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미래전략을 말한다 - 세계 패러다임 변화와 우리의 선택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 미래전략기획 총서 1
임춘택 외 지음 / 이학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2030년 미래 전략을 말한다..

카이스크 과학저널리즘 대학원 ' 미래전략기획' 강좌를 책으로 편찬한 도서인데요~

세계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해 한국은 어떤 길을 가게 될 것인가를 예측한 책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9명의 저자를 통해 예측해보는 대한민국의 미래..

글로벌 시대에 대응하는 가치 창출 전략, 미래 사회의 특징과 파워 허브의 변화,

과학의 발전과 인간의 삶, 미래 사회 변화와 융합 기술 예측,

그린에너지 기술 개 발 동향 및 전망, 우주 개발의 역사와 인류의 미래,

동북아 정세 변화와 우리의 선택, 인구구조 변화와 노후를 위한 재무적 대응,

21세기 세계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와 과제로 이루어진 이 도서는

21세기 글로벌 시대를 이끄는 미래 가치가 무엇인지를 알고 대비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양한 나라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의 원인과 사태 파악을 통해

앞으로 일어날 일들과 예방책에 대한 모든 분야를 다루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책입니다.

환경부터 과학기술, 사회의 다양한 면을 예측하고 검토해볼 수 있는 도서..

100년도 안된 시간동안  국민소득률을 100배 이상 기록한 나라인 대한민국,,

하지만 대한민국은 현재 선진국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눈앞에 두고 진전도 후퇴도 하지 못하고 

정체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가 선진국으로 앞서 나가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해야할지도 알려주고 있는데요..

다른 나라보다 범죄라는 처벌에 약하고 힘있는 자에게 약하고 힘없는 국민이나 약자들에게 

강한 대한민국의 근본부터 바꾸는 것이 급선무인 것 같습니다. 

과소비를 부추기는 기업들에게 경고는 커녕 잘한다고 칭찬해주면서 세금 감면의 혜택까지,,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다양한 비리들이 난무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달하지 못하는 것은 어찌하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기초과학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정부의 교육정책 또한 문제입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자연과학 분야를 선동해왔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제대로 지원도 못받고 있는 실정인데요..

매번 닥치면 사태 수습이 급급한 행동들 역시 고쳐야할 사항이 아닌가 싶습니다. 

20년이 지난 시즘에서는 미국을 제치고 중국이 1위의 경제력을 자랑할 것이라는 다양한 추측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하랑천사가 생각하기에도 단연 인구수를 보더라도 중국이 1위로 오를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중국에 대해 하찮게 생각하는 대한민국 사람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자산이 

우리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인지해야하는 건 아닌지..

일본보다 더욱 경제력있는 중국과 손을 잡고 경제적 성장을 유도해보는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 책을 다가올 2030년도를 대비하여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응하고 준비를 해야할지 

자세히 알려주는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