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메리안 - 세계 최초의 곤충화가 두레아이들 인물 읽기 10
한해숙 지음, 이현정 그림 / 두레아이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의 곤충학자이자 박물학자인 장앙리 파브르는 1823년에 프랑스에서 태어나 1915년 10월 11일 세상을 떠났으며, 그는 1878년 그의 대표저서 『파브르 식물기 』 를 출간하게 된다. 『종의 기원』을 쓴 찰스 로버트 다윈은 1809년에 태어나 1882년 세상을 떠났다. 그들을 우리는 자연과학자라 부른다. 파브르가 『파브르 곤충기』 를 쓰기 전, 곤충의 생테에 관심을 가진 또다른 이가 있었으니, 이 책에서 소개하는 세계최초의 곤충화가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이다. 마리아 메리언이 태어나기 전 유럽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살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발생설을 신봉하였다 지구에 태어나는 모든 식물과 생물들은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것으로 본 것이며, 나비와 애벌레를 별개의 종으로 생각하였다.메리언이 살았던 시기에는 자연과학이라느 개념이 없었던 시기다. 하지만 마리아 메리언은 애벌레의 생태에 대해서 기존의 통념에 대해 강한 의심을 품었다.






그 의심이란 기존의 통념들을 무너뜨리는 의심이다. 메리언이 살았던 1650년 ,그 때 당시 곤충이나 벼룩을 알마다 만들어낸 짐승이라고 생각했던 시기였다 .농촌에서 식물이 자라고, 그 식물에서 먹거리를 해결하던 자급자족형 먹거리 산업 시기였으며, 마녀로 낙인찍어 화형을 시키는 시기였던 그 당시였기 때문에, 메리언의 의심은 온전히 메리언 자신의 것이었으며, 튤립파동이 있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아빠 없이 홀로 지내던 시간이 많았던 메리언이 곤충에 관심을 가지고, 하루 내내 곤충의 생태를 그림으로 남길 수 있었다는 건, 자연과학이 태동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대적 전환점을 마리아 메리안에 의해, 만들어 졌다는 점에서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즉 네덜란드산 튤립이 아주 비싸게 팔렸던 그 시기, 메리언이 그 비싼 튤립을 직접 그림으로 남기기 위해 시도한 잘못이 메리언의 인생을 바꿔 놓았다. 튤립을 그림으로 남기면서, 자신이 생각한 의심을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럽에서 볼 수 없는 곤충과 식물을 직접 찾아가기로 하였고, 그 시대에 동인도회사를 찾아가, 자신이 꿈꾸었던 것을 반드시 실현시키기로 결심하였다. 메리언의 꿈이 성공하려면, 아프리카, 아시아로 생명을 건, 험난한 뱃여행을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자연과학자로 대표되는 『종의 기원 』 을 남긴 찰스 로버트 다윈 이전에 마리아 지빌라 메리언이 있었다. 그녀가 걸어온 험난한 길,목숨을 걸고, 그 험난한 길을 걸어갈 수 있었던 이유, 꿈과 열정으로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 혼자서 직접 사유하고,의심하였던 것들을 풀어내는 과정 속에 마리아 메리언의 삶이 함께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