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탄생
정명섭 지음 / 생각학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1 운동의 목적과 의의, 사탕수수 노동자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의 탄생
정명섭 지음 / 생각학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병길이 아저씨의 말대꾸에 다들 폭소가 터졌다. 하와이에 온 조선인 상당수는 남자였다. 그리고 이들은 결혼하기 위해 조선에서 여성을 데리고 왔다. 하와이 원주민이나 백인과 혼인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들도 싫어했고, 조선사람도 꺼려했다. (-14-)



무엇보다 오아후나 본토는 하와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장소였고, 이는 외면하기 어려운 장점이었다.오아후의 도시인 호놀룰루로 간 조선인들은 파인애플 가공공장에서 일하거나 작은 가게를 열어서 생계를 유지했다. (-30-)



"구미의 열강들이 중국 땅을 차지하고 자기네 영토처럼 지배하는 것이지. 우리도 나라를 빼앗기기 전에 제물포나 목포의 일부를 일본이 차지하고 자기네 땅처럼 쓴 적이 있지." (-57-)



갈매기가 배를 따라잡으려는 것처럼 열심히 날개를 움직였다. 난간에 기댄 채 갑판에 서 있던 진수는 스쳐 지나가는 갈매기를 물끄러미 바라봤다. 현 목사는 진수의 모른쪽을 주시하고 있었다. 진수가 목사님의 시선을 따라가자 그 끝에는 한 부부가 서 있었다. (-79-)



"구라파 대전이 어떻게 끝날지. 그리고 그 여파가 어떻게 미칠지에 대해서 머리를 모아서 생각해봤지.일단은 일본이 승전국인 영길리와 불란서의 편에 선 상태라서 바로 전쟁을 벌일수는 없었어. 만주와 연해주에 독립군이 있긴 했지만 그들만으로는 조선 땅을 공격할 수 없었으니까. 그리고 설사 공격해서 수복한다고 해도 일본이 다시 군대를 보내면 막기가 힘들었을 거야." (-126-)



청소년 소설 『대한민국의 탄생』은 조선이 대한제국을 거쳐 일제강점기를 지나, 대한민국으로 탄생되는 과정 하나하나를 소설로 풀어 나간다. 100년전 조선은 풍전등화였다. 일본의 힘을 안이하게 생각하였고, 식민지가 된 이후, 조선은 망국의 길로 들어섰다. 조선은 쇄국정책을 유지하였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으로 서구 열강의 기술과 과학인프라를 받아들이게 된다. 일본은 서서히 제국주의 국가로서의 야심을 갖춰 나갔다.



소설 『대한민국의 탄생』에서, 구라파 대전이란, 유럽에서 시작한 제1차 세계대전을 의미한다. 이 전쟁에서,유럽은 독일에 의해 , 초토화되었으며, 조선에 일본이 침범하게 된다.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이 있었고, 러시아는 구라파 대전의 정중앙에 서고 말았다.대한민국의 헌법 제1조 1항의 역사적 의의는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1903년 1월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계약노동자로 일했던 101명의 조선인을 시작으로, 1905년까지 7천여명이 하와이에 도착하였다. 소설의 배경이 사탕수수노동자의 삶을 시작으로, 소설 속 주인공 진수가 마주하고 있는 조선인으로서의 아픔, 일본의 식민지로 존재했던 조선이 , 파리 강화회의에 참석하여, 식민지 조선의 상황을 국제적으로 알리려 했으나 실패로 끝났으며, 세계열강의 이해관계만 재확인하였다.이 역사적 사실 속에, 수많은 조선인들의 죽음이 있었고, 우여곡절 끝에 , 서구열강의 이해관계에 의해서, 대한민국은 탄생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 생각 빨강머리앤 그림책 1
성은경 지음, 최유정 그림 / 빨강머리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멕가이버 아버지가 생각나는 그림동화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 생각 빨강머리앤 그림책 1
성은경 지음, 최유정 그림 / 빨강머리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1980년대에 농촌 드라마 『전원일기』,『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가 인기를 끌었다. 가난했지만, 서민적이면서,우리 일상과 비슷한 농촌 드라마는 팍팍한 농촌 현실 속에서도, 1차 산업으로서 농업의 중요성을 느끼게 하였고, 마을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모습들이 느껴졌던 그 시절이다. 지금은 농촌 드라마 대신, 농촌 예능 프로그램 『나는 자연인이다』 이 대신한다.



