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네스
황명화 지음 / 하다(HadA) / 2012년 1월
평점 :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각 장애인들이 있는데요..
얼마전 지하철에서 개념상실 할아버지 동영상을 보고 충격에 받았었습니다.
안내견을 데리고 탄 시각장애인에게 욕설을 하고 개를 폭행하는 할아버지..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하지만 사람이 어떻게 그런 행동을 할 수가 있는지..
아이들이 무엇을 보고 자랄지 의아함을 자아내는 행동을 하는 할아버지를
주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말리지 않았다는 행동 또한 충격적이었습니다.
앞이 보이지 않는 답답함을 해소해주고 주인이 안전하게 보금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는 안내견들은 퇴행성 관절염이라는 질환이 자주 걸린다고 합니다.
혼자 걸어도 힘들텐데 먹을 것을 참고, 소변도 참고, 자신들의 욕구를 자제하면서
주인이 안전하게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생각하면서 많은 거리를 걸어 다니기 때문에
얻게 되는 질병이 아닐까합니다.
사실 하랑천사 역시 동물을 그다지 좋아하는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안내견은 좋고 싫고를 떠나야 하는 동물이 아닐까요?
그들은 시각 장애인들의 또다른 눈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그저 단순한 개라고 취급받을 일이 아니라는 것은데요.
시각 장애라는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피아니스트로 거듭날 수 있었던 예지씨는
그녀의 가장 큰 성공요인으로 그녀의 첫번째 안내견을 손꼽는다고 합니다.
그녀를 학교까지 데려다주고 연주하고 수업받는 동안 얌전히 앉아서 기다리고
그녀가 다시 집으로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했었던 창호..
창호는 림프종이라는 암을 진단받았지만 다행스럽게도 큰 고통없이 편안하게 세상을 떠날 수가 있었습니다.
창호의 주변에는 아껴주고 사랑해주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 아닐까싶습니다.
이 책은 사람의 입장이 아니라 안내견 창호의 입장에서 쓴 글이라서 더욱 색다른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마치 사람처럼 피아노의 선율을 즐길 줄 알고 전생에 베토벤이 었던마냥 음악을 이해할 줄 알았던 창호..
열심히 예지씨를 보호하고 이끌었지만 노견이 되면서 은퇴를 할 수 밖에 없었던 창호..
사람들조차 눈에서 멀어지면 잊혀지기마련이건만 창호는 예지씨를
오랫동안 기억하고 죽는 순간까지도 잊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오히려 사람보다 훨씬 더 나은 동물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자신들의 이기심만 채우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을 짓밟는 일을 아무렇지 않게 해버리는
많은 사람들보다 자신의 임무를 충실하게 죽기 직전까지도 해내고자 했던 창호는 우리 사람들이
본받아야하는 동물이 아닐까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