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봄 그 해 여름
김성문 지음 / 서울문학출판부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어느 봄 그해 여름..
책 표지를 보면서 예쁜 꽃을 한가득 안고 있는 여성의 얼굴이
왠지 슬퍼보이고 사연이 있을 것 같아 인상적이었어요..
감성을 불어일으킬 이야기임을 표지에서부터 알수가 있었습니다.
어느 봄 그해 여름의 저자이신 김성문님께서는
동아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을 졸업한 이공계열 학도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공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는 공통점이 더욱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어느 봄 그해 여름은 중년 여성의 평범한 일상 생활에 활기와 생기가 넘쳐
그녀를 그저 한 가정의 어머니가 아닌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소설이었습니다.
목사의 아내로써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가정을 위해 묵묵히 살아야만 했던 그녀..
그녀에게도 생기 발라하고 열정이 넘치던 대학 시절이 있었습니다.
허나 그녀는 자신의 목숨을 구해진 현재의 남편과 결혼을 하여
목숨의 댓가에 보답한다는 듯한 마음으로 자신으로 희생하여 살아왔습니다.
물론 남편을 전혀 사랑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사랑보다는 배려와 희생에 가까운 생활을 해왔다고 할 수 있는 순종적인 중년 여성입니다.
목사인 남편과 목사의 길을 걸어가려는 아들을 키우는 여성은
남편의 묘지에서 자신의 인생을 바꾸어놓을 잔잔한 파도인 한남자를 만나게 됩니다.
그 남자는 첫눈에 그녀에게 반해 대학시절동안 그녀 주변을 맴돌고 그녀가 결혼한 뒤에도 그녀의 곁을 맴돌던 남자였습니다.
남편이 죽고 혼자된 그녀와 만나기 위해 노력하던 그는
오랫동안 감추어왔던 자신의 마음을 그녀에게 표현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녀는 이때까지 한번도 받아보지 못한 적극적인 사랑과 배려를 통해 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죠..
젊은 여성들도 다정한 말솜씨과 적극적인 태도에 호감을 가지게 되는데요~
무미건조한 일상 생활을 살아오던 그녀는 얼마나 더 끌렸을까요..
그의 적극적인 구애를 통해 그녀와 절친한 사이가 된 그..
하지만 그와 그녀에게는 남들에게 말하지 못한 비밀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화재 현장에서 그녀의 목숨을 구한 사람이
자신의 남편이 아니라 그라는 사실이지요..
왜 그사람은 그 사실을 좀더 일찍 그녀에게 말하지 않았을까요?
의무가 아니라 사랑으로 그녀에게 다가가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요?
그녀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고 화재 현장에 뛰어든 일로 인해
성악가였던 그 사람은 폐를 크게 다쳐서 더이상 노래를 부르지 못합니다.
그리고는 사고를 당한 폐가 문제가 되어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그는 죽어가면서도 그녀에게 진실을 말하지 못하고
그녀는 그 남자가 죽은 후에야
자신의 목숨을 구한 사람이 그라는 사실을 알게 되죠..
30년이라는 세월동안 자신의 주위를 맴돌며 사랑으로 지켜봐주었던 사람..
요즘 젊은 사람들은 사랑을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어요..
그저 원나잇 스탠드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가벼운 사랑으로
결혼 1년안에 이혼할 확률이 50%라는 사실이 그저 놀랍기만 한데요..
자신의 생이 마칠때까지
소유 못할 수도 있는 그녀를 잊지 못해
그녀의 주위를 맴돌며 끝내 그녀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주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남자와
주위 사람들의 시선을 과감하게 버리고
자신을 아껴주는 남자를 위해 모든 것을 버리는 여자..
엄마로써가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으로써
진실한 사랑을 찾아가는 그녀의 용기가 너무나 멋지고 대단해보입니다.
결혼 초반에는 남편과 자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나이가 들고나면
많은 여성들은 자식을 품에서 떠나보내고
매일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어느 봄 그해 여름은
중년 여성들이 느끼고 생각하는 잔잔한 마음들을 잘 묘사하여
그녀들에 대한 이해를 돕게 하고 있으며
어머니도 여자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인지시켜주는 소설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어머니 또한 반복되는 일상에서 도피를 꿈꾸고 계신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제라도 어머니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어머니께서 젊은 시절의 열정을 다시 찾을 수있도록 도와드려야겠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과거와 현재를 왔다갔다해서 지루함은 없었지만
조금 정신이 없기는 했어요..
초반부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고생하기도 했지만
내용의 전개가 빨라서 눈을 떼지 못하겠더라구요..
책을 읽다가 수정할 곳을 발견했어요..
178 페이지 아래에서 6째줄 너무 시간 은 너무 이른 시간으로
아래에서 2번째 줄은 많은 듯싶었다는 많은 듯 싶었다로 수정해야하지 않나 생각되네요~
감성적이로 섬세한 말투로 어머니들께서 너무나 좋아하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