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대담형식으로 써진 이 책은 빨리, 많이 읽기위한 속독이나, 다독의 방법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사실 책 읽기를 즐겨하고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굳이‘책 읽는 방법’이란 것이 그리 요구되는 기능도 아니고, 그 즐겨하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고유하고 편리한 습관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 아니겠는가.

책의 성격이나 유형에 따라 책 읽는 자세도 달리한다는 대담자인 책 읽기의 전문가인‘마쓰오카 세이고’처럼 자신만의 습관적 규칙이 있듯이, 저마다의 편리한 자세가 있다. 책 읽는 방법에 이것을 따라야 한다는 원칙이나 도달해야하는 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나는 소파에 눕거나 의자에 등을 깊이 밀어 넣고 가장 편한 자세를 취해야 비로소 책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책을 읽다가 관심 있는 대목에 밑줄을 그을 수 있는 분홍색 형광펜과 책갈피를 항상 대동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적 조건을 만드는 것은 어느 순간부터 굳어진 습관이다.

그러나 이 전문가는 무엇인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가 보다. 책을 편집하고, 책을 집필하고, 책 읽는 전문화된 방법을 연구하는 편집공학자이기도 한 저자는 책 읽는 행위 자체에 이미 목적을 수반한 사람이기에 우리 일반적인 독자들의 책 읽기와는 근원적 차이를 지니고 있는듯하다.
일례로 그는 읽은 책에 대한 연대기 노트를 만들고, 또한 인용노트를 만든다. 아마 이러한 자신의 읽기에 대한 역사를 만드는 행위가 독서의 질을 제고할 수는 있겠지만 글쓰기를 전제하지 않는 대다수의 우리들에게는 사실 낯 선 주문이기도 하다.

이처럼 저자가 말하는 독서법은 그만의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오히려 이 저작에서 수용하고자 하는 내용은 독서가 지니는 인문학적 성찰이라 하고 싶다. 예로서 “독서는 덮여있던 것을 열어나가는 행위”라 정의하면서 미지의 세계를 열어나가는 주체로서의 독자의 겸양을 말하거나, “미량의 비자기(非自己)를 주입해서 자기라고 하는 면역시스템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라고 자기 반영으로서의 독서철학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편집공학으로 본 독서 메커니즘을 설명하면서 저자와 독자 사이에는 어떠한 형태의‘커뮤니케이션 모델’이 교환되는 것으로 간주되는‘편집모델의 상호작용’을 주장하기도 한다.

여기에 또 하나의 관심을 추가한다면 이 독서의 대가는 어떻게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자신만의 독서방법론들을 축적하였는지에 대한 역할 모델을 취 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수많은 책을 읽다보면“빛을 발하는 한 권의 책”을 반드시 만나게 된다면서 그것을 ‘열쇠 책’ 또는 ‘키 북’이라 명명하여 상호텍스트성이 독서력을 확장시키는데 얼마나 유용한지 알려주며, 독서를 지속시킬 수 있는 원동력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독서리듬’에 대한 감각을 설명하기도 한다.
이렇듯 이 저작은 독서에 대한 의미론적 궁금증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전문화된 독서기술의 면모들을 엿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진정 독서력의 확장이나 방법론적 전환을 모색하는 독서가들에게는 훌륭한 참고서가 될 터이지만, 여기서 무언가 획기적인 독서기법의 획득과 같은 얕은 기능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실망을 선사할 것이다.
나는 그저 책을 통해 타자와 교류하고, 그곳에서 내 무지의 세계를 줄여나가며, 마음을 정돈하고 위무하는 즐거움의 세계로 책을 읽는다. 삶의 다양한 가치 그 자체로서의 책이 이미 풍요로움이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에서이다. 그러나 ‘차례독서법’, ‘표시독서법’, ‘매핑독서법’, 그리고 ‘대각선 편집독서’등 다독을 위한 다양하고 풍부한 독서방법론들이 체험적인 설명을 통해 소개되고 있는 이 저술이 분명, 독서에 대한 생생한 인문학적 증언이 되어, 우리들의 독서를 보다 질적인 성장으로 나가는 길을 지원하고 있음을 인정치 않을 수 없다. 책을 진정 재미있고 즐기는, 나아가 삶의 지평을 확장하는 도구로서 진일보한 방법론을 배우고자 하는 독서인들에게는 멋진 모델이고 지식이 되어 줄 고수의 비법 전수가 될 터이다. ‘책에 납치당하는 스릴’과  책의 마력을 거듭 확인하는 유익한 계기가 되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