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티브 웨이 - 도둑맞은 창조성을 되찾는 10가지 방법
리처드 홀먼 지음, 알 머피 그림, 박세연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한 20세기 소설 중 하나로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꼽을 수 있다. 이 작품은 1939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미국 대공황 시절의 상실과 상처, 시대의 절망에 맞선 사람들의 끈기를 다룬 이 작품은 스타인벡에게 퓰리처상을 안겨주었으며 노벨 문학상 수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3-)



반고흐는 좀처럼 작품을 그리지 못하던 무렵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적었다.

"넌 아무것도 그릴 수 없을 거야.'라고 화가에게 말하는 텅 빈 캔버스를 바라보는 것,이게 얼마나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지 넌 모를거야. 그 캔버스는 바보 같은 표정으로 날 바라보지.그리고 화가에게 최면을 걸어 그도 바보가 되도록 만들어버려." (-39-)



관습의 악마가 우리를 그토록 쉽게 발견하고 괴롭힐 수 있는 두 번째 이유는 우리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동물은 무리의 나머지가 하는 대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우리는 수치스러운 상황이나 당황스러운 감정을 본능적으로 배척한다. (-82-)



비판의 악마가 만들어내는 모든 목소리는 그저 목소리일 뿐이다. 이 목소리는 당신을 안내하고 용기를 주고 계속해서 나아가도록 도와줄 수 있다. 때로는 당신의 예술적 에고를 한껏 부풀어 오르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신이 그 악마의 목소리를 그대로 내버려둔다면 당신이 그 악마의 목소리를 그대로 내버려둔다면 당신이 단지 껍데기로만 존재하게 될 떄까지 악마가 창조적 영혼을 갉아먹을지 모른다.

타당한 의견에는 귀를 기울이자. 그러나 너무 자주, 너무 심각하게 듣지는 말자. (-131-)



성공은 모든 것이 생각한 대로 이뤄졌다는 자기 만족적이고 순간적인 느낌 외에는 아무것도 가져다 주지 않는다. 반면 실패는 기존에 가정했던 것을 새롭게 평가하도록 우리를 자극한다. 그동안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것에 의문을 품고 새로운 대답을 찾도록 만든다. (-177-)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일에 착수하기 전, 당신의 아이이디어는 장르와 역량의 제한에 갇혀 있지 않았다.이제 그 아이디어는 날아오른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비틀거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알고 있는가?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불품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상 속에서 그것을 끄집어내는 과정에서 크게 상처를 입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그 아이디어는 실제로 존재하게 되었다. 만지고, 다듬고 , 개선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다.

아이디어의 잠재력과 실행의 불완전함 사이 간극을 인식했다는 것은 더 발전해야 한다고 판단을 내렸다는 의미다. (-193-)



유튜버 크리에이터가 꿈인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부하지 않더라도, 모범생이 아니더라도, 아이디어,창의성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획력과 동영상 편집 능력, 여기에 아이디어로 남다른성어공과 성취를 꿈꿀 수 있다고 생각하며, 소수이지만 현실로 바꾼 경우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자체 최초로, 6급 공무원 김선태 주무관이 운영하는 충주시 공식 유투브 채널만 보더라도, 유튜브 크리에이터는 매력이 있는 직업 중하나다.



리처드 홀먼은 작가, 강연가, 크리에이티브 코치다.그는 위대한 화가나 소설가도 창조성을 도둑맞은 경험이 있다고 말한다.존스타인벡, 고흐 조차도,내면속 불안이 존재하였으며, 평생 자신의 삶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그의 위대한 창조성은 그의 사후에 발견되었다.청조성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그 기발한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꿀 수 있는 환경도 무시할 수 없다.



책에는 10가지 악마가 나온다. 미루기, 백지, 의심, 관습, 제약, 비판, 도둑질, 우연, 실패, 실망이다. 이것은 어린 시절에, 부모들은 내 아이의 창조성을 키우기 위해서, 10가지 악마들을 무찔렀다.실패하더라고, 잘한다고 응원하고, 격려했으며,기발한 생각과 아이디어를 어떻게 현실로 바꿔줄까 애썼다.그런 창의성 아이가 성장하면서, 어른이 되어, 창의성성은 소멸되고,소수의 창조적 크리에이터만 남아 있다.



즉 사회가 만든 관습이 문제다. 어떤 일을 도전하고, 모험하면, 그것에 대한 실패와 성공이라는 이분법적인 평가가 진행된다. 시도도 하지 못하고,미루게 되고, 사회의 관습에 따르지 않는다고 실행하기도 전에 무시 당한다. 창조성의이 씨앗과 뿌리가 송두리째 사라지는 일이 비일비재한 이유다. 결국에 그들이 선택한 길은 창조성을 회파하는 것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자도,자신의 창조성에 대해 거부당한 바 있다. 출판사가 거절하고,시대에 맞지 않은 이야기라 하며, 존재감 없는 것으로 치부할 수 있다.우리 사회가 만든 관습이 창조성을 무시하는 상황을 야기하고 있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용기이며, 스스로 일어나는 것이다. 10가지 악마가 나에게 숨어 있다면, 그것을 미리 제거하고,가시를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장소와 시간, 환경과 조건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창조성을 발달시킬 수 있고,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