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소리 내어 낄낄거리게 만드는 유쾌한 대화가 이 작품의 때 묻지 않음을 대변한다. 완득이와  똥주의 시종 일관하는 거친 대화속에 삶의 끈적한 연민이 배어있다. 대단한 거 하나 없는 인생, 그러나 거창하고 대단하지 않아도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되는 평범하지만 단단하고 꽉 찬 하루를 알게 해준 똥주, 세상으로부터 꼭 꼭 숨어있는 동네 옥탑방에 또 그렇게 숨어있는 17세 소년 완득이가 세상에 얼굴을 빼꼼이 내밀게 하는 그런 이야기이다.

“내 주위 사람들은 왜 하나같이 이런지 모르겠다. - 中略 - 그 행복한 가정들은 다 어디가고, 뭐가 하나씩 모자란 사람들만 그득하다.” 난쟁이 아빠, 그리고 정신지체의 말더듬이 삼촌, 17년만에 만나게 되는 베트남 출신의 어머니, 세상이 보내는 선입견 그득한 시선과 그를 외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소외된 사람들, 그리고 “몰라도 될 걸 알아버린 인간들이 얼마나 너저분하게 구는지 정말 몰라서 저따위 말을 하는 거야?”세상이 보내는 위선으로 포장된 자선과 연민까지 우리들의 부조리를 신나는 목소리로 웃음을 가장하여 퍼붓는다.

감동적이고 유쾌하다. 김려령은 세상이란 이런 것이다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사회의 그늘 저편에 우리들의 편견으로 숨어있는 장애인, 이주노동자의 삶이란게 이래요라고도 말하지 않는다. 똥주라는 담탱이를 통해 세상에 한걸음씩 다가가는 완득이와 그의 킥복싱 TKO 패 숫자가 자꾸 느는 만큼 승리의 숫자를 같이 늘려가려는 외침, “못 찾겠다, 꾀꼬리!”가 들려온다. 질질 짜대지 않는, 그렇다고 음습한 그늘아래에서 세상에 손가락질을 해대지도 않는다. 경쾌하고 리드미컬한 완득이의 풋워크 소리가 들린다. 외롭지도 않다. 지칠 이유도 없다. 정말 멋진 소설이다. 세상이 건강한 삶의 숨소리들로 풍요롭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