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서 이런 한자어가 생겼대요 - 읽다 보면 문해력이 저절로 ㅣ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누리 지음, 신동민 그림 / 길벗스쿨 / 2023년 12월
평점 :

한자를 재미있게 공부하고 한자어를 이해하기 쉽게 배우는 [ 그래서 이런 한자어가 생겼어요 ] 입니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에 한자어는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단어들에도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어서 정확한 뜻을 알기 위해서 한자 공부를 해야 단어의 뜻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요.
평소에 한자 공부를 위해 한자만 별도로 공부하게 했지만 지루하기만 하는 한자공부로는 제대로 실력이 향상되지 않더라구요.
한자어를 평소에 어떻게 공부하면 좋은지 책을 통해 한자어의 유래를 알려주고 어떠한 상황에서 쓰이는지 익히게 해줍니다.

네가지로 구성된 한자어
생활속 한자어, 뉴스속 한자어, 재미있는 한자어, 한자어 같지 않은 한자어로 4가지로 분류되어서 알려줍니다.
일상속에서 한번쯤 들어본 단어인데 정확한 뜻을 물어보면 모르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이번 기회에 아이에게 한자어의 뜻을 물어보고 유래를 설명해주면서 같이 배워나가면 좋을것 같습니다.

네컷 만화를 통해 상황을 이해하고 한자어 사용법을 재미있게 익혀볼 수 있어요.
먼저 한자어를 먼저 말해주고 뜻을 잘 모르겠다고 하면 만화에 나오는 상황을 보여주고는 뜻을 유추하게 해봅니다. 대부분은 만화를 통해 어떠한 상황인지 이해는 하더라구요.
그러나 정확한 한자의 뜻은 잘 모르기 때문에 아래쪽에 한자의 뜻을 읽어보고 겉뜻과 속뜻을 통해 숨어있는 의미를 파악해볼 수 있어요.

오른쪽에는 한자어의 유래를 알려줍니다.
사족의 겉뜻은 뱀의 발이고 속뜻은 쓸데없는 짓을 해서 오히려 잘못되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초나라의 어느 집에서 잔치가 열리며 일어난 일화를 말해줍니다.
주인이 큰마음 먹고 아주 귀한 술 한병을 내놓으면서 내기를 해서 이긴 사람이 술을 다 마시자고 합니다.
땅바닥에 뱀을 가장 먼저 그린 사람에게 술을 주기로 했어요. 그림 솜씨가 뛰어난 손님중에 한 사람이 자신의 실력을 뽐내기 위해 뱀에다 발까지 그리면서 자신이 내기에서 이겼다고 술병을 집었어요.
하지만 발 달린 뱀은 없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술을 빼앗기고 말았어요.
이렇게 쓸데없이 덧붙인 일이나 군더더기를 일컬어 <사족>이라고 했어요.

책에서는 예문을 통해 문장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려줍니다.
비슷한 관용어도 적어놓아서 한자어와 구분되어 비교할 수 있습니다.

생활속에서 가끔 사용한 한자어지만 정확한 유래를 모르고 있어서 알고 나면 더욱 재미있는 한자어입니다.
<압권>은 누를 압, 책 권으로 겉뜻으로는 위의 책이 아래 책을 누름을 말합니다.
속뜻은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책이 아래 책을 누르는 것이 왜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하는지 한자어의 유래를 통해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박문수가 과거시험을 보러 가다가 정자에서 잠이 들었습니다.
꿈속에서 장원 급제한 글귀를 알게 되었고 실제 과거 시험장에서 자신이 꿈에서 들은 글귀가 나오게 되자 줄줄 써내려 갔다고 합니다.
채점이 끝나고 시험관들이 합격한 답안지를 모아 임금에게 바쳤는데 그 중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맨 위에 올려 임금에게 승인을 받았다고 해요.
이 때 맨 위의 답안지가 나머지 답안지를 누른다고 해서 압권이라고 했어요.
요즘에는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뉴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자어를 익히다보면 실제 뉴스에서 사용되는 한자어가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됩니다.
아이들이 뉴스를 보면서 자신이 책을 통해 익힌 한자어를 듣게 된다면 기사가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느껴질것 같아요.
한자어 같지 않은 한자어에서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이 많이 나옵니다.
이판사판, 야단법석, 고자질, 아수라장 등 한자어같지 않은데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지 궁금해져서 계속 보게 되었어요.
한자만 따로 보면 어렵고 딱딱할 수 있지만 유래를 알면 재미있게 느껴져서 한번만 들어도 잊어버리지 않게 됩니다.
초등 국어 교과서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한자어를 가려서 구성되어 있어서 국어공부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요.
한자어 뿐만 아니라 속담, 사자성어까지 함께 익힐 수 있어서 [그래서 이런 한자어가 생겼어요]를 통해서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책인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