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하다 싶더라.
기대치가 넘 높았나부다.
공감할 수 있는 지점이 없었고 (외모에 대해 꽤 생각해보긴 했다. 내가 공감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후기의 구구절절함도 못마땅.
게다가 뒷표지에 달려있던 음악씨디는 작동도 안되고.. 
씨디랑 엽서 넣지말고 책값좀 낮추지 싶을 뿐이고..   

허나 나에겐 여전히 <삼미수퍼스타즈의마지막팬클럽>이 있다!
그거면 됐지 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9-10-11 0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미수퍼스타즈의마지막팬클럽>이 그렇게 재미있나요? 나도 함 읽어볼까나...

무림소녀 2009-10-12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재밌드라 강추!

비로그인 2009-10-12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정도란 말입니까...!!o_o!!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수잔 벅 모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물이 말하는 역사, 사실 그리고 영원한 진리
- 사물은 무엇인가, 사물이 스스로 말하게 한다는 것은 또한 무슨 의미인가.

시간이 지나면 닳아 없어지고, 인간의 의지가 아니라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기에 고정되어 시공간을 넘나들 수 없는 것, 그냥 거기 그렇게 서 있거나 놓여 있는 그런 것, 그렇게 생성하였다가 또 그렇게 소멸하는 것, 따라서 영원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 그것이 ‘사물’에 대해 내가 가진 이미지다.

그러나 벤야민은 "사물의 의미에는 사물의 역사가 너무나도 분명하게 각인되어 있다고 믿었다.“. 사물은 말이 없지만 마치 어린왕자의 장미처럼 그의 ”이름을 부르는 충실한 철학자는 사물의 표현적 잠재력을 읽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잠재력을 말이라는 인간의 언어로 번역하여 사물로 하여금 스스로 말하게 만든다.“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사소하고 구체적인 우리의 일상 속 사물들인 머리빗, 옛날 사진, 셔츠의 목단추 따위가 그 자체로 구체적·역사적 기표의 성좌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 딱딱하고 건조하게만 보이는 그 사물들에 꿈틀거리는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이러한 작업은 벤야민이 “일상의 경험과 전통적인 학술적 관심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고자 했던 의지의 소산이었다. 그리하여 “영원히 진리인 것은 역사라는 일시적이고 물질적인 이미지로 포착될 수밖에 없다.”고 나아간다.
"역사적 현상 자체가 스스로 말하게“하는 것은 곧 “모든 사실이 이미 이론”인 방식으로, 하나부터 열까지 설명하지 않아도 사물과 그 이미지만으로 증거할 수 있게 된다.

영원한 진리를 말하게 하는 그의 ‘사물’은 현상(건물, 사람의 몸짓, 공간 배치)을 포함하고, 그렇게 역사를 함축한다. 현상과 같은 사물을 통해 “역사적으로 한시적인 진리가(그리고 역사적 한시성이라는 진리가) 구체적으로 표현되며, 감지된 경험 안에서 도시라는 사회구성체가 가독성을 획득한다.” 그렇게 그는 파리의 아케이드에서 역사적으로 한시적인 진리를 “읽어”내려 하고 있다.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제1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수잔 벅 모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8월
장바구니담기


일상의 경험과 전통적인 학술적 관심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바로 벤야민의 주안점이었다. -16쪽

벤야민은 사물의 의미에는 사물의 역사가 너무나도 분명하게 각인되어 있다고 믿었다.
사물은 "말이 없다." 그러나 사물의 ‘이름’을 부르는 충실한 철학자는 사물의 표현적 잠재력을 읽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잠재력을 말이라는 인간의 언어로 번역하여 사물로 하여금 스스로 말하게 만든다.-28쪽

부르주아-자본주의의 터전인 소비의 거대도시가, 혹세무민하는 매혹적 세계이기를 그만두고 형이상학적․정치적 조명의 세계로 변형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과제였다. -41쪽

서쪽의 파리는 정치적-혁명적 의미에서 부르주아 사회의 기원이며, 동쪽의 모스크바는 동일한 의미에서 부르주아 사회의 종말이다. 남쪽의 나폴리는 지중해의 기원으로서, 신화로 둘러싸인 서구 문명의 어린 시절이며, 북쪽의 베를린은 신화로 둘러싸인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이다.-45쪽

선택은 자유 없는 권력이거나 권력 없는 자유였다. (모스크바) -52쪽

벤야민은 프롤레타리아의 편에 서는 것이 부르주아 지식인의 객관적 이익에 이르는 길이라는 신념을 줄기차게 설파했다. 그러는 사이에 프롤레타리아 자체가 편을 바꾸고 있었다.-59쪽

19세기의 지붕 덮인 아케이드 상가는 벤야민의 중심적 이미지였다. 꿈꾸는 집단의 내면의식, 아니 무의식의 정확한 물질적 복제물이었기 때문이다. 아케이드에서는 부르주아의식의 모든 오류(상품 물신주의, 사물화, "내면성"으로서의 세계)와 부르주아식의 모든 유토피아적 소망(유행, 매춘, 도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아케이드는 근대 건축 최초의 국제적 양식이었으며, 따라서 범세계적인 대도시 세대의 산 체험의 일부였다.-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외인종 잔혹사 - 제14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주원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7월
구판절판


막장 중의 막장-노숙자들은 그곳을 그렇게 부른다-인 쉼터로 끌려가게 될 것 같다. 소주도 담배도 자유도 없는, 대신 땀만 흘리는 노동과 긍정적 사고에 대한 강박과 억지 희망만이 창궐하는 그곳에 감금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김중혁은 정신이 번쩍 들었다.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장바구니담기


너무나 오랜 시간이 사막의 바람처럼 우릴 휩쓸고 지나갔다. 헤어진 모래처럼 서로를 찾을 수 없다면, 다시 저 바람에 몸을 맡기는 것외엔 다른 도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바람이 다시 데려다 주기만을, 나는 기다리고 기다릴 것이다. -37쪽

인디언들은 말을 타고 달리다
이따금 말에서 내려 자신이 달려온 쪽을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한다.
말을 쉬게 하려는 것도, 자신이 쉬려는 것도 아니었다.
행여 자신의 영혼이 따라오지 못할까봐
걸음이 느린 영혼을 기다려주는 배려였다.
그리고 영혼이 곁에 왔다 싶으면
그제서야 다시 달리기를 시작했다. -39쪽

돌이켜보면 세상의 시소도 이미 기울어진지 오래였다. <좋은 것>이 <옳은 것>을 이기기 시작한 시대였고, 좋은 것이어야만 옳은 것이 되는 시절이었다. -7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