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디어 만나는 심리학 수업 - 유쾌하고 깔끔하게 정리하는 심리학 필수 지식 ㅣ 드디어 시리즈 1
폴 클라인먼 지음, 문희경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9월
평점 :

프로이트는 우리의 감정과 신념, 충동, 기본 정서는 무의식에 파묻혀 있어 깨어 있는 정신으로는 알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면서도 의식이나 무의식만이 아니라 그 이상의 의식 차원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빙산을 떠올려봅시다. (-27-)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서의 정신에서 아니마는 여성의 이미지이고, 여성의 정신에서 아니무스는 남성의 이미지입니다.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결합하면 '시지지 Syzygy'라고 합니다. 시지지는 온전성을 창조하는데, 두 사람의 영혼이 동반자가 되어 아니마 anima 와 아니무스 animus 가 결합한 상태입니다. 시지지는 신성한 한 싸이라고도 하고, 온전성, 통일성, 완전성을 상징합니다. 이런 이유로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개인의 '진정한 자아'를 의미하며 집단 무의식과 소통하는 주요 원천입니다. (-34-)
아들러은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프로이트 학파에서 나와 독립적인 학파를 만든 최초의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는 이 학파를 '개인심리학 Individual Psychology'이라 불렀고,주요 개념으로 열등감 Inferiority complex을 내놓았습니다. 우리 내면의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애써온 결과가 바로 성격과 행동이라고 이야기했죠. (-151-)
이제 쥐를 상자에 넣고 레버를 누를 때마다 먹이도 전기 충격도 주지 않습니다. 그러면 쥐는 레버를 누르는 행동을 긍정적 조건이나 부정적 조건과 연결하지 않으니 이 행동은 약해질 것입니다.이것은 '소멸'의 예시입니다. (-195-)
밀그램은 평생 연구자로 지내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1959년부터 1960년까지는 사회적 순응에 관한 충격적인 실험으로 유명한 심리학자 솔로몬 애시에게 학문을 배웠습니다. 1961년에는 가장 악명 높고 영향력 있는 심리학 실험으로 손꼽히는 '복종 실험'을 시작햇습니다. (-249-)
내향성과 외향성:내향성은 내면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향입니다. 외향성은 주변 사람들과 화경으로 주의를 돌리는 성향입니다.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활발하고 사교적입니다.
신경증과 정서적 안정성: 신경증은 감성적 상태가 되거나 감정이 잘 상하는 성향이고, 정서적 안정성은 정서가 안정적으로 잘 유지되는 성향입니다.
정신병적 성향: 정신병적 성향이 높은 사람은 적대적이고 반사회적이고 조작적이고 냉담한 성향을 보이고, 자신이 현실에 대처하기 어렵다고 느낍니다. (-291-)
두려워하는 대상과 마주칠 때 심각한 공포나 공황을 경험합니다.
숨이 가빠지고, 땀을 많이 흐리고, 어지럽고, 몸이 마비되는 등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경험합니다.
자신이 극도로 두려워하는 대상을 피하려고, 온갖 방법을 동원하느라 일상과 일과에 영향을 받습니다.
다음에 두려워하는 대상과 마주칠 상황을 강박적으로 각하고, 머릿속으로 그 대상과 접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그립니다. (-352-)
일상 속에서, 우리가 놓칠 수 없는 대화 꺼리 중 하나로 심리학이 있다. 심리학은 일상 속에서, 서로 대화의 주제가 될 수 있고, 삶은 심리아 긴밀하게 엮여 있다. 성공하고 싶은 사람, 내 안의 어떤 문제르 해결하고 싶은 이들, 마케팅, 장사,영업을 하는 이들, 기업 경영, 조직 운영, 상처, 고통,정신적인 명력, 꿈, 운명 등, 심리와 동떨어져 살기 힘든 세상이다.
인간에 대한 심리가 있다면, 동물에 대한 심리도 존재한다. 동물 행동 교정에 있어서, 비언어적인 행동으로 제어를 하기 위해서, 동물의 심리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추가적으로 이 책은 프로이트, 구스타프 융, 아들러의 심리학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인간의 무의식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인간이 어떤 방어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 고문이나, 억압, 공격적인 행동, 낙담과 불안에 대해서, 서로 놓칠 수 있는 요소들을 다루고 있었다.
어떤 사람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물안해 하는 이유, 길을 가다가 누군가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 예기치 않은 심리적인 이유로, 심리적 트라우마가 발생하여, 인생을 망칠 때, 그림이나 미술을 이용하여,심리치료르 할 수 있다. 교도소가 만들어질 때, 심리학자 필립 짐바드로가 생각했던 질문 하나'개인에게서 존엄성과 개성을 박탈하면 어떻게 될까?"에 대해서 논하는 와중에 참가자를 모집하여, 죄수와 교도관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고,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