그림 동화책 『아버지 생각』은 나의 어린 시절,인터넷이 없었던 그 때를 추억하게 했다. 지금은 시골에 흔한 트렉터가 있다. 트렉터 하나로, 경운기가 했던 일을 대신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엔 경운기가 최고였다. 농업기술센터라는 단어 대신 농촌지도소가 있었다. 외사촌 형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농촌 시골에서 자랐기 때문에,어려서부터 혼자서 경운기 운전이 너무 익숙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좁고 비포장 시골길을 다니다가, 경운기 사고는 종종 있었다. 밭으로, 논으로, 경운기에 참을 가득 실어나르고, 어두 컴컴한 밤에 집으로 돌아오면, 내가 지였던 농산물을 경운기에 가득 실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경운기 위에서 옹기종기, 같이 탔던 기억이 있다. 



물론 이 그림 동화가 나에겐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지금처럼 저출산 인구구조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었으며, 통상적으로 세자녀를를 낳는 게 기본이다.이 그림 책 속에서, 내 남매가 나오는 것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우리는 그렇게 살았고, 길에서, 배가 출출할 땐, 나무 위에 열린 소소한 과일을 심심하면 따먹었던 기억이 있다. 무론 시골이어서, 뱀이 흔하게 출물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승 우체부 배달희 다산책방 청소년문학 29
부연정 지음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사실 나도 나를 이해할 수 없다. 아저씨와 헤어진 후 왜 곧장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흙길을 거스러 가고 있는지, 이 길은 서천을 건넌 망자들이 따라 걷는 길이었다. 미련을 훌훌 털어버린 하루와 명지은 아주머니도 이 길 끝으로 사라졌다. (-150-)

다산책방에서 출간된 청소년 문학상 수상작품 『저승우체부 배달희』 는 소심하고, 부끄럼 많은 주인공 배달희가 등장하고 있다. 학교에서, 조용하고, 평범한 일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달희는 친구가 내 곁에 있다가 갑자기 멀어지는 상황이 나타났으며, 그 이유를 본인은 잘 모르고 있었다. 달희는 소심하였고, 부끄럼 많았으며, 용기가 없었다.

달희에게, 죽은 이, 즉 망자의 마지막 편지를 전해주는 일을 도맡아하게 되는데,이승과 저승을 오가면서, 저승이 내가 생각했던 그 모습과 다르며,매우 평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전해줄 편지 속에 숨어있는 아픈 사연들을 달희가 스스로 우체부가 되면서, 조금씩 바뀌었다. 마지막 순간에 남기지 못했던 작별인사나, 작별로 인해, 내 안의 속마음을 못하는 것,그것이 내 삶에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지 느끼게 했다.

달희의 모습은 나의 또다른 모습이다. 용기 내지 못하고, 누군가에게 상처 받을까봐 두려워했으며,그것이 때로는 아픈 상처가 되었다. 후회하지만, 잘 고쳐지지 않았다. 달희의 숨겨진 마음이 느껴졌으며, 그 모습이 달희가 고치고 싶었던 성격이지만, 스스로 고쳐지기 힘든 성격이다.우리가 삶 속에서 마주하고 있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보이지 않는 이야기들, 자신의 열등감이나, 트라우마를 숨기기 위해,때로는 거짓말을 하였고, 진실을 가까운 이들에게 말하는 것보다 거짓말을 하는 것이 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