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출근하지 않는다 - 번아웃과 이직 없는 일터의 비밀
앤 헬렌 피터슨.찰리 워절 지음, 이승연 옮김 / 반비 / 2023년 6월
평점 :

워라밸을 위한 보편적 설계는 당연히 더 포용적이다. / p.87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는 그야말로 혼란의 도가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갑자기 일하던 현장이 휴관으로 바뀌면서 기획했던 프로그램은 시작조차도 하지 못했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일시 중단 상태가 벌어졌다. 이미 회기와 마무리까지 전부 계획이 되어 있던 상황이기 때문에 이게 잘못하면 다음 해를 넘기는 상황까지 우려가 되었다.
그러다 갑자기 뜨기 시작한 게 비대면 화상 통화 애플리케이션이었다. 윗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평소와 다르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싶다고 강력하게 어필해 이를 강행했다. 결론적으로 보면 대면 프로그램에 비해 호응도나 진행률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전화위복이 되어 돌아왔다. 사실 그렇게까지 의견을 관철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이 부분 하나는 지금까지도 만족스러웠고 보람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이 책은 앤 헬렌 피터슨과 찰리 워절의 노동에 관련된 서적이다. 사실 요즈음 고민 중 하나가 번아웃이다. 사실 이직한 지 채 일 년도 되지 않은 터라 조금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번아웃의 조짐이 하나씩 느껴지고 있다. 업무와 일상을 떨어트려서 생각하고 싶기도 하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선택하게 되었다.
시작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의 재택 근무로부터 시작된다. 과연 일의 효율성과 근무 환경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일까.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 의문을 가지고 장점과 단점 등을 파헤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공간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근무하는 노동자 입장에서는 갑작스럽게 일하는 현장과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 일치하는 상황에서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번아웃이 올 수 있으며, 일과 삶 그 사이에 밸런스를 맞출 수 없다. 또한, 직원들 사이의 유대감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다.
책의 내용은 유연성, 기업 문화, 사무실 테크놀로지, 공동체라는 요소를 가지고 하나하나 예시를 들었다. 이는 번아웃이 없는 직장으로 나아가기 위해 변화가 필요한 개념이기도 하다. 개념 단어만 보고 생각했던 내용에 비해 책에서 표현한 내용은 훨씬 더 구체적이거나 광범위했다. 읽으면서 꼭 필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어 많은 공감이 되어서 좋았다. 깊이 곱씹어서 읽을 수 있어서 그 지점이 가장 만족스러웠다.
개인적으로 유연성이라는 부분이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다. 추측으로는 유연성 하면 유연 근무제라는 게 가장 먼저 떠올랐다. 근무하는 시간을 조절한다거나 스타일을 조율하는 일 등의 가장 기본적인 것이었는데 책에서 나오는 유연성은 직원들을 필요에 의해 신속하게 고용했다가 그 가치가 사라지면 쉽게 해고할 수 있는 역량이라는 것이다. 사실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정규직일 경우, 그렇게까지 쉽게 해고할 수 있는 게 책에 등장하는 미국 사회보다는 어렵다는 측면에서 현실감이 떨어졌지만 기업의 입장의 내용이어서 조금 충격적이었다. 유연근무제가 어떻게 보면 고용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는 측면이라는 점을 깊게 생각할 수 있었다.
그밖에도 재택 근무에서 직원들의 유대감을 약화시킨다는 측면의 반대되는 의견으로 헬렌의 사례가 가장 공감되었다. 그렇게까지 많은 페이지 수를 차지하는 내용은 아니었는데 팬데믹 8개월 차 때 누구보다 행복했다고 말한다. 헬렌은 테크 스타트업 직원으로서 비대면으로 재택근무를 하는 듯했는데 완전 내성적인 성향이었기에 대면 업무 중 직원들을 비롯해 타인들과 소통할 때 신경을 덜 써도 된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극강의 내향형 인간이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많은 걱정을 하는 사람으로서 재택 근무의 단점도 단점이지만 이러한 장점들이 뇌리에 오래 남았다.
미국의 사례이면서 비대면 재택 근무를 할 수 없는 현장에서 근무하다 보니 새로운 시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어느 부분에서는 괴리감이 느껴지기는 했지만 단순하게 재택 근무는 나쁜 것이다, 또는 유연 근무는 좋은 것이다 등 일방적인 하나의 주장이 아닌 동전의 양면처럼 좋은 예시와 나쁜 예시를 모두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번아웃이 없는 현장의 조건을 대한민국, 그리고 가지고 있는 직업에 맞게 정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