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음, 강해근.나진규.장견실 옮김 / 풍월당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흐는 객관적 예술가다. 객관적 예술가들은 전적으로 자신들이 사는 시대에 속해 있으며,오로지 그 시대가 제공하는 형식과 사상만으로 작품을 만든다. 그들은 주어진 예술적 표현수단에 비판을 가하지 않고,새로운 길을 개척하려는 내적 욕구도 느끼지 않는다.그리고 그들의 삶과 체험이 그들의 예술이 자라는 유일한 터전이 아닌지라 그들 작품의 부리를 예술가 개인의 운명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 (-27-)

쉬츠는 치글러의 책이 나오자마자 입수해 읽고서 친척인 저자에게 따뜻한 말씨로 쓴 편지를 보내 독일어 '마드리갈'을 위한 저자의 노력을 음악의 이름으로 진심으로 치하한다. 그는 "오늘날의 새로운 시에 깃든 아름다운 착상을 좋은 양식의 음악으로 옮기고자 지금껏 여러모로 노력해 온 독일 작곡가들은 예술 작품에 가장 적합한 시 종류인 마드리갈이 여태 선택받지 못하고 뒷전으로 밀려나 있음을 늘 한탄스러워했습니다" 라고 쓰고 있다. (-122-)

1749년 1월 20일, 엘리자베트 율리아네 프리데리케 바흐(1726년생) 는 아버지의 신실한 제자 알트니콜의 아내가 되었다. 그느 결혼하기 얼마 전에 스스의 추천으로 나움부르크의 오르가니스트직을 얻었다. 바흐는 이 둘의 결혼에 무척 기뻐했다. (-238-)

당시에 모든 예술가는 어느 정도는 악기제작자였고, 모든 악기 제작자 역시 예술가였다. 능력 있는 연주자라면 적어도 자기 악기를 잘 보수하고 유지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쳄발로의 부실해진 깃촉을 갈아 끼우거나 조율하는 것이 그런 일에 속했다. 이 두 가지 일에서 바흐는 대가였다. 포르켈이 쓰기르,"아무도 쳄발로 깃촉을 그의 마음에 들게 조정하지 못해 그는 그 일을 스스로 했다. 그는 쳄발로 뿐만 아니라 자기 크라비코드도 직접 조율했는데, 하도 능숙하게 조율을 해서 결코 15분을 넘긴 적이 없었다. "(-322-)

뵘 방식의 코랄에서처럼 정선율이 꾸밈음으로 치장되었다면, 그 정선율은 때때로 클라리넷 성격의 레지스터를 취하면 아주 아름답게 들린다. 만약 동시에 스웰건반의 작은 믹스추어를 취하고 , 여기에 기본스톱과 오보에 음색을 더하면 매우 멋진 혼합 음색을 끌어낼 수 있다. 그러면 뵘 방식으로 쓴 이 코랄전주곡들은 특별히 부드럽게 울릴 것이다. (-459-)

바흐는 건반악기 작품에서도 자신이 바이올리니스트임을 감추지 않고 있다. 감추기는커녕 클라비어 작품 곳곳에서 자신이 바이올리니스트임을 당당히 드러낸다. 바흐의 클라비어나 오르간 음악의 양식상 전조 가능성을 건반악기에도 적극 적용했던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는 다성적 연주의 가능성과 활로 소리를 내는 현악기의 장점도 갖춘 이상적인 악기를 위한 음악을 마음속에 품고 있었고, 그래서 하나의 현악기를 위한 다성부 음악을 작곡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579-)

돌이켜 보면 미학자들은 새로 발굴된 작품들에 모두 달려들어 한번쯤은 모든 음악의 근본적인 문제에, 즉 주제 발상의 본질 연구에 열정을 쏟는 것보다 더 시급한 일은 없다고 생각을 모았어야 했다. 사실 그럴 만한 유혹도 충분히 있었다. 칸타타의 악보 몇 권만 훑어보면 누구라도 다른 어떤 음악에서도 그 유례를 찾지 못할 눈에 띄는 특징적인 것의 반복, 내적 친근성, 동일 주제의 변형 등에 매료되기 때문이다.《마태수난곡》 의 주제들만 해도 수수께끼투성이 아닌가. (-650-)

나는 말을 배우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음악적 표현 능력을 길렀다. 이제 나는 음악의 언어를 완벽하게 익혀 마치 모국어처럼 마음대로 다루게 되었다. 그래서 무엇을 말하고자 할 때 표현 양식 같은 것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었다.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표현을 동원하고, 어떤 직관이나 느낌을 내적 충동에 따라 전달했던 것이다. (-716-)

바흐 사후에 작성된 「고인의 약력」 에 의하면 그는 총 5년분의 칸타타 시리즈르 완성했다. 라이프치히에서는 한 해에 주일과 축일을 합해 모두 59회 교회 칸타타가 연주되었다.그렇다면 바흐는 295곡의 칸타타를 작곡했어야 하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190곡이고, 그 가운데 약 165곡이 라이프치히 시기에 작곡되었다. 바흐가 성토마스교회의 칸토르직을 맡은 햇수가 27년이니, 한 해에 6곡을 작곡한 셈이다.이것은 텔레만 같은 막곡가의 생산력에 비하면 그리 많은 수는 아니다. (-851-)

