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 202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도서
황경란 지음 / 산지니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경란의 소설집 사람들<당신의 자서전>
(이 책을 다 읽지 않고 단편들을 읽어가며 리뷰를 쓸 예정이다. 일종의 읽기 과정의 리뷰.)

첫 문장: 사람들이 바다를 향해서 뛰었다.
마지막 문장: 그 사진 하나가 나를 바라보며 웃고 있다.

화자인 나는 꿈을 꾼다. 바다에 분홍돌고래가 출현하는 꿈이다.

-분명 꿈이었다. 분홍돌고래의 출현이 바다일 수는 없었다. 아마존이어야 옳았다.-


이 문장을 보면서 ?, 돌고래가 바다에 사는 게 옳은 게 아니고?’ 풀리지 않는 분홍돌고래.

분홍돌고래는 진짜 아마존에 산다. 우리는 자신의 범위 안에서만 타자를 판단한다.
위 꿈은 이 글에서 화자가 말하는 사실을 뒤집어 보여주는 편집이다.

 

단편<사람들>에서도 륜은 진실을 찾는다. 금령도, 양춘도, 리켈, 날개. <당신의 자서전>의 화자도 진실을 찾는다. 이 사회에서 진실은 비웃음과 무관심과 외면의 대상이다.

-제가 알고자 하는 진실의 실체는 저입니다.-

, 진실의 실체인 자신에게 조차도 비웃음과 무관심과 외면을 하는 시대이다.

아무리 사랑한다 할지라도 현실에 없는 진실은 버려짐을 당한다. 마치 화자의 엄마처럼. 그 진실을 사랑하면서도 버릴 수 밖에 없는 아버지는 스스로에게 벌을 준다. 그리고 정작 진실을 찾는다는 화자는 진실의 실체인 자신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버린다. 그러나 무의식, 꿈에서도 그 진실을 찾아 헤매고 있다. 인지되지 못하는 마음 깊은 곳에는 어머니가 알려준 자신을 찾는 깊은 갈망으로 가득하다. 그것이 분홍돌고래이다.

평범한 사람들의 죽음을 기리는 전시회. 그곳에는 생과 졸만 적힌 사진들로 하나씩 하나씩 채워져 간다. 화자도 아버지와 어머니가 가장 행복했을 순간의 사진을 놓고 온다. 그리고 자신의 실존의 근원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진 속에서 분홍돌고래와 헤엄치는 사진이 자신을 향해 웃는 것을 발견한다..


나의 깊은 갈망의 진실한 행복은 무엇인가? 나도 그런 행복을 담긴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 분홍 돌고래를 아마존이 아닌 바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아닌가? 정작 나의 진실은 외면한 채 남의 진실을 쫓아 사는 것은 아닌가? 나의 분홍돌고래를 찾아야겠다.

내 부모의 자서전은 내가 아닐까 한다. 그러나 나는 그들의 행복한 실물 사진을 갖고 있지 못하다. 다만 기억에 있을 뿐이다. 실물 사진이 있더라도 기억하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으리라. 나의 부모가 나에게 의미가 되어 남아 있음에 감사하다. 그러기에 내 부모는 또한 나의 자서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