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 뒤메질, 인도-유럽 신화의 비교 연구 - 그리스, 스칸디나비아, 인도, 로마의 신화들
김현자 지음 / 민음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조르주 뒤메질의 비교신화학을 연구한 책이다. 저자에 따르면 뒤메질은 레비스트로스, 엘리아데와 함께 20세기 신화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그러나 두 학자의 저작은 국문으로 번역이 많이 됐고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비해 뒤메질은 거의 소개가 안됐다. 우리나라 인구의 반 이상이 종교를 갖고 있음에도, 종교 자체에 대한 연구가 이리도 미진한건 안타까운 현상이다.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를 비교신화학적으로 연구했다. 여기서 그의 유명한 도식인 3기능 구조가 나온다. 1기능은 주술•법률적인 지배권, 2기능은 무력, 3기능은 풍요와 부를 말한다. 신화는 이 세 기능의 조화를 중심으로 서사가 짜여진다는 것이다.
물론 이에 관한 비판도 있다. 이런 도식이 신화 연구를 단순화 하기에 오히려 분석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적절한 도식은 각 신화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더욱 명료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뒤메질을 변호해본다.

사실 이 책은 뒤메질의 말보다 신화의 내용 자체를 더 많이 기술한다. 일반 독자에게 생소할 수 있는 신화를 소개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정작 뒤메질이 신화에 관해 어떤 얘길 했는지가 빠져있어서 책의 기획의도가 모호해지고 말았다. 그럼에도 차후에 이를 바탕으로 더 좋은 뒤메질 연구서가 나오길 기대해본다. 아울러 뒤메질의 저작이 번역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