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영광 열린책들 세계문학 146
그레이엄 그린 지음, 김연수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문장 첫 단락을 보자.
원문 :
[He wrenched up a piece of road with splintering finger-nails and tossed it feebly toward them.]

역자번역:
[그는 쪼개진 손톱 끝으로 길바닥 한쪽을 비틀어 뜯어내 독수리들 쪽으로 살짝 던졌다.]

1. splintering은 부서져 가는 걸 말한다. 쪼개진으로 할려면 split으로 돼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분명히 ~ing으로 적혀 있는데 쪼개진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는 얼마나 원작을 무시하는 지를 보여준다. 쪼개져 가는으로 했어야지 않는가.

2. finger-nalis이라고 분명히 손톱이라고 적혀 있는데, 손톱 '끝'이라고 적고 있다. 물론 의역이 요구될 때가 있다. 그러나 이건 과도한 의역이다.

3. wreched up을 (길바닥 한쪽을) '비틀어 뜯어내'라는 번역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길바닥이 나무로 돼 있지 않은 이상 어떻게 뜯어낼 수 있는가. 더군다나 그 뜯어낸 길바닥을 던지기까지 하다니. 이건 상식의 문제고 앞뒤 맥락의 문제다. 이것을 놓치는 역자와 편집자는 일손을 놓길 부탁한다.

4. feebly를 살짝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이 문장 하나만으로 역자는 이 책을 번역해서는 안된다는 실력을 보여준다. '살짝'이라고 번역하면 힘이 있는데도 살살 던졌다는 느낌을 준다. 그렇지만 여기 인물은 화가 나서 던진다는 것이 힘조차 없어서 미약한 행동으로 드러남을 보여주어야 한다. '힘 없이''미약하게'등으로 번역해야 한다.

고친 번역:
[그는 부서지는 손톱으로 길 한군데를 훔켜줘서는 독수리한테 힘 없이 던졌다.]

*첫 장에 나오는 문장이다.
원문:
He said 'Buenos dias' to a man with a gun who sat in a small patch of shade against a wall. 
 

역자번역:
{그는 총을 지닌 채 자그만 그늘을 찾아 들어가 벽에 등을 기대고 앉아 있는 남자에게 <부에노스 디아스>라고 말했다.] 

 
여기서 그가 총을 지녔는가? 아니면 그 남자가 총을 지녔는가. 그 남자가 총을 가지고 응달 한쪽에 앉아있는 형국이다. 그런데 역자는 그가 총을 지녔다고 했고, 그가 자그만 그늘을 찾아 들어갔다고 쓰고 있다. 이제는 역서를 안내는가 싶어 안심했으나 그건 나의 기우였다. 이 책이 얼마나 어려운 책인데 동화책도 번역 못하는 이가 번역을 하는가. 첫문장의 bleaching dust를 ‘모든 것을 표백하는 먼지 속으로' 라고 번역하는 사람에게 무슨 말을 하리오. 

대충 만들어본 새 번역은 이러하다.

[벽에 드리운 작은 응달 한 켠에 기대 앉아 총을 들고 있던 한 남자에게 텐츠는 ‘부에노스 디아스’라고 말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mes 2010-12-22 23:33   좋아요 0 | URL
무슨 의미로 이 글을 쓰셨는지 알겠지만,
만약 그가 총을 지녔다면 '그는 총을 지닌 채,' 라고 쉼표를 넣지 않았을까요.
조금 헛갈릴 수 있지만, 저 번역문 만으로도 총을 지닌 건 남자라는 건 알 수 있지 않나 싶네요.
저는 이 책을 아직 읽어보진 못했지만 번역을 꼼꼼히 하느라 2년이 걸렸다고 들었습니다.
 
핀란드 교실 혁명 핀란드 교육 시리즈 1
후쿠타 세이지 지음, 박재원.윤지은 옮김 / 비아북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계속해서 한국교육과 비교하면서 코멘트를 달고 있는 사람은 핀란드엔 가본 적도 없는 사람이다. 누가 한국에서 교육을 안 받아 본 사람이 있던가. 가본적도 연구한 적도 없는 사람이 한국과 비교하는 코멘트를 챕터마다 중간중간 끝도 없이 달아댄다.

