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뒷면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39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스포일러 있음. 아직 책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이 리뷰의 중반 이후는 읽지마세요~]

 

나뭇가지처럼 얽힌 수로에 에워싸인 소도시, ‘야나쿠라’. 비가 흩뿌리고 빗물에 젖은 수로변의 집들이 어우러져 한층 을씨년스러움을 더한다. 소설 전체에 물이 줄줄 흘러내린다. 뿌옇게 흐려진 시야에 사물들은 제 형태를 찾지 못하고 어떤 환상의 공간을 떠 올리게 한다. 이 환상적 분위기는 물이 지니는 태초의 공포로 서서히 내 무의식의 심연을 잠식한다. 그래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가늠하기 어려워진다.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서부터 환상의 세계인지. 물의 도시 야나쿠라는 이렇게 모호한 느낌의 공간으로 다가온다.

 

대중음악 기획자인‘다몬’은 스승,‘교이치로’의 요청으로 야나쿠라에 도착하고, 스승으로부터 연쇄적인 노인들의 실종과 그리고 어느 날 갑작스레 태연자약한 모습으로 복귀한 그들의 기이한 사건을 듣게된다. 여기에 학창시절을 같이했던 스승의 딸인 ‘아이코’와, 지역신문 기자인‘다카야스’가 합류하여 이 기이한 현상의 이면(裏面)을 쫓는다. 아이코는 수년 전 실종되었다가 불현듯 돌아온 작은아버지 내외의 모습에서 동일한 인간이 아니리라는 막연한 의구심을 술회하고, 다카야스가 녹음한 복귀 노인들과의 인터뷰 내용 속에서 공통되게 들리는 특이한 소리는 어떤 낯선 존재의 전조(前兆)로 의심되기에 이른다.

 

교이치로가 애정으로 기르는 고양이는 야나쿠로의 옛 유명 시인의 이름과 관련되어 은닉된 사연의 개체가 되고, 사건의 배후에 있는 미지의 주체를 매개하는 어떤 영물처럼 보이기조차 한다. 고양이가 물어 온 인간 신체의 한 부분, 귀, 코..., 그러나 정말의 인체가 아니지만 너무도 인간의 그것과 똑 같은 것을 어딘가에서 물어뜯어 온 흔적을 지니고 있다. 이야기는 괴이함과 낯선 거북함으로 치닫기 시작한다. 미지(未知)의 존재를 추적하기 위해 이들은 도시에 숨겨진 역사를 찾기 위해 도서관으로, 신문사의 옛 취재 기록을, 도시의 숨겨진 어떤 비밀을 간직한 듯한 인물을 찾아 진실의 존재로 다가가려 한다. 그러나 이미 거대한 힘은 이들을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점액질의 투명한 물질이 도서관을 휩싸고, 급기야는 도시에서 사람들의 모습이 자취를 감춘다.

 

다분히 환상적이다. 이 비현실적 공간에 남은 네 사람의 공포는 그대로 독자인 내게 전달된다. 그리고 마침내 이들은 사라진 인간들이 재생되는 장소의 발견과 개구리 알처럼 다닥다닥 붙어있는 미완성상태의 인간의 얼굴들을 목격하게 된다. 아마 이것을 이미지화하면 어지간한 호러장면은 저리가라고 할 정도일 것이다. 역겨움을 동반한 급격한 공포가 등줄기를 타고 내려온다. 실종된 사람들의 복귀를 설명하는 이 괴이한 전경은 현실과 환상이 겹쳐진 설명 불가능한 시공이다. 복귀한 사람들은 과연 인간인가? 실종되기 전의 사람과 동일한 인간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이 채 가시기도 전에 다카야스마저 사라지고 그 역시 재생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들은 이렇게 현실의 존재자인 자신들이 알 수 없는 힘에 의해 이해할 수 없는 시공으로 회수되는 것을‘도둑맞는다.’고 표현한다.

 

이미 기억을 도둑맞았던 사람들, 그들이 정작 도둑맞은 것은 기억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제 이 세상 사람들 모두가 이렇게 자신도 알지 못하는 새에 회수와 재생을 반복하고 있다면, 즉 삶과 죽음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라면, 결코 어제의 나와 내일의 나와의 동일성을 주장할 수 없을 지도 모를 일이다. 인간의 기억이란 것이 얼마나 취약한지는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고 해서 실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요, 지금 눈앞에 보인다고 해서 실재라고 말 할 수도 없는 것 아니겠는가? 우리가 찾아 헤매는 진실이란 이 처럼 보이지 않는, 도저히 기억 할 수 없는 시공을 초월한 그 무엇일지도 모른다.

 

“천천히 찾아드는 정적(靜寂)” 그리고 “내 부름에 응답하는 것 같은 절대적인 목소리”, “누구도 제지 할 수 없는, 태곳적부터 존재해온 거대한 의사(意思)의 목소리”, 그 미지의 힘에 겸허해진다. 공포의 힘이라서가 아니라 내 존재의 한계를 알기 때문에. 마침내 소설의 마지막 읽기를 마치고 나면 자아(自我)의 저 밑바닥 어두운 곳의 진실을 체험하고 난 듯한 의연한 기분이 된 것을 문득 깨닫는다. 마음의 고향, 진화의 저 앞선 시기의 조상들이 살던 물속을 한바탕 헤맸기에 그런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