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당무
쥘 르나르 지음, 연숙진 옮김 / 인디북(인디아이)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혹스러움이 급습한다. 아이들이 하는 익숙한 행동 속에 자리한 무수한 의미들이 그저 아이라서 하는 당연한 과정으로 받아들여지고 말았다는, 무언가 많은 부분을 놓치고 있었다는 자괴감이 들게 한다. 어린아이‘홍당무’가 이토록 가족에게 세상에게 체념적이도록 만든 것은 무엇일까? 아이의 이 위악은 인간의 본질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일까?

19세기 말,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문학이 정착하던 시기에 쓰인 작품이다. 그래서 이 작품의 경험과 체험적 재현, 작가의 어린시절 우울한 성장기의 자전적 소설이라는 측면은 독자의 감정이입을 돕는 역할을 한다. 작가의 1899년7월16일자 일기에서 “『홍당무』는 ~ 中略 ~ 구성되어진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존재하는 존재다. 나는 정리하고 재단할 수 있었지만, 일부러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하였듯이 하나의 작품이라기 보다는 “누더기를 걸친 영혼을 늘어놓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기적이고 냉정하며 아이에 대한 사랑을 모르는 엄마, 르픽 부인, 그리고 가정의 내부를 외면하고 외부세계에만 관심 있는 아빠, 엄마를 빼 닮은 듯이 동생 홍당무를 괴롭히고 학대하는 에고이스트 형 펠릭스, 그리고 무관심하지만 그나마 잔정을 보여주는 누나 에르네스틴의 삭막하고 단절된 어두운 감정의 세계가 때론 익살맞고, 괴이하거나, 어린 사색을 통해 평범한 일상을 사실적 현실 그대로 묘사되고 있다.

엄마의 극단적이기까지 한 막내아들 홍당무에 대한 거침없는 위협과 억압, 매질, 그리고 어린 영혼에 대한 그 잔혹한 언어들이 만들어내는 상처는 시종 심산한 감정이 가슴을 억누른다. “르픽 집안의 자녀가 된 건 그 누구 때문도 아니지 않겠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된 것일 뿐, 따라서 본의 아니게 혈연관계가 된 것에 감사할 필요는 없지”텅 빈 토끼장안 토끼 굴에 들어가 앉아서 아늑하고 편안한 마음을 누리는 아이, 어두운 굴속에 사는 토끼의 영혼으로 본연의 자신에 돌아왔음을 느끼는 아이로부터 삶이란 세계에서 무수히 겪을 수밖에 없는 상처들이 생각나 괜스레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모처럼의 가정에서 만나는 아빠의 어정쩡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입을 통해 가장으로서, 아이의 양육에 책임과 의무를 가지는 자로서 세상의 이치가 어린 홍당무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배려되지 않은 거친 삶을 그대로, “우리란 게 누구냐? 우리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이란 말도 마찬가지지, 그 누구도 아니지~ 以下 省略”그리고 “행복을 포기해라. 내 미리 말해두는데, 넌 지금보다 결코 더 행복해질 수 없을게다. 절대!”라고, 그리곤 “ 너와 가장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을 존중하면서 말이다. 그렇게 되면 삶이 즐거워 질 게다.”이 너저분하고 구차한 조언조차 음울하기만 하다.

“모두들 나름의 고통이 있겠죠, 그러나 제 자신을 위한 정의의 몫을 달라고 주장 할래요”홍당무의 억압에서의 탈출을 위한 저항, 시도와 내면의 복잡한 양면적 관계가 엄마에 대한 증오로 표출된다. 마지막장‘홍당무의 앨범’은 그의 시련과 갈등이 집약화 되어 묘사된다. 집 밖으로 나오면 모든 것에 초연한 사람처럼 휘파람을 불다가도 엄마 르픽 부인이 나타나면 휘파람을 이내 그쳐버리는 아이의 소심한 두려움이 반복된다. 백양나무 꼭대기에 매달린 나뭇잎 하나에서 나무에서 떨어져 혼자 자유롭게 살아가는 처럼 보인다고 공상에 잠기는 홍당무를 통해 가족, 부모의 역할, 형제자매의 관계, 그리고 세상에 대한 시선에 대해 아이들을 위해 함께 생각하는 진실된 시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아이의 사실적이고 디테일한  심리묘사를 비롯해 49조각에 이르는 영혼의 이야기는 가히 가족소설의 백미(白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