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람 선생님과 도토리 약국 ㅣ 돌개바람 52
윤선아 지음, 신지영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21년 5월
평점 :
요즘 괜찮은 저학년 동화 찾기 참 힘들다. (이 이야기를 하자면 기니까 생략.)
아직 말랑말랑한 상상의 뇌가 언제든지 퐁퐁 상상을 들락날락 할 수 있는 나이다.
<람 선생님과 도토리 약국>은 상상과 현실의 연결이 잘 이어져 있다. 마치 줄 인형극처럼 현실의 이야기가 줄을 타고 동화 속 상상을 통해 고스란히 들어가 다시 독자로 하여금 줄을 타고 나의 현실로 나오게 하는 멋진 작품이다.
‘이런 아이 꼭 있다.’
‘맞아. 어른도 그래 ’
오히려 현실의 언어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동화의 상상 언어로 풀어내어 이해하기 쉬운 감성으로 바꾸어 준다.
‘맞아 아이들이 이렇지? 이렇게 생각하고 이렇게 느껴.’
내 아이의 논리전개와 감성을 만난다.
‘그 때 나도 람선생님처럼 따뜻하게 말해 줄 걸’
‘나도 아이의 논리 속에서 아이가 이해 할 수 있도록 말해 줄 걸’
어른의 논리로 고집을 부리고 아이를 인정하지 않았던 어리석음을 다시 뉘우친다.
그런데 아이들만의 이야기만 나오지 않는다. 어른의 이야기도 나온다. 아이들에게 어른의 연약한 감성도 보게 해 준다.
어른과 아이가 분리가 아닌. 서로 다른게 아닌, 우린 서로 필요한 존재들이다.
답은 사랑이다.
그런데 왜 도토리 약국이지?
마지막 작가의 말에서 깜짝 놀랐다.
‘진짜?’
진짜 이야기란다.
‘그래 진짜일 것 같았어’
검색엔진에서 도토리 약국을 찾아본다. 3곳이 찍힌다. 작가님은 어느 지역 도토리 약국일까?
만나 보고 싶다. 아니, 람 선생님을 만나 보고 싶은 거다.
‘선생님, 저도 좀 봐주세요. 저도 사랑이 필요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