그러면 핀란드 수업과정을 비디오라도 봤을까라고 한번 묻고 싶다. 처음부터 끝까지 비교하려는 논평을 달려면, 자신이 한번이라도 시찰을 하고 나서 흑이야 백이야 하는게 맞다고 본다. 책으로만 시찰한 핀란드 교육에 대한 논평들이 하도 탁상공론이라서.. 얼마전 오바마가 한국교육에서 배울 점이 많다고 하면서 어디서 주워들은 이야기 하는 것과도 비교가 된다. 뒤에 자신의 의견을 일부 달았으면 말을 안하겠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아는 척하는 논평에 짜증이 난다. 무슨 확신을 가지고 그렇게 말하는지.. 학교에 있는 사람도 아니고 주변부에서 있으면서 그런 식의 공론적인 담론하는 변이 참으로 역겹다고 느낀다. 
 
또 한가지는 책의 가격 및 편집이다. 이 책은 분량상으로 보면 220페이지 정도로 나왔을 책인데, 아동동화책을 보라는 건지 줄당 간격을 벌려놓고 널널한 편집으로 280페이지로 뻥뛰기를 해놨다. 그리고 양장으로 한 후 가격은 만5천원. 가격이야 출판사 맘대로지만 220페이지로 하고 가격을 좀 더 저렴하게 했어야 정당한 가격이라고 생각한다. 장당 글자도 얼마되지 않는 게 읽어가는 재미와 사고를 촉진시켜 준다는 건지. 


나는 한국과의 비교는 마지막 장에서 정리하는 걸로 끝났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핀란드 얘기를 하는데 장마다 알지도 못하는 전문가가 자기의견을 붙히면서 나오는데 이게 어떻게 제대로 된 책인가. 산만할 뿐이다. 그럼에도 일본작가가 쓴 내용들은 읽어줄 만하다. 특히 수업사진들 때문에 난 이 책을 구매했는데, 그런 것들이 유용한 팁을 줄 것이다. 별은 3개 반 정도지만, 편집과 비전문가의 논평은 이 책을 별2개로 느끼게 만든다.  

 결국 난 이 책을 반품했고, 다시 원서로 읽을 예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
이미도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훝어보다가 오류가 눈에 들어와 두가지 소개한다.

 

146쪽에 보면,

[tomb과 grave의 차이가

땅위로 솟으면 tomb, 땅 밑으로 들어갔으면 grave라고 했다.]

 

난 이런 얘기를 난생 처음 들어 영영사전을 찾아봤다.

 

tomb

a large grave, especially one built of stone above or below the ground

 

tomb

a large valut, typically an underground one, for burying the dead

an enclosure of a corpse in the earth or in rock

 

옥스퍼드와 미국영영사전에 나온 풀이말이다.

 

무덤은 무덤일 뿐이다.

tomb이란 말이 

묘석,묘비란 말이 있다고 해서, 땅위로 솟으면 tomb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불안하다.

 

 

********************************************

 

또, 한가지

147쪽에 보면,

[film은 영화를 학문의 대상으로 놓고 말할 때 쓰는 단어다]고 나와있다.

 

Did you like the film이라고 구글에 가서 검색해보길 바란다.

Did you like the movie랑은 조금 다른 뉘앙스지만, 일상생활에서 학문적인 것과는 아무 상관없이 영화를 지칭하는 말이다.

Let's stay in and watch a film/movie  둘다 쓰는 말이다.

학문적인 것에 국한된 표현이 아니다.

 

대단히 실망스럽다. 이 정도는 고등학생도 알지 않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ord Smart (테이프 별매) - Genius Edition 한국어판 Word Smart 시리즈
마이클 프리드먼 지음, NEXUS 사전편찬위원회 엮음 / 넥서스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어휘관련 책 중에서 고급류에 속해있고, 공히 Word Smart는 미국에서 학생들이 널리 이용하고 있는 유명한 어휘서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놀란 것은 여기에 번역돼 있는 글들은 한국에서 대학도 안나온 수준의 사람들이 찢어서 알바번역을 시도한걸 알아야 한다. 오역은 차마 셀수가 없어서 거의 2/1 이상은 새로 번역을 해야 할 지경이다.
예를 들면 이러하다.

 

P.104

The anti-semitism in Europe preceding the Holocaust caused a hegira of Jewish intellectuals who pursued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홀로코스트보다 앞서 일어난 유럽의 반유대주의는 유대인 지식층의 도피를 유발해 이들은 미국에서 성공을 추구했다.]

 

반유대주의가 도피를 유발해 성공을 추구했다? 일단 말이 안되는 건 둘째치고, who이하를 서술적으로 번역했다는 것이 치명적이라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 서술적 용법과 제한적 용법을 모르는 번역자는 의외로 많다.

 

 

여기에 쓰인 번역은 한 페이지당 몇 천원의 저임금으로 일을 시킨 출판사와 만남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여지껏 유명출판사의 책 중에서 이처럼 질낮은 번역이 이루어진 경우를 거의 본 적이 없다. 이 책은 다시 번역되야 한다.

