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화를 이루기 위한 꿈과 꿈속의 상징들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진 칼 융의 책.
조금은 어려워도 심도깊게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참 좋은 책인거 같다.




빠르게 흘러가는 세월과 위압적으로 도래하는 새로은세계의 발견으로 인해 많은 것이 해결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 있다.
우리는 거기에서 자유로워진 것이 아니라 단지 멀어져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노년에 들어 다시금 어린 시절을 회상할 때 거기에 우리 인격의파편이 아직도 살아 있음을 발견하는데, 그것은 우리를 움켜잡고 우리에게 달라붙어 어린 시절의 감정이 온몸에 넘쳐흐르게 한다. 그러한 인격의 파편은 아직 어린아이의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강력하고 직접적이다. 성숙한 의식과 다시 결합할 때만이 유아적인 면을 벗고 개선될수 있다. 그러한 개인적 무의식‘은 항상 먼저 처리되어야, 다시 말해의식화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집단적 무의식으로 가는 입구를 열수 없다.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하는, 수많은 사다리 위를 오르내리는여행은 아직 통합되지 않은 유아적 내용이 그렇게 의식화되는 것을 말해준다.
- P83

재생 의식의 상징성은, 진지하게 생각해보면, 단순히 유아성과 고태적인 점을 넘어서 선천적이고 심리적인 소질을 가리키는데, 그것은 동물적 차원까지 거슬러 가는 조상의 모든 삶의 결과이며 침전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조상의 상징이며 동물의 상징이다. 중요한 것은 의식과 생명의 진정한 원천인 무의식이 분리되는 것을 지양하고, 유전적이고 본능으로 구성된 자연적 토양과 개체의 재결합을 이끌어내고자하는 노력이다. 그러한 재생 의식이 뚜렷한 효과를 지니지 못했다면 그것은 오래 전의 시대에 이미 사멸해버렸거나 아예 그러한 것이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우리의 경우를 보면, 비록 의식이 재생의식의 태곳적 표상과는 엄청나게 동떨어져 있다 할지라도 무의식은 꿈을 통해 그러한 표상을 다시금 의식에 근접시키고자 애쓰고 있다는 것이 입증된다. 의식의 자율성과 자족성은 의식 자체가 생겨나는 데 불가피한 특성이긴 하지만, 또 한편 무의식이 분리됨으로써 그것은 견딜 수 없는 본능의 소외(lnstinktfremdheit)를 만들어내며 고립과 황폐화윽 위험을 일으킨다. 본능 상실 상태는 바로 끊없는 불화와 혼란의 원천이 된다. - P170

원형이란 말하자면 ‘영원한 현존이다. 다만 의식이 그것을 인지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 연속된 꿈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모티프가 더욱 뚜렷하고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바로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유형을 더욱 정확하게 포착한 결과라고 가정할 수있다. 나는 그것이 연속된 꿈이 진행되어서야 비로소 만다라가 생겨난다는 생각보다 더 개연성이 있고 관찰 결과를 더 잘 설명해주는 가설이라고 생각한다. 예컨대 인격을 가리는 모자와 주변을 선회하는 뱀,그리고 끊임없는 움직임과 같은 본질적인 사상이 바로 처음에 등장하는 상황 (꿈 1,5와 9) 은 그러한 생각을 입증하고 있다. - P280

개개의 삶은 결국 하나의 전체, 다시 말해 자기의 실현이다. 따라서 또한 그러한 실현을 개성화라고 지칭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든삶은 그것을 짊어지고 실현하는 개인들과 결부되어 있으며 그들 없이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삶을 짊어진 모두에게는 또한 개인적인 숙명과 목적이 주어져 있으며, 그것의 실현이 살아 있는 존재의의미를 만들어낸다. 물론 ‘의미‘ 있다는 것은 흔히 ‘무의미‘ 하다고도말할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존재의 비밀과 인간적 이성 사이에는 어떤 비가측성非可測性(헤아릴 수 없음 - 역주)이 있다. ‘의미‘와 ‘무의 의미‘는 적절한 하나의 방향 설정을 위해 인간이 만든 새로운 해석일 뿐이다.
- P2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