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기슭에 선 사람은
데라치 하루나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나는 무엇 하나 알지 못했다. 그녀에 대해, 무엇 하나. / p.7
요즈음 지극히 사적인 일로 많은 생각이 든다. 다양한 주제로 머릿속이 어지로운 와중에 들었던 하나의 주제는 '내가 누군가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이다. 그동안 인지하지 못했거나 알지 못했던 에피소드를 듣기 시작하면서부터 놀랐다. 특히, 아버지를 주제로 한 베스트셀러 소설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정을 피부로 느낀다. 아예 모르는 썡판 남이 아닌 가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책은 데라치 하루나라는 일본 작가의 장편소설이다. 서두에 언급했던 주제가 관통하는 주제라는 생각에 선택한 책이다. 물론, 이 작품은 가족이 아닌 남이라는 설정이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맞닿은 생각과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들었다. 나름 답을 찾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큰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거기에 여러 서점 관련자들의 추천사도 더욱 관심이 갔다.
소설의 주인공은 기요세라는 인물이다. 울며 겨자 먹기로 카페의 점장을 맡았지만 낙하산으로 내려온 한 직원 때문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사회생활이라고는 하나도 모르는 직원은 자신의 어려움만 언급할 뿐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는 듯하다. 그 직원이 사고를 쳐서 힘든 날을 보내던 때에 병원으로부터 하나의 전화를 받는다. 연인 케이타가 위중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연인은 다정한 사람이었는데 이유를 듣고 더욱 의심을 가진다. 초등학교 친구와 싸우던 중 떨어졌다는 것. 거기에 친구의 가족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는 일방적으로 연인이 때렸다는 것이다. 연인의 가족은 원래 그러던 자식이었다는 듯 기요세의 이야기를 믿지 않았다. 심지어 권한을 기요세에게 맡기기도 했다. 연인의 집에서 노트 하나를 발견한다.
전체적으로 술술 읽혀졌다. 번역이나 스토리가 크게 이해되지 않는다거나 어려운 부분이 없었다. 아무래도 지금까지 일본 작품을 많이 읽어왔기에 익숙해진 것도 있었다. 300 페이지가 조금 넘는 페이지 수이기 때문에 점심시간 이후에 조금씩 읽으니 이틀 정도에 모두 완독하게 되었다. 스토리 자체도 흥미로웠다는 점에서 재미있었다. 재미가 있기보다는 진지하게 읽기 좋았다.
개인적으로 개인이라는 존재가 참 인상 깊게 남았다. 연인이었던 케이타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만나게 된 노트에서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된다. 그밖에도 케이타가 폭행했던 친구의 연인 마오의 이야기 역시 조금씩 등장하게 되는데 기요세가 판단하고 생각했던 누군가에 대한 편견이 무너지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게 기요세에게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독자의 입장에서는 그 위험성을 직설적으로 보여 주는 듯했다.
사실 처음 기대한 바는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기 위한 생각을 얻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읽으면 읽을수록 이해보다는 편견이 주는 경각심을 느꼈다. 내가 판단한 정상과 비정상, 일반과 반대가 얼마나 위험한지 이 작품을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예상과 다른 교훈을 주는 작품이었지만 그 역시도 의미가 있었다는 측면에서 의외의 만족을 주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