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아리스토텔레스 - 쉽게 풀어낸 어려운 생각
모티머 J. 애들러 지음, 김인수 옮김 / 마인드큐브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리스토텔레스를 알기 위한 쉽지만 너무나 잘 정돈된 책이다.

목적적 행동과 실천적 사고

목적적 행동은 계획한 목적을 향해 행동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우리는 행동 속에 목적이 들어 있다고말합니다.

지향 없이 행동하는 사람은 조타수 없이 강물 위를 떠가는 배와 같습니다. 그런 행동은 생각이 없는 행동입니다. 자기 행동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지 아무런 계획이 없는 것입니다. 지향 없는 행동은 아무런 생각을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목적적으로 행동하려면 우리는 먼저 생각을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우리는 우리가 지향하는 목표에 대해, 달성하고자 하는 그 목적에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또 그 여러 수단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나은 대안 수단인지, 왜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더 나은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선택하려는 어떤 특정 수단이 다른 어떤 일을 먼저 하지않으면 확보할 수 없는 그런 수단이라면, 그때는 그 수단 자체가 하나의목적이 되며, 우리는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또 생각해야 합니다.

지금 내가 묘사한 것과 같은 종류의 사고가 실천적 사고입니다. 실천적사고는 목적과 수단에 대한 사고이며, 당신이 도달하려는 목표와 그곳에도달하기 위해 이루어야 하는 일에 대한 사고입니다. 그것은 목적적 행동에 필요한 그런 종류의 사고입니다.
- P108

이 책의 앞부분에서 나는 인간이 자기 자신과 자기가 살고 있는 세계에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질문을 던질 줄 아는 능력으로 인해 다른 동물과 구별된다고 말했습니다. 이 점을 너무나도 잘 아는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가장 중요한 책 중의 하나(형이상학》)를 이런 첫 문장으로 시작했습니다. "인간은 본성상 알기를 욕망한다."  이 문장을 통해 그는, 지식에 대한 욕망은 음식에 대한 욕망만큼이나 자연적인 필요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 P128

좋은 국가와 좋은 정부가 개인들의 행복의 추구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중요한 방법은, 그 개인들이 그들 자신의 실수의 결과가 아닌, 나쁜 운이나 불행의 결과로 겪게 되는 결핍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즉, 국가와 정부는 개인들이 자신을 위해 선택이나노력으로는 할 수 없었던 일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 방향에서 할 수 있는최대한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국가요. 가장 좋은 정부입니다.
- P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