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전자책 기준)
“나는 그 악몽과 화해하며 살았습니다.”
“내가 정신을 잃지 않았던 것은 계속 말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나는 지금도 말을 하고있습니다.”
“당신의 침묵은 자신과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나에게는 인도 여성들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다는 수치심 유전자가 없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강간을 당하고 죄책감, 공포, 트라우마, 혼란 속에 사로잡혔지만 수치심을 느껴야 한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부모님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 P24
나를 ‘드러냄으로써’ 얻은 이런 위로와 공감은 사실 전혀 원하던 바가 아니었습니다. 내게 진짜 공감과 위로가 필요했던 날로부터 30년이나 지나 있었기 때문입니다. 기사를 읽은 사람들은 내 일에 충격과 분노를 느꼈지만, 나의 충격과 분노는 이미 오래전에 종결되었습니다. 그들의 위로는 내게 전혀 새롭지 않았고, 내가 오히려 그들을 위로하는 이상한 입장이 되었습니다. - P34
강간법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듯합니다. 남성이 남편을 강간하는 것은 허용될까요? 힘의 역학이 젠더의 역학으로 바뀔까요? - P80
나의 아버지는 나를 두 팔로 감싸 안고는 옥상으로 데리고 가면서 물었습니다.
"어떻게 하고 싶니? 네가 원하는 건 무엇이든 하자."
그로부터 4년 후, 나는 강간 생존자를 상담하고 전문가를 훈련시키고 학교에서 강의할 때마다 아버지에게 들었던 말을 생존자 행동 요령의 기본 지침으로 사용했습니다. 아버지는 심리학이니 사회학이니 젠더니 하는 교육은 전혀 받지 않은 평범한 중년의 무슬림이었습니다.
전혀 복잡하지 않습니다. 생존자에게 아무것도 통제하지 말고 무한으로 수용하고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전부입니다. - P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