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마르크스주의로는 국가로부터 발생한 여러 참사나 재난에 대해서는 크게 다루지 못하고

별 일이 아니라고 우습게 여기기도 한다. 사고들에 대한 원인으로는 주로 구조나 체제로부터 기인하거나, 앞선 대책을 미리 수립하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리는 지배자 이전에 국가 지도자와 관료들에 대한 책임마저 묻는다. 

마르크스주의 이전에 한 사람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거기서 끝나지는 않는다. 


지배자와 관료들은 보고를 누락하거나, 느슨한 고리를 형성하고, 방안 부재까지 참사와 재난이 일어났을 때, 주로 처리해야 할 일을 정작 하지 않거나, 가볍게 생각하기만 하고는 미루고 쌓는다. 단지 우발적인 사건일 수는 없겠다. 노동 대중들도 지적했지만 안전 수칙은 괜히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직적인 계급 관계로는 사고를 더욱 빠르게 대처하기란 매우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경찰 통제마저 불가피하지만, 국내로는 인력이 마약 단속으로 분산해버렸다고 한다. 과연 경찰 국가답다.    


작은 사고부터 시작해서, 자본주의 체제로는 여러 범죄부터, 대형 사고까지, 축제가 끝나도 사람이 죽는 일은 매우 쉬워졌다. 개별적인 사람 한 명은 소중한 재산 따위가 아니다. 당시로는 언론도, 여론도 문제였다. 젊은이들이 축제를 가는 일만 문제 삼았고, 질서가 무너졌다고 하소연만 해댔다. 잘 놀지도 못하고, 놀 줄도 몰랐던 젊은이들은 저마다 사연들이 있음에도, 풀 수 있던 해방구마저 정작 사라지고 말았다.  


과연 한국은 경찰 국가이자 자살 국가다. 보고를 받았음에도, 연락받지 못했다고 변명하고, 

아는 한, 법적인 침묵 아래로 해명은 단 한 마디도 하지 않는다. 그들은 전부 그토록 숨기고 싶었던 국가 체제에 대한 부정 논리를 더욱 드러내고 말았다. 그리고 지도자가 있음에도, 무정부적인 성질도 보였다. 그리고 결국 같은 참사는 일어나고 말았다. 


역사적인 참사나 재난들은 환경이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구분하거나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모순으로는 상부로부터 계급적인 요인, 부패한 구조를 지적하지 않는 한,

모든 체제 안에서도 일어날, 수 많은 참사와 재난은 반복할 수밖에는 없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동 문제는 확전했다. 복잡한 문제라고들 한다. 

그러나 생사가 걸린 문제로는 복잡한 문제란 없다. 

중동은 가스와 배럴 석유 문제,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졌다. 

비단 중동 문제만이 아니다. 아프리카와 남미에서는 주로 기아 문제를 거론하지만, 

장기적인 군부 독재 국가들로부터 전 세계가 파산 난지는 오래다.  

새삼 뒤늦게 민주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지적으로는 

경제 문제마저 선진적인 민주화 문제로 환원해서 돌려버린 시각은 

디에서 유래했는가를 살펴보면 명확해진다.  

 

국가로 보자면, 정작 중동, 아프리카, 남미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도 공산당은 절실하다. 

그러나 기반은 매우 취약하거나, 낮다. 소수 운동 단체들, 개인적인 성명으로만 유지해왔다. 

매체로는, 국가들 간으로는 연락을 취할 수 있는 폭 넓은 토대를 갖추고 있음에도,

혁명에 대한 의식 부재와 단편적인 운동으로만 머물기 때문에 손 꼽는다. 


전쟁 중단. 매우 중요한 말이다.

그러나 평화적인 호소로, 연대를 도모한다고 해서, 

학살을 빙자한 속국 수용이라면 더욱 문제다. 

과연 선진국의 위상이 아니라 위선을 제대로 보여준 셈이다.

전쟁에서 승리하고 경제를 안정화하겠다는 전략이 언제까지나 먹힐 수 있을까. 

쉽사리, 정작 군대를 복무해본 경험이 있는 독자들이라면, 참 할 말도 많겠다.  

누구도 그러한 전쟁에 대한 전말마저 숨기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국내도 똑같다. 아직 통일도 안 됐다. 그리고 공산당에 대해서는 반감마저 갖췄기 때문에, 

중동 문제라는 일부로 본다면, 자국 독립을 요구하는 시각마저 놓치기란 쉽다.

북한도 파견한 마당에, 누가 중동 문제를 다루고자 하겠는가. 

누가 아프리카를 다루는가. 누가 남미를 다루던가. 그리고 아시아는 누구인가. 

