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의 숲 -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70가지 성장의 씨앗 ㅣ 10대를 위한 생각의 숲 시리즈
김종원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9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흔들리는 10대를 위한 특별한 인문학 수업 [질문의 숲]입니다.
120만 독자의 인문학 멘토인 김종원 작가님이 흔들리는 10대를 위한 특별한 인문학 수업이 담겨있는 책입니다.
10대는 친구관계, 공부, 꿈 , 학교생활등 모든 활동을 하며 나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는 시기입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운다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부모와 선생님이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의문을 가지고 질문을 하게 되면 인생의 수준도 높아집니다.
질문을 통해 내 마음을 깊이 들여다 볼 수 있고 나도 몰랐던 내 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책에서는 여섯개의 숲으로 분류해서 질문을 합니다.
주제별로 나에게 필요한 질문은 어떤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내가 평소에 힘든부분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면서 나를 찾아가고 내면을 튼튼하게 만들어 줍니다.

[ 왜 학생 때 공부하는게 최선일까? ]
학창시절에는 필요성을 느껴서 공부를 했다기보다 해야했기 때문에 또는 억지로 했습니다.
당연한 공부를 왜 해야하는지 납득하기 힘들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성인이 된 후 취업을 하기 위해 토익 점수를 따고 자격증을 따며 준비를 했고 직장에 다니면서는 결과물을 인정받고 싶어 늦은 시간까지 시간을 쏟아부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른이 되어서 종종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을 봅니다.
내가 지금 일하는 것처럼 학창 시절에 했다면 내 삶이 달라졌을꺼라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 생각해보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도 공부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이유는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으니까요'
예전이나 지금이나 공부하는것은 힘든일입니다.
모든 이가 좋은 대학을 간다고 좋은 곳에 취업하고 좋은 인생을 사는것은 아니지만 그렇지 않게 되면 나만의 길을 찾기 위해 더 많은 최선을 다하고 나를 증명해내야 합니다.
공부해야 할 시기에 최선을 다한다면 나중에는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일에 시간을 쓸 수 있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던지 그 선택의 대가는 내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는게 지옥처럼 느껴진다면서 왜 벗어나려고 하지 않을까? ]
사는게 지옥처럼 고통스럽다고 짜증만 내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춰있습니다.
답답하고 힘든 시간이라면 그 자리를 빠르게 지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노력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10대도 마찬가지고 성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상황을 해결할 생각을 하고 뭐라도 시도하면서 지금을 벗어날 시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해줍니다.
지금 무기력하다고 그 순간에 정체되어 있다면 그리고 그 시기를 반복하다보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고 시간만 흘러갈 뿐입니다.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면 당연하게 생각하고 부딪쳐보는 경험을 해보는것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나는 너무 인생을 편하게만 살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돈과 성공을 얻으려고 하는 어리석은 생각을 했던것은 아닐까 반성하게 됩니다.
학창시절에는 가능할 수 있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같은 생각을 하게 되면 삶이 힘들것 같습니다.
현재 내 상황이 어떤지
나에게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생각해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합니다.
평소에 당연하게 생각했던 주제들을 질문으로 어떤 답변을 해야하는지 생각해보게 합니다.
'우리는 왜 서로에게 인사를 해야할까?'에는 예절도 좋고 남의 시선을 생각해서 하는 인사도 중요하지만 모든 기준은 '나'에게 두고 내가 좋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담아서 하는 인사는 아름다운 선물로 남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행동도 남이 시키거나 기분이 안좋을때는 하기 싫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사를 해야하는 정확한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내 행동에 대한 이유가 설명이 되기도 합니다.
학창시절에는 공부도 중요하지만 친구관계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들로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주변친구가 내 뒷담화를 한다거나 또는 주변지인이 다른 사람을 욕할 때 어떻게 반응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내 기분은 어떤지를 생각하면서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각 주제마다 한 바닥의 마음 필사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읽고 생각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이 내 생각에 들어가서 글을 써본다면 내 생각이 구체화되고 실천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