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어린이가 온다 - 교사와 학부모가 알아야 할 디지털 시대 어린이의 발견
이재복 지음 / 출판놀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아이들 이해하기 어렵다고 다들 말한다. 사실, 나도 어릴 때 들었던 말인 것 같다. 세상은 변화하고 있고 그 속에 사는 아이들도 변화하는 것 아닐까?

저자는 옛이야기와 어린이 책들을 예시로 하여 새로운 어린이들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아이들을 디지털 시대 원주민이라고 부른다. 이미지 언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을 이해시키기에 앞서 아이들에게 불안 의식을 강요하는 부정적인 어머니상을 먼저 짚는다. 그리고 이중 목적을 가지고 메시지와 메타 메시지에 차이를 주며 아이들을 이중 구속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말하며 이중 구속에 갇히지 않는 새로운 어린이 캐릭터를 보여 준다. 이를 통해 근대 교육에 익숙한 부모, 교사는 아닌지 점검하게 된다.
레비스트로스의 신화학과 여러 민담 관련 책, 영화 등을 통해 새로운 어린이를 이해하는 접근법은 신비로우면서도 의문이 들기도 한다. 덕분에 이 책에서 언급하는 신화학, 민담 관련 서적, 영화들을 찾아보게 한다.


현대 동화들을 통해 새로운 어린이들을 이해시키는 부분에서는 욕망의 문제들을 언급하며 물질계와 비물질계, 인간과 동물, 인간과 기계. 경계가 허물진 SF판타지 시대를 사는 사이보그. 새로운 어린이는 이미 민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새로운 어린이들의 내면의 사유체계, 작용을 민담 읽기의 실제를 통해 설명한다.

저자가 말한 대로 민담과 신화는 시대를 초월하며 통과해야 하는 세계로서 새로운 어린이를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옛이야기 속의 부모의 모습, 특별히 엄마의 모습과 근대 교육이 낳은 문제점 등을 읽을 때는 불편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내 안에서 뭔가가 반응하는 것이니 나를 살펴보게 된다.

새로운 어린이와 살고 있는 부모와 교사들에게 한 번 즈음 읽고 나누어 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맘 2021-03-01 0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을 다잡고 다잡아도 새로운 어린이들과 생활하며 감정이 앞설 때가 있는 요즘이네요. 새로운 어린이에 대해 깊이있게 이야기하는 책인 듯 해요. 신화학까지 이야기 되는 것 보면요. ^^ 새로운 어린이들을 따라가기 힘든 요즘 더 공부해 봐야겠어요. 엄마 자신을 위해서라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