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호기심 나라 오키도 과학 동화
오키도(OKIDO) 지음, 고정아 옮김 / 문학수첩 리틀북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매번 보게 되는 비를 아무 생각없이 그냥 비구나 하는 것은 어른들이지만 그것을 호기심 어리게 보는 것은 아이들이랍니다. 비가 내리면 왜 이렇게 비가 오는거야 하고 물어보는 아이에게 그냥 오는거야 하는 것보다는 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면 아이가 자연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 같답니다. 오키도에서 벌어지는 호기심 이야기들은 그런 아이에게 물음표를 던져주면서 그 물음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해지니 더욱 좋을 것 같답니다. 다양한 친구들도 나오니 이야기가 어렵지않고 재미있게 다가 오고 말이지요.

친구들과 해바라기를 기르게된 메시는 시든 꽃을 보고 시무륵해진답니다. 친구 잼에게 가서 식물에게 필요한 것을 배우게 되지요. 식물에게 필요한 3가지 햇빛, 물, 공기라고 한답니다. 메시의 해바라기가 시든 이유는 물이 없어서 라고 한답니다. 친구들은 잼에게 물을 어떻게 구하지 묻는답니다. 잼은 쉽게 수돗물을 사용하라고 하지만 한동안 비가 오지 않아서 그것도 쉽지 않은 물구하기 랍니다. 친구들은 산으로 가서 구름을 만나기로 한답니다. 귀여운 구름 플러프를 만나지요. 구름 친구 플러프는 공기중에 작은 물방울들을 모으기 시작한답니다. 그러고는 몸을 점점 키우면서 비 내릴 준비를 한것이지요. 오키도 전체에 시우너한 비를 내기게 해준 구름친구 덕분에 친구들은 물걱정을 덜 수 있었답니다. 그리고 이야기를 보면서 비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것을 자연 스럽게 접근도 하고 말이지요. 지금도 날씨가 많이 덥고 비가 오지 않는 날씨지만 이 날씨가 다시 비가 오는 날씨가 되는 것은 오키도 나라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하네요. 더운 날씨로 올라간 물방울들이 다시 비가 되어 오는것 이게 비가 만들어지는 과정인 것이지요. 비는 그냥 오는 것지 하고만 말했는데 아이에게 자연에 현상을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알게하니 더욱 비를 기다리는 우리아이모습이 귀엽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논리교과서
강영계 지음 / C&A에듀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아이들도 글이라는 것을 잘해야 학교에서 공부를 하거나 시험을 볼때 많은 도움을 받는 다고 한답니다. 글이 많이 중요해진 것이지요. 글을 무작정 쓰는것이 아니라 논리에 맞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이지요. 문학을 통해서 하는 논리는 자신이 알던 문학들중 하나를 골라서 따라하기도 좋을 듯해서 어렵지 않게 적용이 가능 할 듯하더라구요. 님의 침묵, 광화사,어린왕자 등  정말 한번쯤은 접했을 문학 작품으로 합리적인 논리를 서술 한답니다. 명제나 직접추리, 간접추리같이 글을 쓸 때 필요한 부분이 어떻게 글 안에서 찾아서 생각으로 연결을 할 수 있는 것을 풀어서 놓았답니다. 문학을 그냥 읽는 것이 아니라 문학을 읽은 후에 그 문학에 대한 질문을 던져 준답니다. 그냥 글로만 일던 생각과는 다르게  말이지요. 글로만 읽기에는 문학으로써 보지만 하나 씩에 주제를 던지면서 질문에 맞춰서 보다보면 다른 각도를 찾는 것이지요. 논리란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답니다. 그리고 질문을 던져 주면서도 팁이 나오는데 명제는 무엇인지 등 글에서 생각을 하게 하는 부분에 설명을 팁으로 체크를 해주니 나름 나만에 체크를 하게 한답니다. 논리를 합리적으로 다가 가다보면 이 논리를 경험에서도 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답니다. 유비추리,가설등으로 논리의 기본은 경험론이라는 말이 새롭더라구요. 경험편에서는 또다른 문학들로 접근을하면서 문학을 다시 분해를 하듯이 우리가 체크를해야 하는 부분들로 나뉘어 준답니다. 글을 그냥 쓰는 것보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생각을 더해가면서 이해를 도우면서 쓰는 글이라면 정말 논리적인 글을 접근하는데 조금은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답니다. 문학을 읽으면서 어떤 부분을 되돌아보면서 알아야하는 것은 문학에 마지막 부분에서 다시한번 알게한답니다. 그런 부분까지 체크하면서 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올린다면 차근히 글을 이해하는 능력도 올라가지 않을까 한답니다. 서술형이나 논술이 많이 어렵다고 하지만 노력으로 그것을 내것 으로 만드는 것도 아이에 몫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게하네요. 다양한 문학을 읽게 하면서 지식에 무게도 올려 주고 말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산은 너무 급해 물 아저씨 과학 그림책 8
아고스티노 트라이니 글.그림, 유엔제이 옮김 / 예림당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지구에 완난화로 화산 폭발이나 다양한 자연 재해를 볼 수 있는데 화산에 대한 이야기는 호기심이 대단한 우리 아이에게 딱인듯 싶더라구요. 화산이 어떻게 발생을 하는지 등을 물 아저씨와 함께 알아 보는 것은 새로이 과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것 같답니다. 화산을 배우면서 광석이나 지표에 대한 공부도 덤으로 할 수 있으니 화산을 이해 하기에는 적함할 듯 싶네요. 어렵지 않게 아이들에 눈 높이로 이야기가 있어서 더욱 이해는 쉬울것 같답니다.

