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 불안과 친구가 되기로 했다 - 걱정이 시작되거든 마음속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라
장신웨 지음, 고보혜 옮김 / 알토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 6월 8일 15시 57분. 내가 이 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한 것은 마음이 몹시 어수선하고 괴로웠기 때문이다. 잘 풀리지 않는 회사 일과 직원들 문제로 스트레스가 최고조였다. 그때 이 책을 통해 곤경에서 벗어났다. (-17-)

불홛실성이 불안을 가져온다. 하지만 불안을 부풀리는 진짜 주범은 미래에 대한 '부정적 예측'이다. 다시 말해 미래에 대한 '끔직한 상상'이 더 큰 불안을 부르고 두려움은 몸집을 불리는 악순환을 거듭하나. 이로 인해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 초조해지고 허무와 위기의식에 빠진다. (-27-)

나는 누구라고 느끼는가 = 자기감각 Sense of Self

나는 누구라고 생각한다. = 자아인식 Self-awarenesss

나는 타인과 무엇이 다른가 = 자아경계 Ego Boundaries

나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 자아정체감 Self-identity (-48-)

기회와 유혹이 가득한 시대이다. 화려한 생활을 선보이는 아이돌, 연예인,유튜버가 가장 선호하는 직업으로 등극했다. 그들은 마음껏 자신을 발휘하고 내세운다. 팬들은 그들의 활동과 움직임 하나에도 반응하며 환호하고 눈물까지 흘린다. 만인이 주목하는 막강한 '전능감'에 너나없이 빠져든다. (-99-)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미지의 영역에서 겪게 될 감정의 과정 때문이다.자신이 지켜내는 품위는 내면을 수천 번 갈고 닦은 결과이다.자신과 화해하고 자신을 안 뒤에야 진정으로 도착하는 곳이다. (-120-)

행복한 사람의 특징

따뜻하고 힘을 주는 부모님이 있다.

내면에 안정감이 있고 정신적으로 돌아갈 동지를 쉽게 찾는다.

자신의 가치를 믿고 생활에 자신감이 넘친다.

낙관적이고 타인을 신뢰한다.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믿는다.

합리적인 경계를 정하고 타인과 교류하면서도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줄 안다.

자신을 귀하게 여기고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125-)

걱정과 불안은 함께 따라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이거나, 어떤 기회가 나타났을 때,그 기회를 놓칠 때, 자기 스스로 불안하고, 스스로 무력해진다. 사람이 나에게 주는 이익과 해로움이 교차되고 있을때, 예측에서 어긋나거나 끔직한 상사을 할 때면,,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스스로 부정적인 마음을 삼키며, 평소와 다름 없는 일상을 노출하고 싶어질 때가 있다.

걱정이 사라지면,불안도 사라진다.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껴지면, 불안이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어느 순간, 나의 온몸을 휘감고 있으며,스스로 마음이 무너질 때가 있다. 예고되지 않는 전화한 통화로 인해 나는 불안하고, 불청객이 집에 왔다 간 것마냥 하루 일상이 무너진 채, 스스로 좌절감을 느끼며 살아갈 때가 있다.

즉 사람에 대한 불신과 부정적인 생각이 나를 불안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나는 내면을 단단하게 바꾸고 싶지만,외부적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에 노출되고,사람에 대한 트라무마가 샘솟을 때가 있다.사채업자가 나에게 돋을 받으러 오는 기분이 들면 불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들보다 내가 할 수 없는 일들이 더 많아지면, 나는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회의감이 느껴질 때가 있다. 불안이라는 것은 대체적으로 어떤 특정 사람으로 이인해 발생하고 있다. 일상의 단계마다,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들 속에서, 불안을 지혜롭게 받아들이면, 불확실한 상황에 내몰리지 않는 선택과 결과가 필요하다. 특히 과거에 비해 아는 것이 많아지고,사람과 사람 사이에 상식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불안과 만성적인 고통이 나를 힘들게 하고 있으며, 무기력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가 있다. 사람이 나를 불안하게 하고,관계가 나를 불안한 마음을 바꿀 수 없게 한다.밤 늦은 시간에 울리는 카톡 소리에 불안을 느낄 때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