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전쟁이라는 신화 - 미국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의 추악한 진실 질문의 책 12
자크 파월 지음, 윤태준 옮김 / 오월의봄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미국 그리고 자본주의가 얼마나 파시즘 친화적이었는지 집요하게 파헤치는 역사가 자크 파월의 책. 《자본은 전쟁을 원한다》에서처럼, 모두에게 ‘좋은 전쟁’이었다는 ‘신화’는 사실 그로부터 가장 큰 이익을 얻은 이들에 의해 각색되고 구성된 ‘(나쁜 의미의)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것, 그러한 이야기들이야 말로 최악의 프로파간다라는 점을 세세히 밝힌다.
- 2차 세계대전 과정의 미국은 말 그대로 ‘야비’했다. 가장 거대한 전선이 펼쳐진 소련(공산당)-독일(나치) 상황을 대륙 너머에서 관망하며, 자신의 최대 이익을 위한 선택들을 펼쳐나갔다. 전선에서는 생각보다 무능력했지만(소련은 오로지 자기 힘으로 나치를 이긴 셈이다), 전장을 벗어난 상황에서 확보할 수 있었던 거대한 물질적 능력을 바탕으로 계속 패권만을 노렸다. 거기에 ‘민주주의’와 ‘자유’의 자리는 없었다. 그렇기에 나치와의 계속적인 거래가 가능했던 것. 사실 미국이 가장 증오했고 경계했던 것은 ‘사회주의’였다.
- 소련이 승기를 잡아내지 못했다면, 역사는 또다른 여러 형태로 전개될 수 있었다. 미국은 기진맥진한 독일을 제압하고 일정한 권력을 인정하면서 2위권 국가 정도로 공존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여지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여기에는 나치 독일과의 반공 동맹 수립 가능성까지 포함된다. 그 정도로 소련은 미국에게 ‘최악의 적’이었다. 평화적으로 존재하고 발전하는 것 그 자체가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레스덴 폭격, 나가사키 히로시마 원폭 등이 발생한 이유는 군사적인 것이 아니라 헤게모니적인 것이었다.
- 이러다보니 소련이 독일을 제압하는 과정 이후 미국의 선택은 각종 파시스트들을 반공 십자군으로서 살려두는 것이 된다. 전 세계 곳곳에서 2차 대전 이후 반공 파시스트들이 집권하는 데에는 미 패권주의 전략의 적극적인 비호가 있었으며, 이 모든 것은 ‘반공’과 ‘반소’로 수렴한다. 당장 항복 과정에서부터, 나치는 미국을 선호하였다(책에는 나오지 않지만 일본도 그랬다).
- 그래서 2차 대전의 책임은 독재자에게만 집중되고, 그와 유착된 제세력에는 각종 면죄부가 발행된다. 체제 차원의 역사 왜곡이 자행된 것. 행동 은폐와 역할 과장은 겨우 가짜뉴스 정도는 가뿐히 넘는 것이었다. 그것이 지금까지 가장 통용된 미국 중심의 2차 대전 공식 역사다.
- 2차 대전의 진정한 역사를 통해 사회주의와 소련에 덧입혀진 미국식 서사를 벗겨냄으로써, 자본주의-미국-파시즘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그 실체로부터 지금의 현실을 돌아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아주 흥미로운 책이다. 패권의 맥락에서 벗어나야 진짜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