정작 적을 모르고는 모든 걸 부정하기만 해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러 남은 공산당은 그러한 부정에 대해 도전해야만 한다. 

각국에도 공산당은 필요하다. 그리고 실권을 잡고 국가를 유지하는 권력이 아니라, 

이전 혁명가들로부터 말해준 교훈으로부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들은 국가라는 질서를 지배하고, 또 파괴한다.   


부르주아 국가라면 조직 기구로부터 소멸만이 아니라 분쇄하는 건 옳다.  

보다 중요한 건, 프롤레타리아트들로는 낡은 부르주아 조직 기구를 폐기하고, 

오랜 부르주아 조직 국가를 더욱 폐지할 수 있는 힘도 남기 때문이다.   

언젠가 각국 내외 지배자들이 품은 공상에도 맞설 혁명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지배란 달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세기, 유럽에서는 여러 혁명 정당들도 있었다. 이름으로는 특수하겠지만, 꽤 잘 알려진 

독일로는 스파르타쿠스 당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는 주로 두 명을 소개하는 데, 

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다. 이외로는, 19세기 독일에서도 여러 혁명가들은 

활동했었다. 로자 룩셈부르크에 대한 저작이나 소개는 잘 알려졌지만, 해외에서 소개한 바와는 

달리, 칼 리프크네히트는 알려진 바는 적거나, 공식적으로 번역한 저작이 아직까지는 없다.

자리를 빌려, 사실은 <군국주의와 반군국주의>에 대한 소책자를 직접 번역한 적은 있어서, 

더욱 정리해보겠다.   


더불어, <군국주의와 반군국주의>를 소개하고, 전쟁과 자본에 대한 관계로부터, 그리고 

무력을 동반하는 제국 간 전쟁이, 국내에서도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리프크네히트에 대한 과정, 룩셈부르크 문제에 대한 독일 스타르타쿠스 당에 대한 

설립 배경과 당시 문제에 대해서도,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다뤄보고자 한다. 


레닌도 자주 언급했었지만, 스파르타쿠스 당은 전위당에 대한 역할로 매우 충실하다고 평가했었다. 

자국에 대한 날 선 비판을 가했던만큼 이웃 나라였던, 독일로는 스파트라쿠스 당에서도 

혁명은 충분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에, 주로 전위당에 대한 주장들을 

여기서 정리하고, 스파르타쿠스 당을 중심으로 뭉친 사람들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동서독 분열 이전 시기이므로, 시간이 남는다면 같이 소개해보겠다. 

혁명가들도 잘 다루지는 않지만, 실제로는 동서독사 이전 혁명사로는 매우 깊다.


이를테면, 동서독사 이전 시기 독일 혁명사로는 크리스 하먼, <패배한 혁명>도 있다. 

알렉스 캘리니코스보다는 혁명기에 대한 서술은 분명했다. 

그러나 잘 알려진, 토니 클리프를 비롯한 학문적인 기회주의 편견를 따랐기 때문에,  

입장이 고르지는 못하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는 참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외로는, 독일 혁명사에 대한 다른 저작들에 대해서도 따로 견해를 모아서, 

전위당에 대한 역사에서도 얻을 수 있는 지배 계급 간 전쟁에 대한 중요한 가르침을 얻어내고자 한다. 

동지들에게도 글로 나마 소개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기서는 코민테른 이전, 인터내셔널(국제노동협회) 문제를 다뤄보고, 

전 세계, 노동 안건들을 포함해서, 회담에 대한 내용들, 국제 공산당이라는 과업.  

제6차 인터내셔널이라는 국면에서 재수립 방안에 대해서도 포괄해서 논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 세계 혁명가들에게도 앞으로 당부한다면, 

벗들은 동지를 죽일 수도 있다.  

혁명 국면이라면 많이 바뀐다.  

같은 길이라도 함께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안다면, 

의사가 남은 소수로만 지휘할 수밖에는 없다. 


쉽게 배신을 일삼기도 하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을 택할 수 있다. 

어떤 쪽에 가담하든, 프롤레타리아트는 필요한 사람들을 가려낼 수 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교육을 먼저 받아왔다.  


상대를 두고 적으로 돌리는 행위는 비난하기도 매우 쉽다.  

선 그을 줄 알고,  

어느 시점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준비를 하고,

당면하더라도, 계획한 대로 각자 진행한다면,

그러한 적들에도 맞서, 친근한 벗들에게 

동지를 잃어선 안 되는 이유를 차분하게 몸소 들려줄 수 있다.


혁명이라는 실천 한 걸음은 생각에 비하면 매우 크다.


잊지는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