이런 세부적 묘사는 모케스트라가 생생하 표정으로 실감나게 드러내지 않으면 청중이 이를 못 듣고 지나친다. 겟세마네에서 잠자는 제자들을 향한 예수의 발언 반주(제32곡) 가 한 예다. 다음의 모티브에서는 듣는 이가 번민하면서 제자들을 흔들어 깨우는 예수의 모습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948-)

이 칸타타 역시 피칸더의 제안인 듯하다. 폰디스카우는 세무서에서 피칸더의 상관이었다. 피칸더는 그에게 잘 보여야 할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으로는, 어쩌면 이 사람이 드레스덴에서 바흐를 후원한 인사 가운데 한 사람이었을 수도 있다.이 추측의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폰디스카우 부인이 1752년 바흐의 장남 빌헬름 프레데만의 첫 아들 대모로 올라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1051-)

부활절 후 제2주일 칸타타 <나는 선한 목자로다>(bmv 85, 1725)는 솔로 사중창을 위한 곳이다. 이 곡은 바흐의 작품 가운데 감미롭고 서정적인 곡 중 하나로, 특히 간결하면서도 애틋한 테너 아니라 "사랑이 행한 일을 보라" 는 특별히 언급해 줄 만하다. 소프라노 아리아 "주님은 나의 참된 목자"는 코랄 선율"높은 데에 계시는 하나님께만" 의거한 프렐류드 형식으로 되어 있다. (-1122-)

그렇지만 너무 약한 편성은 바흐의 작품이 연주되는 현대의 공간에서는 매우 불리하다. 현악기 반주에서 일반적으로 제1, 2 바이올린과 비올라는 각각 2개의 보면대, 첼로와 콘트라베이스는 각각 한 개의 보면대에 맞추어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흐느 <내 마음 다 바쳐 지극히 높으신 분을 사랑하네><BMV 174> 의 레치타티보에서 반주 현악기들을 3명씩 편성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1236-)

바흐 작품의 연주에서 현대 트럼펫 주자가 더 어려 울 수 밖에 없는 이유가있다. 이들은 -만약 오케스트라에 속해 있으면-바흐 연주 직전에 근현대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해야 할 테고, 그러자면 대개는 낮거나 또는 매우 낮은 음을 내다가 바흐를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바흐와 헨델만 연주하는 전문관악기 주자가 양성되어야 하고, 그들은 성악 솔리스트처럼 인기를 누리며 존경과 대접을 받아야 한다. (-1260-)

음악의 아버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는 1685년 03월 21일 독일에서 태어나 1750년 07월 28일 독일에서 사망하였다. 반면 음악의 어머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는 1685년 2월 23일에 독일에서 태어나 1759년 4월 14일에 영국에서 사망하게 된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와 음악의 어머니 헨델은 1685년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살아온 삶은 달랐다. 대대로 음악가문이며, 7대에 걸쳐 50 여명의 음악가를 배출한 바흐는 어릴 때,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났으며, 형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바흐는 교회 오르간 연주로 어린 시절을 보냇으며, 성 토마스교회의 칸토르직 으로 27년간 지냈다. 그가 살았던 18세기에 ,바흐의 음악은 거의 알랴지지 않았으며, 자신만의 음악세게를 구축하게 된다.

바흐 평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를 쓴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널리 알려지다시피 인류애를 실천한 의사였으며, 바흐 전문가였다. 풍월당에서 발간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1,339쪽의 벽돌책 임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졸업 후 ,음악에 문맹이나 다른 없는 이들에게조차도 바흐가 어떤 음악을 추구하였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독일 교회 음악의 변화와 그가 추구하는 독특한 음악 세계를 되집어 나갈 수 있으며, 교회 음악을 직적 작곡,제자했던 바흐와 달리 헨델은 귀족을 위한 궁중음악을 추구하였다. 헨델은 음악가가 되고 싶었지만, 아버지는 법률가가 되길 원했다. 헨델의 음악은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서, 법학과에 입학하였으며, 여전히 음악을 포기하지 않았다,

.이 책에는 바흐의 전작품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바흐의 생애를 유투브 동영상으로 접해 온 것 비추어 볼 떄,질로 보나,두께로 보나 큰 차이가 나고 있다. 머리맡에 두고 자도 되는 책이다.음악의 아버지 바흐의 음악적 가치는1829년 멘델스존의 《마태수난곡》 으로 인해 바흐에 대한 대평가가 시작되었으며, 1899년 비로서, 바흐 협회 주관으로 46권으로 된 바흐 전집이 완성되었다. 바흐에 대한 전기자가로 알베르트 슈바이처 이전에 포르켈이 있으며, 슈피타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제 1권과 2권은 1873년, 1880년 출간되었다. 바흐 평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은 최소 세번은 읽어야 그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