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업도 여행처럼! 프로젝트 수업 왕초보를 위한 PBL 프로젝트 수업 재미있게 하기 - 프로젝트 수업계획 8단계 학년별 프로젝트 실천(수업사례)·프로젝트 수업 기록
안현준.김지현 지음 / 광문각출판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생 주도성이 실현되기 위해 교사 주도성을 발휘하여 교사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 주도성이란 자신만의 교사 교육과정을 잘 운영하기 위한 역량을 뜻한다. (-13-)
프로젝트 수업 중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많이 들어 있는 교과나 가장 많은 차시를 차지하는 교과를 중심 교과로 선정하면 된다. 중심 교과를 정하는 이유는 큰 뼈대를 잡기 위함이다. 중심 교과가 있어야 다른 교과를 덧붙이지 휠씬 수월하다. (-19-)
프로젝트를 학교 행사와 연계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다. 스포츠 데이 행사에서는 다양한 체육 활동을 학년에서 진행하게 된다. 학년 전체가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업사이클링 놀이를 진행하면 좋겠지만, 재활용품을 모으고, 그 재활용품으로 활동을 하는데도 큰 노력이 필요하다. (-53-)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주도성과 더불어 교사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주도성이 되어야 하교 내 프로젝트 수업이 가능해진다. 학교 교과 내에서,주제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교사를 통해 진행할 수 있고,그 주제에 맞게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한다.교사라면,프로젝트 수업을 할 때,계획세우기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자료 수집과 학습 자료를 만드는 것이 어렵다.
프로젝트 실천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업 기록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주제 중심 프로젝트 수업의 취지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심 교과 정하기, 성취 기준 분석하기. 활동 브레인스토밍 , 핵심 활동 및 루틴 장하기, 한장 정리, 마중 그림 만들기, 시각화 자료 만들기까지 ,체계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고,계획하기, 실천하기를 통해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서,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프로젝트 수업에서,가장 핵심은 주제정하기와 시각화하기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기였다. 내 가까운 곳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내가 사는 지역을 주제로 정한다면, 내 지역의 숨어있는 특징이나 관광자원을 찾아낼 수 있고, 자료수집이 빨라진다. 하나의 아이디어와 주제가 새로운 아이디어, 주제로 확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생 주도성을 통해, 문체부 공모사업에 지원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역사 투어 코스를 만들고, 역사이야기 그림책을 만든다는 것이 독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