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구 아저씨
김은주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7월
평점 :

어른이 되면 금방 잊어버려. / p. 26
달리기를 필수로 하는 운동에는 완전 쥐약이다. 초등학교 운동회부터 달리기 시합을 하면 앞보다 뒤에서 달릴 정도로 소질이 없다. 가장 높은 등수가 3 등이라고 하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 어렸을 때에는 공책과 연필 등의 선물 세트를 못 받는 것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는 시합에서 졌다는 게 그렇게 분했다. 그게 세상을 살아가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이 책은 김은주 작가님의 장편 소설이다. 구구 아저씨의 존재가 궁금했다. 구구라는 별명을 가진 아저씨를 말이다. 거기에 세계 신기록을 앞두고 부상을 당한 소녀의 이야기는 무엇일까. 줄거리를 보기 전에는 청소년 문학에 가깝다는 생각을 했었다. 청소년 문학이 의외로 감동을 줄 때가 많았기에 편하게 읽었다.
소설의 주인공인 다연이는 국가대표 상비군이었으며, 세계 신기록을 눈앞에 둔 육상부 선수이다. 그러다 다리에 큰 부상을 입고 재활하게 되었다. 재활 이후 다리가 완치되었음에도 이상하게 다연이는 달릴 수가 없었다. 한강에 나와 달리기 연습을 하거나 강을 보면서 생각을 정리하기도 하는데 그런 상황에서 구구라는 이름을 가진 비둘기를 만나게 되었다. 비둘기의 말을 알아듣는 다연이는 이내 구구 아저씨에게 자신의 이야기들을 터놓는다.
소설에 등장하는 어른들은 하나같이 철딱서니가 없다고 느껴졌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기는 하지만 좋게 말하면 낙천적인 사람들이다. 1군에서 반짝 기대주 야구 선수였다가 결국 야구 코치로 일하고 있는 아버지, 뜬금없이 행동하는 간호사 어머니, 누가 보면 허무맹랑한 꿈을 가지고 있는 구구 아저씨. 다연이의 마음을 이해해 줄 수 있는 사람들은 아니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읽으면서 좋은 방향으로 생각이 바뀌었다. 다연이는 자신의 말이라면 언제든지 오는 아버지의 모습을, 포기하지 말라는 조언을 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꿈을 꿀 수 있게 도와주는 구구 아저씨의 모습을 보면서 다시 힘을 냈던 것이다. 점점 답을 찾아가는 다연이의 변화도, 다리가 완치되고 나서도 뛰지 못했던 이유를 찾는 것도 어떻게 보면 어른들의 조언들이 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다연이의 정신과 의사의 말이 가장 인상 깊었다. 달리지 못하는 심리적인 이유를 찾기 위해 정신과를 찾은 다연이는 예상과 다른 답을 얻는다. 어른의 말을 새겨듣지 말라, 마음의 소리를 들으라는 조언을 말이다. 그러면서 자신의 배설물을 전부 모아 연구했던 산토리오의 예시를 든다. 남들은 똥이나 모은다고 비웃었지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해서 행복했을 것이라는 말을 한다. 너무 큰 공감이 되었다. 무조건 어른들의 말을 들어야 한다는 조언들이 곧 진리라는 생각으로 달려왔지만 막상 그게 정답이 아닐 때도 있었는데 말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어른들에게도 큰 울림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나 역시도 구구 아저씨와 다연이의 주변 사람들이 건네는 말들로 큰 위안을 받았다. 참 어른이라는 게 힘들다고 느낄 때가 많았는데 나름의 답을 얻기도 했었다. 누군가 어른이라는 게 왜 이렇게 힘든가요, 라고 묻는다면 고민도 없이 이 책을 내밀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