물아저씨에 여행을 통해서 만나게되는 화산이 증후 물 아저씨는 문어 지아니를 바다에서 만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답니다. 그런데 바다 깊은 곳에서 올라는 물거품과 이상한 냄새로 왜그러지라는 호기심을 갖게 됩니다. 어린 화산이 바다 깊이에서 생성이 되는 것이지요. 귀엽다고 생각하 화산은 점저 자란답니다. 용암과 연기를 내면서 말이지요. 화산은 처음부터 클꺼라는 생각 했는데 그러치는 안다는 것을 알게 된답니다. 물아저씨는 바다에서 땅속 깊에 있는 마그마를 만나지요. 마그마는 다양한 일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답니다. 암석과 광물을 만들어 내는 마그마 그냥 뜨거운 것이고 생각했는데 그런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놀라워요. 화산을 차근히 알아보면서 화산을 이해하게 되면서 집에서 마그마를 실험할 수 있는 재미있는 실험 부분도 나오니 아이가 가장 좋아한답니다. 그런것은 익히면서 과학을 하면고 실습까지 하면 더욱 기억도 오래 가니 너무 좋은 것 같다는 생각에 과학에 관심을 더가게 만드네요. 화산은 무섭지만 알면 알 수록 다양함을 느낄 수 있게하는 신기한 녀석같네요. 아이와 화산을 더 알아볼듯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록달록 색깔이 좋아 물 아저씨 과학 그림책 7
아고스티노 트라이니 글.그림, 유엔제이 옮김 / 예림당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은 다양한 분야가 많고 여러가지를 알 수 있는 것인데 그중에서 물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과학도 다양하답니다. 물아저씨와 함께하는 과학이라 아이가 과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것 같답니다. 물을 통해서 색과 혼합, 빛등을 배울 수 있다니 물은 정말 다양한 것을 한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신기한 물질이랍니다. 귀여운 케리으로 그려진 물과함께 하는 과학이야기는 우리아이에게 새로운 호기심을 이르켜준답니다.

작은 웅덩이에서 시작하는 물이야기 더운 날이여서 물이 점점 말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답니다. 물은 햇살이 뜨거우면 말라간다는 것을 보면서 카르미노라는 화가가 물아저씨옆으로 나타난답니다. 화가이니 그림을 그리기위해서 온것이지요. 화가가 물을 통에 담아서 그림을 그리면서 물아저씨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답니다. 물감이 이색저색 섞이면서 다양한 컬러가 나타나는 것이지요. 색의 변화는 정말 신기하고 할 수록 재미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비가내리면서 물아저씨 긴 여행을 시작한답니다. 바다에서 하루를 지낸 아저씨앞에 검은새가 나타나면서 물아저씨에 새로운 하루가 시작한답니다. 새를 따라 간 도시를 보고 공기아줌마와 함께 도시에 색을 입히지요. 우울해 하던 사람들도 물아저씨를 통해서 다시 활기를 찾는 답니다. 물아저씨에 다양한 일들을 통해서 물에 대단함을 알게 된답니다. 그리고 다양한 실험을 하는 것도 나와서 아이와 함께 하면서 물을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답니다. 색을 가지고 하는 놀이와 무지개 만들기등 다양한 과학 놀이를 말이지요. 물과하는 과학이야기 아이가 이해하기 너무 편리한 듯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틱맨이 알려 주는 자동차와 기차의 원리 스틱맨이 알려 주는 모든 것의 원리 시리즈
존 판던 글, 존 폴 그림, 장석봉 옮김 / 봄나무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남자아이들이라면 기차나 자동차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거의 없다. 장난감으로만 가지고 놀때는 무척재미있게 놀지만 그 속을 알고 싶어하는 아이는 별루 안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른이 된후에는 자동차 안까지 관심을 가지지만 말이다. 우리 아이는 자동차와 기차에 대한 원리를 매번 궁금해 해서 설명이 힘든 부분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설명으로 아이가 이해를 도움수 있는 것은 나름에 도움이 되어주는 것이 있다. 기계적인 자동차와 기차의 원리를 찾아가는 것도 나름 과학에 한분야라는 생각에 재미있게 다가 갈듯하다.

자동차와 기차의 역사를 시작으로 그안을 보기로한답니다. 1770년에 발명된 자동차부터 지금의 자동차들 까지 자동차 역사도 우리 인간에 역사 만큼 오랜기간을 발전한것을 알 수 있답니다. 자동차에 다양한 기능들을 볼수 있답니다. 연료탱크, 배기관, 엔진등 말이지요. 자동차가 어떤 힘으로 달려 갈 수 있는 것을 4행정 사이클로 나온답니다. 아이는 이해하는게 조금은 낯선 얼굴이지만 자동차가 그냥 가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작용으로 간다는 것은 이해를 하는 듯하더라구요. 쉽게 타던 차가 새롭게 보인다고 하니 말이지요. 요즘 발명되어가고 있는 특별한 자동차들 전기, 태양광 자동차들에 대한 것도 알아 볼 수 있답니다. 자동차 다음으로 자주 타게 되는 기차는 큰덩치에 한번 놀라지만 그 안을 바라보니 다양한 것들이 있답니다. 교류발전, 디젤엔진, 공기탱크등 다양한 기능들이 기차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지요. 기차가 빠르게 달려 갈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있어서 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 다른 기차들에 종류도 볼 수 있답니다. 다양한 각도로 바라보는 기차와 자동차에 대한 것이 정말 재미있으면서 아이에게 호기심을 자극해 준답니다. 이젠 눈으로 보는 것들이 새롭게 볼 일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