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학 중 영화이론에 관한 공부를 하였으나 여기에서 영화학에 관한 지지를 선언하고 일상적인 영화에 관한 자유로운 대화를 비하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가 발전하기 위해선 둘 모두가 필요하며, 그 둘이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할 때 그들이 중간에 놓고 애정을 가지고 다루는 '영화'가 함께 발전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굳이 영어로 된 원문을 시간을 들여 어설프게나마 우리말로 바꾸어 놓아 보는 이유는 이제는 조용해진 <디 워>로 불거졌던 영화비평의 효용성에 관한 논쟁에 있어서 영화에 관해 깊이 사유하는 것이 필요없는 것은 아니다고 말하고 싶어서입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어쩌면 진짜 이유는 내 자신을 위함, 즉 원문을 읽어내려가며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내 스스로의 영화에 관한 애정을 유지하기 위함일지도 모릅니다.

데이빗 보드웰은 영화에 관한 책 중 베스트셀러이며 몇 몇 학과에선 교과서(혹은 그와 거의 비슷하게)로 사용하는 <Film Art>의 저자입니다. 저 역시 10여년전 이 책을 읽었고, 아직도 제 책장에 이젠 제법 낡은 모습으로 꽂혀 있습니다.

원문은 데이빗 보드웰과 그의 아내의 블로그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Studying Cinema
David Bordwell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본 영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영화에 대해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에서의 영화에 관해 이야기하고 사고하는 것이 학문으로서의 영화학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것일까? 이 두가지의 영화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은 완전히 다른 것이기도 하지만, 몇몇 차이점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첫번째, 일반적인 영화에 관한 담론은 평가를 내리는데에 그 중점이 있다. "그 무비 정말 죽이더라!" "정말? 난 별로던데." 다시 말해, 이처럼 영화 리뷰어들은 티켓을 주고 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지 없는지를 말하며 영화를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 영화학 역시 이러한 평가 행위를 수반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영화학자들에게 특정 영화를 평가하는 것은 주요 목표가 아니다.

두번째로, 일반적인 대화에서는 역사적인 부분이 등한시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결국 작품은 전통이나 긴 맥락의 트렌드 위에서 논의되지 못한다. 대부분의 리뷰어들은 작품을 영화 역사의 맥락 안에서 사유하는 방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 영화 역사의 맥락 안에서 작품이 이야기 되어질 때에도 그것은 대개 현재에 국한되며, 리뷰어들은 작품이 현재 사회 이슈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세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점. 영화에 관한 일반적인 대화는 그리 분석적이지 못하다. 영화의 부분들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해 이야기 되어지지 못하고, 플롯을 만들어가는 방식이나 스타일은 분석되어지지 못하고, 작품이 생산하고자 할지도 모를 사상적 공작은 연구되지 못한다. 리뷰어들이 설사 이러한 부분들에 관해서 "거슬리는 몽타지"라던지 "일관적이지 못한 모티브" 등이라는 표현으로 이야기를 할 때에도, 이것은 아주 미미할 뿐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영화학은 영화와 영화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과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영화학자들은 왜 영화가 이러한 모습이며, 왜 영화가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왜 영화가 이러한 방식으로 소비되었는지와 같은 물음에 집중한다. 대부분의 영화에 관한 일상적인 대화와 대부분의 영화 저널리즘은 "왜"라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

무언가를 설명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그것을 분석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분석은 전체를 연관되는 부분들끼리 나누고 그들이 어떻게 함께 작용하는지 고민하는 것이다. 따라서, 1930년에 특정 스튜디오가 어떻게 일을 했는지에 흥미를 가진 영화학자라면 그 스튜디오의 운영체계를 분리할 것이며, 학구적인 영화 평론가라면 작품을 씬이나 시퀀스 등으로 쪼개어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또한, 1930년에 스튜디오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설명하고자 하는 영화역사학자는 스튜디오의 매일매일의 일과를 묘사할 것이며,  학구적인 영화 평론가는 어찌하여 그 씬이 특정한 의미를 지니며 특정한 효과를 야기하는지를 심도 깊게 묘사할 것이다. 분석과 묘사는 일반 대화와 영화 리뷰에서 매우 드문 일인데, 이는 비단 시간과 공간의 부족 뿐만이 아니라, 영화학자는 다른 집단에겐 그리 필요가 없는 '설명'에 흥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설명엔 여러 다른 종류가 있다. 역사학자들은 x와 y라는 현상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z라는 모습을 만들어내는 방식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을 찾는다. 영화 분석학자와 이론가들은 x와 y가 주어진 시간에 어떻게 함께 작동하여 z라는 전체를 만들어내는지에 관한 기능적인 설명을 구한다. 이러한 기능적 설명은 다시 말하지만 일반적인 대화나 영화 리뷰에서는 그리 다루어지지 않는 부분이다.

영화학자들이 영화에 관해 이야기 할 때, 그들은 또한 해석, 즉 우리들이 영화 속에서 찾을 수 있는 확실치 않은 의미에 관한 주장들도 제공한다. 해석은 특정한 종류의 기능적 설명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해석은 영화의 스타일, 구성, 대화, 플롯과 같은 요소들이 영화 전체의 중요도에 기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영화학에 관한 가장 충실한 정의를 내리자면 그것은 질문을 제안하고 그것에 대답하려 노력하는 과정일 것이다. 영화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대화는 이와는 달리 정보 공유, 다른 이들과의 사회적 유대, 그리고 다른 이들의 취향에 관해 알아가는 것 등과 같은 목적을 지닌다. 물론 영화학도 이러한 목적을 지니지만,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토론과 비평을 통해 질문에 대답하려 노력한는 점에서 다르다. 결국, 영화학은 대답을 위해서 설명이 필요한 특정 종류의 질문들에 그 중점을 둔다. 

그러나, 영화학과 매우 닮은 모습을 지닌 영화에 관한 일상적인 대화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팬들이 내놓은 이야기들이다. 팬문화는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씬에 관해 종종 매우 자세하게 묘사하기를 좋아하며, 때론 분석까지 이르기도 한다. 팬들의 대화 역시 다른 대화들과 마찬가지로 평가적인 부분들이 있으나, 그들의 전문화된 담론은 학계에서 진행되는 담론과 같기도 하다. 본 웹사이트의 다른 곳에 제안된 논쟁들은 이론, 역사적 논쟁, 그리고 영화분석이 결국 특정 질문에 관한 대답, 즉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안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믿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