 

이 책의 첫 페이지를 보자

p.20

The first few months of kindergarten were spent almost entirely on abecedarian tasks.

[유치원에 들어가 처음 몇 달은 거의 기초적인 일을 하는데 보냈다.]

 

거의 기초적인이 아니라 시간을 거의 보냈다라는 내용이다.

[처음 몇 달 동안은 알파벳과 같은 기본적인 수업을 하는데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라고 번역해야 정확하다.

 

일부러 폄하하는게 아니다. 한국말로 어색한 말이 도처에 널려 있다. 초고 번역본을 그대로 출판했다는 의심을 주기에 충분한 내용물이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러기엔 너무 아까운 책이다. 재번역을 해서 출판해야 한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대한 일상 창비시선 294
백무산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의 다른 생

 싸락눈 소복 담긴 낡은 새둥지 하나
키 낮은 싸리나무 기둥에
간신히 달린 집 한 채
봄날 근사한 집 짓고 예쁜 짝 만나
가족 이루고 재잘재잘 한철 살다
찬바람 속으로 떠나보냈 뿔뿔이
둥지마저 버리고
긴 겨울 골짜기 나무처럼 울다

 다시 봄날 처음 날듯이 날개짓하
새집 짓고 새짝도 만나
첫봄 맞듯 처음 살듯 다시 산다
새들은 몇번의 생을 살다 가는 것일까 

 내게도 벌써 여러 봄과
여러 겨울이 지났
지난 계절들 내 손으로 다 거두어온 줄
알았는데

여기저기 나의 낯선 생이 바람 속
빈 둥지처럼 나뒹굴고 있
나는 지나온 나의 전부가 아니 

내 온몸이 통과했왔건만 낯선 생이
불쑥 낯익은 바람에 타인의 것인 양 흩어지고 있 

나는 그걸 하나의 생이라고 우겨왔
저기 다른 생이 또 하나 밀려오 

 
 #############

전체적으로 보면, ~하네 투로 인생의 허무함을 아저씨 스타일로 그려냈다. 그런데, 일반적인 율격으로 보나, 이 작가가 대부분의 연에서 채택한 ~네, 로 끝나는 방식은 2연부터 평범하게 쓰이고 있다. 그런데, 1연만 유난히 부사절이 호흡이 긴데다가 6째줄에 -뗘나보냈네-라고 쓰며 연이 끝나지 않고 뿔뿔이, 로 다시 3줄이 연결되고 있다. 나는 여기서 졍형시의 잣대로 이 시를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

1연의 마지막을 보자. -긴 겨울 골짜기 나무처럼 울다- 이렇게 한 연이 끊긴 상태가 다음 연에서 -다시 봄날 처음 날듯이 날갯짓하네-로 연결되고 있다.

 이 시는 이 시집의 첫시다. 제목도 심상치 않다. 생의 다른 생. 그런데, 연을 나누는 방식이 시를 전혀 써본적도 없는 사람인 것처럼 보인다. 만약에 ~네의 율격이 파괴되는불협화음을 계산했다라면, 전체가 유기적으로 이루어 졌어야 한다. 그런데, 2연부터는 ~네로 이어지는 상투적 푸념조가 끝까지 이어진다. 그런데, 1연에서 율격을 파괴하는 것 같은 행 나눔은 의도적이었던가? 일반적으로 웬만한 시인들은 외재율이나 내재율을 이용하여 행나누기를 하거나, 예외적으로 파격적인 의도로 행을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이 시는 어떤가. 아무런 내용상, 내율상의 의도적 파괴랑은 상관없이 그냥 무작위적인 행나누기를 시도하고 있으니 내게는 최소한의 성의도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바보라서 그런가. 이 작가는 이미 이산문학상, 만해문학상, 아름다운 작가상을 수상한 소위 중견시인이다. 더군다나 창비시선은 나름의 필터가 있어, 어느 정도 여과기능이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꼭 그런 것만은 아니란 걸 요새 느끼고 있다. 내용이나 표현이 너무나 상투적인 것은 그것이 작가의 표현방식이겠거니 하고 이해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행 나누기를 못하면서, 시를 쓴다는 것은 박자를 못맞추면서 노래를 부르려는 가수의 모습이 아닐까 한다. 이도 저도 아니면, 퇴고하는 수고도 더하지 않고 그냥 되는 대로 낸 시라고 밖에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거대한 일상]이란 시집제목은 거대한 말로 치장한 헐벗은 열정으로 화자의 쓸쓸한 自嘲感을 느낄 수 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