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살리고 사랑하고
현요아 지음 / 허밍버드 / 2022년 7월
평점 :

당신은 잘 살고 있을까. / p.61
불안과 우울과 고독. 사람들에게는 거의 필수적으로 따라 붙는 감기와 같은 감정들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내 나이 또래의 이십 대에서 삼십 대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나 역시도 이러한 감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 불안과 절망에서 피어나는 우울, 인간 관계 풍요 안에서 느끼는 고독을 매미처럼 달고 산다.
사실 책을 통해 위안을 받기는 하지만 대놓고 괜찮을 것이라는 위로를 받고 싶지는 않다. 그럴수록 내 자신이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가의 삶을 펼친 에세이에서는 나와 같은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위안을 받지만, 이 시기를 보내는 젊은 세대들을 위로한다는 류의 에세이에서는 별 감흥을 얻지 않는다. 이를 자기 연민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항상 이를 경계하는 편이기에 의도된 공감을 받고 싶지는 않다.
이 책은 현요아 작가님의 에세이이다. 앞표지보다는 뒤에 등장하는 '불안과 우울과 고독'이라는 말이 가장 눈에 들어왔다. 비슷한 세대를 살고 있는 작가의 에세이이므로 관심이 갔고, 자살사별자의 기록이라는 점에 더욱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에 읽었던 자살사별자에 대한 내용이 깊게 남아 있기에 더 알고 싶었다.
저자는 동생을 떠나보낸 자살사별자이다. 동생은 학창시절의 폭력을 비롯한 안 좋은 일로 트라우마가 생겼고, 그렇게 하늘나라로 떠났다. 그리고 가족과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지만 따로 살고 있다. 가정폭력과 어머니의 가스라이팅, 동생의 사별까지 겪게 되면서 상담과 치료를 받고 있기도 하다. 1남 2녀 중 장녀로 집안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이것은 개인적인 느낌이기는 하지만 철저한 계획주의자라는 인상을 받았다.
에세이를 읽는 내내 저자의 가정 환경이 마음을 무겁게 했다. 암울하지만 기구하지는 않다. 말로 표현하지 않았을 뿐 쉽게 만날 수 있는 가정이다. 인터넷 커뮤니티만 봐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언어 폭력을 비롯해 가정폭력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은 곪다 못해 터져버린 가정들을 생각하니 답답하게 느껴졌다.
그러면서 저자의 생각과 가치관들을 보고 있으니 공감이 되기도, 깊은 생각으로 빠지기도 했다. 특히, <자살이라는 말버릇>과 <삶에 애착이 있다는 혼잣말>이 가장 인상 깊었다. <자살이라는 말버릇>은 주변에서 자주 들리는 죽고 싶다 또는 자살하고 싶다 라는 말버릇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다. 보통은 이러한 말들은 자살사별자를 포함한 타인들을 위해서 하지 말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을 위해 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말에는 힘이 있기 때문에 이런 말들을 계속 읊게 되다 보면 힘을 받아 위태로운 생각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디어에서도 자살이라는 소재가 아무렇지 않게 흘러가는 현재 사회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할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삶에 애착이 있다는 혼잣말>은 한 직원의 말을 듣고 풀어낸 이야기이다. 회식에서 이틀 전부터 술을 끊었던 직원에게 이유를 물으니 삶의 애착이 있어서 안 되겠다는 대답을 했다고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생각의 전환점을 느꼈다. 저자 또한 다시 생각했지만 말이다. 어려운 일을 하고 있을 때 힘들다는 말보다는 삶의 애착이 있기에 이 정도는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는 말. 힘든 현실 속에서 삶의 이유를 생각할 때도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와 애착이 있기 때문에 항상 하루를 보냈던 것은 아니었을까.
개인적으로는 유리창에 부딪힌 새들을 살리고자 물을 먹여 노력하는 직원들을 보면서 저자의 힘든 시기에 물을 주었던 주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어두운 세상을 살아가는 이유, 아침이 망했다고 해도 오후에는 덜 망한다는 생각으로 살아가자는 내용 등 3장 전체 내용들이 크게 와닿았다. 아마 비슷한 시기를 살아가고 있기에 동지애가 더욱 느껴졌을지도 모르겠다.
모든 일이 절망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저자에게 연민과 동정을 보내고 싶지는 않다. 그저 고맙다는 말을 해 주고 싶었다. 어떤 의미로든 말이다. 저자의 개인적이고도 어려운 가정사이지만 보면서 나에게도 큰 울림을 주었다. 부모님께 서운함을 느끼고 있지만 그것보다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K-장녀, 앞길이 어두워 살아가야 할 힘을 찾지 못하는 동지,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 아픈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