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연구 정리 중이다.
독서 중인 경제학 관련 자료.
정진아, <한국 경제의 설계자들>
역사문제연구소, <20세기 한국경제사>
1. 자료 조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경제사>
한국사회재인식 프로젝트:
<박정희 모델과 신자유주의 사이에서>,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 운동의 동학>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혁신과 통합의 한국경제모델을 찾아서>
<한국 시민사회의 변동과 사회문제>, <시민사회의 구성원리 전환과 사회정책의 대안적 프레임>
<통합과 배제의 사회정책과 담론>
서울사회과학연구소: <한국에서의 자본주의 발전>
한국노총중앙연구원: <주주자본주의에 따른 기업지배 구조 및 노사관계의 변화>
한국사회경제학회, <신자유주의와 국가의 재도전>, <한국자본주의와 노동운동>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의 부패와 반부패 정책>, <산별노조 운동의 현황과 과제>
<대안적 경제전략과 한국경제>,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자본의 세계화와 축적체제의 위기>,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 국제 사례연구>, <교사의 사회의식 변화 : 2005~2014>
<세계화와 한국의 축적체제 변화>, <자본의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계급구조 변화>
<자본주의를 넘어선 대안사회경제>, <대안사회경제를 향한 여정>, <대안사회경제모델의 구축>
1-1. 국내 자본주의 논리 발전사.
김경태: <한국근대경제사연구>
김낙년: <한국경제성장사>
김동운: <한국재벌과 개인적 경영주의>
김왕직: <건축경제사>
김우택: <시장경제와 한국의 자본주의>
박승호: <한국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박현채: <한국자본주의와 사회구조>
백종국: <한국 자본주의의 선택>
서정익: <전시일본경제사>
안병직: <한국 경제 성장사>
안재흥: <복지 자본주의 정치경제의 형성과 재편>
오세철: <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
윤홍식: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이병천: <한국 자본주의 발전궤적과 진로, 한국자본주의 모델>
이영훈: <한국경제사>
장하성: <한국 자본주의>
장훈, 이승주: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경제사>
조동성: <한국 자본주의의 개척가들>
주종환: <한국자본주의>
최장집: <한국자본주의와 국가>
1-2. 한국 근대 산업의 형성 과정.
오진석 - <한국 근현대 전력산업사, 1898~1961>
양정필 - <근대 개성상인과 인삼업>
배성준 - <한국 근대 공업사 1876~1945>
최병택 - <한국 근대 임업사>
염정섭 - <한국 근대 농업체제의 형성과 변동>
고동환 - <한국 근대 상업의 형성>
1-3. 현대 자본주의 논쟁 서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권력과 진보>
경제주의자들은 왜 대한민국을 쑥대밭으로 만들어놨을까.
1-4. 항목 정리.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한국경제사>
<박정희 모델과 신자유주의 사이에서>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 운동의 동학>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혁신과 통합의 한국경제모델을 찾아서>
<한국 시민사회의 변동과 사회문제>
<시민사회의 구성원리 전환과 사회정책의 대안적 프레임>
<통합과 배제의 사회정책과 담론>
<한국에서의 자본주의 발전>
<주주자본주의에 따른 기업지배 구조 및 노사관계의 변화>
<신자유주의와 국가의 재도전>
<한국자본주의와 노동운동>
<한국의 부패와 반부패 정책>
<산별노조 운동의 현황과 과제>
<대안적 경제전략과 한국경제>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자본의 세계화와 축적체제의 위기>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 국제 사례연구>
<교사의 사회의식 변화 : 2005~2014>
<세계화와 한국의 축적체제 변화>
<자본의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계급구조 변화>
<자본주의를 넘어선 대안사회경제>
<대안사회경제를 향한 여정>
<대안사회경제모델의 구축>
<한국자본주의와 사회구조>
<한국 자본주의의 선택>
<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
<한국 자본주의의 개척가들>
<한국자본주의와 국가>
<한국 자본주의 발전궤적과 진로>
<시장경제와 한국의 자본주의>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한국자본주의>
<한국재벌과 개인적 경영주의>
<복지 자본주의 정치경제의 형성과 재편>
<한국자본주의 모델>
<한국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한국 자본주의>
<건축경제사>
<전시일본경제사>
<한국 경제 성장사>
<한국근대경제사연구>
<한국경제사>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경제사>
<한국 근현대 전력산업사, 1898~1961>
<근대 개성상인과 인삼업>
<한국 근대 공업사 1876~1945>
<한국 근대 임업사>
<한국 근대 농업체제의 형성과 변동>
<한국 근대 상업의 형성>
2. 논문 및 통계자료.
