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숨에 읽는 세계박물관 - 하룻밤에 만나보는 세계적인 박물관 탐방과 기행 ㅣ 단숨에 읽는 시리즈
CCTV 지음, 최인애 옮김 / 베이직북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단숨에 읽는 세계 박물관은 제목 그대로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많은 사진이 수록되어 있어서 지루한 역사책을 읽는 것보다 쉽게 세계의 문물들을 만나 볼 수 있다. 세계 5대 박물관인 루브르, 대영 박물관, 메트로 폴리탄, 에르미타슈, 자금성은 세계의 모든 문물들이 모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인간의 역사와 그리고 각종 미술품들이 있다. 특히 다빈치 코드라는 책과 영화로 유명해진 루브르 박물관은 세계에서 첫 번째로 손꼽히는 박물관이다. 프랑스 파리에 갈 일이 있다면 꼭 들러보고 싶은 박물관이다. 방대한 전시물과 넓은 전시관을 대충 보는 것만으로도 며칠이 걸린다고 하니 얼마나 대단한가? 이 박물관의 유물들 한 점 한 점들은 돈으로 환산 할 수 없을 정도로 대단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세상에 얼마나 많은 유물과 예술품들이 부자들에 의하여 개인 소정 되어 있을까? 언젠가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 할 수 있도록 박물관에서 전시 되었으면 하는 것이 나의 개인적인 바램이다. 이런 밝은 면이 있기는 해도 박물관의 전시물은 전쟁 혹은 경제적 선진국들이 빼앗은 유물들이 대부분이다. 인간의 피와 아픔이 묻어 있는 유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역사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우리나라의 많은 문물들도 외적의 침입이 있을 때마다 많이 수탈되곤 하였다. 한편으로는 강대국들이 빼앗아 갔다고 할 수 있지만 오히려 강대국들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한 나라의 입장으로 보면 아픔의 역사이지만 전 인류적으로 보면 문화유산이 보호되고 있음에 고마워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세계 5대 박물관에는 고대 유물, 미술품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면 다른 박물관들은 전문성을 살렸다고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의 무기 박물관, 말레이시아의 군사 박물관, 바티칸의 카톨릭 박물관, 네덜란드의 목간신발 박물관들은 각각의 주제에 맞게 구성되어 있다. 세계 5대 박물관에서는 그 규모와 전시품들에 놀란다면 각각의 전용 박물관은 그 주제에 맞는 역사를 더욱 깊이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한국민속박물관이 대표적인 예이다. 물론 한국민속박물관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박물관에 대한 인지나 운영이 미흡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세계 5대 박물관은 아니지만 개인의 인식이 바뀌고 기부문화에 대한 사회적 흐름이 바뀐다면 우리나라도 언젠가는 그런 박물관을 갖추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단지 아쉬운 부분은 박물관의 전경이 사진으로 없어서 아쉽다. 인터넷으로 충분히 검색해 볼 수도 있지만 자세한 설명 글에 박물관 전시실이나 건물 외형 사진이 있었으면 더욱 좋은 책이 아니었을까?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을 뒤로하고 책을 덮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