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일은 어쩌면 서울을 찍고 싶어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괴테의 이야기를, 도스토에프스키의 이야기를 2008년의 한국에, 한국의 서울에 가져다 놓음으로써 2008년의 서울의, 21세기 지금 현재 우리 서울의 공기와 시간을 붙들어 담고자 하였을지도 모른다. 


영화는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쇼트들로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쇼트들은 이후에도 종종 삽입되어 보여진다. 마치 물 위를 부유하듯이 카메라는 서울의 이곳 저곳을 흐르며 무심한 듯, 혹은 뭔가를 아쉬워하는 듯한 느낌으로 서울을 바라본다. 서울을 향한 애도, 혹은 연민. 청계천을 따라 흐르던 카메라가, 영원히 지속될 것처럼 이어지던 트래킹 쇼트가 교회에 이르러 문득 끝나는 순간, 청계천은 거기서 죽은 것이다.

영수가 죽은 후, 영수의 집 문에 등이 걸린다. 죽은 영수가 누워있고 어머니가 그를 부여잡고 서럽게 통곡한다. 사각의 프레임. 그리고 그 안에 양쪽으로 조금씩 닫힌 방문이 만들어내는 또 하나의 프레임 안으로 카메라는 둘을 바라본다. 프레임 안의 프레임. 그리고, 그 둘 뒤로 작은 창문이 또 하나의 프레임을 만들어낸다. 그 작은 프레임 안으로 보이는 서울 타워. 죽음의 시간을 바라보는 프레임 안에서 우리는 서울 타워를 함께 바라보는 것이다. <극장전>에서 동수의 입을 빌려 말하자면 '아무데나 있는' 서울 타워. 그러니까, 다시 말하자면 그냥 '서울.' 영수의 죽음. 혹은 서울의 죽음. 정성일은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상영시간이 죽음을 미루는 시간"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한다. 영수의 죽음을 미루는 시간. 하지만, 어쩌면 서울의 죽음을 미루는 시간. 영화의 첫 쇼트. 아기를 임신한 어린 소녀는 죽기 위해 햄버거를 우적우적 씹어 먹는다(고 보도자료에 밝혀져 있다고 한다). 영화의 마지막. 영수가 죽고 이제 영화가 끝난게 아닌가하고 느껴지는 순간 소녀는 다시 등장한다. 소녀는 친구와 함께 케이블카를 타고 남산에 오른다. 이제 어떡할거야? 낳아야지. 그래서 어떡할건데? 길러야지. 낳아서 어떡할건데? 살아야지. 친구의 물음에 소녀는 고개를 들고 떳떳이 앞을 바라보며 살아가겠다고 한다. 그리고 그녀들은 뱃속의 아이에게 인사한다. 해피 버스데이. 정성일은 어쩌면 지금 서울의 죽음을 목도하면서도 동시에 차마 손을 놓지 못하고 서울이 계속 살아나아가 주길 원하는지도 모른다. 혹은, 소녀가 남산에 오르기 전 소녀를 임신 시킨 것이 분명한 소년을 찾아가 그를 때리려다 말고 문득 한번 껴안고서 떠나갈 때, 서울은 거기서 죽은 것이다. 그리고, 남산을 올라가며 정성일은 서울이 거기서, 그러니까 어디서나 보이는 그곳에서 서울이 곧 태어날 아기와 함께 다시 새로 태어나 주길 바라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 영화가 지금 이명박의 시대에, 혹은 오세훈의 서울에서 개봉한 것은 어쩌면 기적일지도 모른다. 다만, 우리는 밤중에 별을 잃고 선화여인숙 앞에 맥 없이 앉아 있는 저 동방박사 세 사람처럼 길을 잃고 헤매는 일 없이 소녀와 함께 해를 향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길 바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1-11-16 0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 영화 봤는데요, 관람객이 너무 없어 정말 한산하더라구요. 정치 시스템 (이명박시대, 오세훈등)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관심이 거기에 미치지 않는 것 같아요.

허스키 2011-11-16 12:22   좋아요 0 | URL
영화는 어떠셨나요? 저에겐 작년의 영화 베스트 10에 들어가는 영화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