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성취 그리고 ‘한계‘의 ‘뿌리‘. 어쨌든 단숨에 몰입해서 읽었다.
‘신냉전‘의 양상을 특히 기술-경제 전쟁에 집중해서 다뤘다.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이야기들을 두루 균형감 있게, 너무 깊지 않은 수준에서 접할 수 있다. 다 보고 나면 현재의 미중 대결이 체제의 명운을 건 방대하고 거대한 싸움임을 실감할 수 있다(특히 패권 상실기에 접어든 미국이 그렇다). 전반적으로 신중한 태도로 상황을 본다는 점이 전체적으로 보자면 장점이지만, 또한 그러한 점이 날로 격화되는 신냉전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말하는 결론을 평이하게 관념적으로 만들어버렸다. 어쨌든 현재 미중 갈등의 양상을 전체적으로 살피는데 아주 유용하다.
신냉전 상황에서 한미동맹 하의 우리에게도 불똥이 튈 여지가 다분한 대만 문제를 우리의 시야에서 다뤘다. 특히 일본의 재무장 문제를 팩트 중심으로 찬찬히 다룬 2장, 한미동맹이 어떻게 신냉전으로 말려들어갈지 살핀 3장은 잘 읽어볼 필요가 있다. 현 정부의 노골적인 미국 일본 경도가 한반도 전체에 미치는 파국적인 위험성을 생각할 때, 더 널리 논의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