국가 통계 자료 및 통계청 지원 요구.
학술 연구 자료 참조.
2-1. 별지로 다룰 목록.
- <논쟁으로 읽는 한국 현대사>
- <일본 자본주의 논쟁사>
2-3. 몇 가지 질문.
- 대안 운동은 어떻게 한국 자본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동력이 됐을까.
- 근대 시기, 산업이 한국의 자본주의의 발전 모델로 작용할 수 있었을까.
- 한국 자본주의에서 근대화란 무엇인가.
- 한국 자본주의 발전에서, 어떻게 제국주의 식민지의 모습을 그대로 답습하는가.
- 국내 부르주아 학자들은, 어떤 식으로 자본 축적의 논리를 부정하는가.
- 고전적인 경제주의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본주의를 인정하는가.
2-4. 구소련 계획 경제 관련 추가 문헌 자료.
레닌, <러시아 자본주의 발전사>, <제국주의>
힐퍼딩, <금융자본론>
부하린, <세계경제와 제국주의>
본장에서는 '구소련'에 대한 논의는 가급적 제외하기로 하고,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또한 이미 수 많은 부르주아 정치경제학에 대한 논의는 자본주의 발전과는 무관하다고 보고 있으므로, 정치경제학에 대한 별도의 지면에서 다루고자 하겠다.
3. 목차 준비와 자료 수집 단계에 따른 주요한 논점 개설.
- 식민지 농업 수탈 문제.
- 한국 산업체들의 발전과 대기업 문화의 형성.
- 자본주의 동력 발전의 가동 원인 분석.
- 서민주의, 경제적 낭만주의.
한국 자본주의 발전에 따른 정치 경제학의 모순들, 부르주아 경제주의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요지를 드러낸다. 인민주의에 대한 주요한 비판에서부터, 애초부터 개량화에서 출발한 현대 경제학의 속류화된 문제점과, 수정된 기회주의 경향 및 흐름들과 연관한 종합적인 비판으로 개설한다.
- 수정주의, 사회배외주의 논점들.
- 일부 경제학 지식인들은 국내 자본주의 경제에 대해 그럴듯한 경제적 호황을 호언장담하는 듯하다. 정작 허항된 전망을 바라보며 체제에 따른 모순을 지적하지는 못하고는 좌익 '수정주의' 관점들이 내세우는 반자본주의 경제관, 대안적 경제관점들조차도 시장경제는 옹호하되, 제국주의를 부정한다. 그러나 부르주아지들의 체제 마련을 지적하지도 못하고는, 그저 대책만 없다고 보고 시각들도 다시 자본주의를 수호하거나, 또한 더욱 공고하게 만드는 장본인들이라는 점이다.
후기(포스트) 자본주의 담론의 문제 보고.
- 부르주아, 대재벌사.
- 각 정권 시기 별로, 혁명 투쟁을 제거한 역사로나, 프롤레타리아트를 착취한 역사로부터 자본주의는 국내에서도 공업화, 철강 산업 시기, 해외 원조들의 진상과 모순들로부터 노동자들에 대한
억압에 따른 구속과 감금을 증명했다. 대재벌로 이뤄진 부르주아지들에 대한 기여들과, 자산가들의 소부르주아지들의 행태들은 여러 운동들을 퇴보시키도록 일조했다.
- 트러스트, 브로커들.
- 레닌, <제국주의>에서 분명하게 지적한 자본가 브로커들이 오늘날 더욱 포악해진 '카르텔'과 암묵적인 유착관계를 따르는 크고, 작은 은밀한 음모와 비밀들을 생산해낸다. 그리고 독점적인 트러스트들과 자본의 유착 관계도 보고한다. 여러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지만, 도시 건설을 따르는 건축업체, 시공사의 공공 부문, 사익 비리로부터 드러난 착취의 역사와도 일치한다는 점이다. 부르주아지들의 분석은 어떠한 경제주의의 논리로부터 노동 운동을 훼손하도록 뒷받침하는가를 여기서는 다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