 뒷이야기나 그 배경을 설명한 책이다.
처음 책 표지와 제목만 보면 뭔가 무섭고 끔찍한 그림들만 있을 것 같지만 사실 이 책에 수록된 ‘무서운 그림‘은 별로 없고 오히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명 명화들이 대다수이다. 이 책에서 주목해야하는 점은 무서운 그림이 아닌 바로 명화들이 숨기고 있는 비하인드 에피소드다.

저자는 명화가 그려진 배경, 당시 시대상, 그림의 의미를 낱낱이 파해치고 있다. 특히 인상깊었던 드가의 ‘에투알‘과 뭉크의 ‘사춘기‘, 브론치노의 ‘사랑의 우의‘ 부분은 우리가 몰랐던 명화의 진실과 함께 그림을 감상하는 이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먼저 ‘에투알‘은 이제 막 공연장으로 뛰쳐나오는 한 발레리나가 그려진 그림이다.
작가인 드가는 이외에도 수많은 발레 그림을 남겼다고 하는데, 괴상하게도 중심인물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얼굴에 표정이 없고 마치 대충 그린 듯한 느낌이 든다. 사실 드가는 인물의 동체를 그리는데 주목했기에 딱히 표정을 그리지 않았다고 하지만 저자는 이 ‘에투알‘과 드가가 표정을 그리지 않은 이유가 그 때 당시 타락한 발레의 실상 때문이라고 말한다.
발레가 타락해? 그것도 예술의 중심인 프랑스에서? 내겐 발레가 생소하고 낯설지만 막상 발레를 보면 춤을 추는데서 나오는 우아함, 그리고 그 춤을 추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했을 발레리나의 장인정신에 절로 감탄이 나온다. 그렇기에 저절로 ‘발레는 우아한 예술‘이라 생각했고 타락했다는 저자의 말이 믿기질 않았다.
그러나 저자가 말하는 바, 당시 프랑스에선 발레란 거의 사교에 가까웠으며 발레리나는 주로 낮은 출신의 여성들이 부자 애인을 구해 신분상승(?)을 하고자 하는 목적이 대다수였다고 한다. 이 ‘에투알‘에서도 자세히 보면 뒤에 정장을 입은 남성이 있는데, 이 남성은 무대 연출가도, 기자도 아닌 무대에 올라가는 발레리나의 애인이라는 것이다! (드가는 재산이 꽤 넉넉하고 상류층에 가까웠던 사람이었기에 이런 발레의 실태를 알고 일부러 표정을 그리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
물론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안타까움이 느껴진다.

뭉크의 ‘사춘기‘는 알몸의 한 소녀가 침대에 앉아 두 손으로 자신의 중요 부위를 가리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의 그림이다. 일반 사람들은 이게 첫 생리의 모습을 담았다고 하고 저자는 뒤의 검은 그림자에 중점을 둔 것 같지만 내겐 뭔가 이 소녀의 아랫배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묵직한 것이 든 느낌을 들었다. 이 그림은 저자의 감상보다는 애가 뭔가를 느끼고 직접 감상하는 듯한 기분이 들어 특별했다. 알 수 없는 두려움, 낯섦, 여자들만 아는 고통이 보였다.
기록을 보면 뭉크는 어머니며 여동생 등 주위에 있었던 여자들이 죽어간 것을 본 사람이다. 때문에 그의 특유의 정신적 고통들이 ‘절규‘와 ‘마라의 죽음‘ 그리고 이 ‘사춘기‘에 여실히 드러난 것 같다. 보는 이에게 두려움과 고통을 주지만 그와 비례하게 정신적 섬세함이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었다.

브론치노의 ‘사랑의 우의‘는 비너스와 아들 에로스가 서로 입을 맞추고 있고 그 뒤로 추악한 노파와 절규하는 여인, 그것을 숨기려 하는 노인, 기뻐하는 천사 등등으로 화면이 꽉 채워진 그림이다.
그런데 이 혼잡한 광경이 저마다 깊은 의미룰 가지고 있다면 과연 어떻게 될까? 아마 사람들은 그 의미를 찾기 위해 그림을 자세히 관찰 할 것이다. 내가 이 그림에 인상깊었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때문이다. 주제적으로 감상 할 수 있고 정해진 답은 없지만 감상하는 사람의 지식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기에 ‘사랑의 우의‘는 대단하다. 저자가 설명하는 의미도 대단히 인상 깊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이 책도 미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에 제목 그대로 오직 ‘무서운 그림‘만을 기대하고 읽으려는 사람들에겐 조금 실망을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명화가 의미하는 바를 잘 설명하지만 미술 감상이란 늘 그렇듯 그 감상이 매우 주관적이다. 때문에 읽다가 동의 할 수 없는 부분도 간혹 나오기는 한다.
예를 들어 이 책의 가장 큰 결점인(이는 저자의 결점이라 할 수 있다) 주관적인 성 의식과 노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이다!
코레조의 ‘가니메데스의 유괴‘에서는 독수리에게 잡혀가는 가니메데스의 모습이 저항이 거의 없는 순응적이며 이 그림이 소년에 대한 보호 본능(성욕)을 자극시키거나 가학적인 욕구를 발생시킨다고 말한다. 전혀 그렇게 보이지 않는데도 말이다. 그리고 이유로 든 것에서 미인 콘테스트에 나서는 미소녀들이 스스로 욕망의 대상이 되어서 상금을 받는 것이라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해댄다.(미소녀 콘테스트에 나오는 얘들은 욕구의 대상이 되는 것을 원하기에 참가했다는 말인 셈이다)
더욱이 ‘노파의 초상‘에서는 노파에 대해 온갖 험한 말과 비난을 퍼붓는다.
이것들 모두 책의 뒷부분에 나오며 읽는 내내 걱정스러웠다. 결국 그림을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리있게 풀이한 것은 좋았으나 대단히 주관적이라 딱히 추천하지는 않는다. 간단히 미술 입문용으로 가볍게 읽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