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괴도 뤼팽 추리 걸작선
모리스 르블랑 지음 / 해피북스(북키드)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8.7






 프랑스인들이 영국의 셜록 홈즈의 라이벌로 내세우는 캐릭터가 바로 괴도 뤼팽 - '루팡'은 전적으로 일본식 발음이다. lupin은 프랑스식으로 당연히 뤼팽으로 읽힌다. - 이다. 이것 때문에 100년 가까이 지나도 이 시리즈가 욕을 먹고 있는데... 이건 모리스 르블랑이 당대 최고의 탐정 캐릭터인 셜록 홈즈를 너무 의식해서 벌어진 해프닝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도 설마 이렇게 파장이 클 줄은 몰랐겠지. 하필 셜록 홈즈를 등장시켜서 이 시리즈가 이래저래 평가절하되고 있는 걸 보면 참 안타깝다. 자업자득이란 말로 가볍게 넘기기엔 말이지.

 어떻게 보면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뤼팽은 여러모로 홈즈와는 정반대 유형의 - 일단 항상 어떤 여인과 사랑에 빠지는 것만 봐도 그렇다. - 캐릭터다. 우리나라에선 홍길동과 함께 의적의 대명사로 인식되는 뤼팽은 100년 전 캐릭터라기엔 지나치게 시대를 초월한 면면을 보여준다. 마술사, 생물 화학자, 그리고 유도의 고수에게 가르침을 받는 등 범죄자로서의 만반의 준비를 갖춘 뤼팽은 온갖 기상천외한 절도 행위로 대도시에 맞먹는 부를 축적한다. 변장의 달인이고 격투 실력도 수준급이며 철벽의 요새도 가볍게 뛰어넘어 원하는 물건을 손에 넣고 심지어 옥중에서도 자기 뜻대로 일을 진행시키는 등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특히 뤼팽이란 캐릭터의 가장 재밌는 점은 사전에 자신이 물건을 훔칠 것을 물건의 주인에게 정중히 통보한다는 것이다. 정중함을 가장한 무례함이란 것만큼 재밌는 것도 없는데 이게 무려 100년 전의 유머라니 믿기지 않는다. 또 미술품에 관련해서 전문가적 식별을 지닌 그는 모조품이 아닌 진품을 - 물건을 훔치러 들어갔더니 전부 진품이 아니라서 편지를 놓고 간 게 백미. 진품이 없으니 그냥 가겠소. - 취하는 등 차원이 다른 범죄 행위를 선보이는데 이쯤 되면 신기하기 그지없다.

 그야말로 혁신적인 캐릭터성을 지닌 뤼팽은 사람마다, 나라마다 다른 취급을 받긴 한다. 나한테는 PS2 게임 <슬라이 쿠퍼> 때문에 더없이 친숙한데 그 게임에서의 슬라이가 보였던 것처럼 의적다운, 그러니까 범죄자임에도 불구하고 마냥 싫어할 수 없는 면모가 느껴져 나는 마냥 싫어할 수 없었다. 작품의 재미는 둘째 치고.


 캐릭터를 좋아하는 것에 비해 본편의 이야기는 그렇게 좋아하진 않는데 아무래도 통상적인 추리소설이 아닌 모험 소설에 속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뤼팽' 시리즈가 추리소설로 불리기엔 액션과 비밀 장치가 난무하고 공정한 추리가 힘들다는 점에서 당혹스러울 사람도 있을 것이다. 대신 범죄 소설 다운 활극이 있어 그 나름대로 즐길 수 있었다. 이 활극 부분이 내 개인적인 기대에 못 미치니 실망스럽긴 하지만 캐릭터가 워낙 마음에 들어 이래저래 넘어갈 수 있는, 나에게 있어 아주 희한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캐릭터다.

 이러한 뤼팽의 위치는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변치 않을 듯하다. 추리소설, 특히 고전에 속할수록 주인공인 탐정은 정의의 편을 자처하기 마련이다. 때론 낯간지러울 정도인데 뤼팽은 그렇지 않다. 그는 정의나 악을 자처하지도 구분 짓지도 않는다. 비록 범죄자지만 부자의 물건만 훔치고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 움직이다 실수도 범할 때도 있고 살인은 절대 피하고 - 이 부분이 배트맨에게 영향을 준 부분이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 낭만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걸 보면 정말 경탄스럽다. 어느 틀로도 구분 짓지 못할 이 자유분방함 때문에 도무지 미워하지 못하겠다. 이러니 계속 읽을 수밖에.



p.s '뤼팽' 시리즈는 성귀수 씨가 번역한 까치글방의 전집으로도 접하긴 했지만 저 '새희망'이라는 출판사에서 펴낸 이 책이야말로 '뤼팽' 시리즈의 시작에 걸맞는 편집을 거쳤다고 생각한다. 단편들의 구성이 원작과는 판이한데 감옥에 갇힌 뤼팽이 손 하나 까딱 않고 대저택의 물건을 훔치는 것에서 시작해 그의 어린 시절, 아직 무명이었던 시절, 어떻게 감옥에 갇혔고 셜록 홈즈와 엉키고 감옥에서 어떻게 탈출하는지. 역순으로 진행되는 통에 더욱 궁금증을 유발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원작도 갖추지 못한 구성미를 뽐내지 않았나 싶다. 다시 읽어도 재밌었다. 뤼팽의 다른 활극도 이 출판사에서 펴내지 않은 게 아쉬울 뿐이다.

나 자신조차도 내가 누구인지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거울을 보아도 내 자신을 알 수 없게 되었단 말이오.
무엇 때문에 같은 모습을 갖고 있어야 하냐구요? 왜 늘 같은 성격으로 살아가야 하느냐 이 말입니다. 내가 하는 행동만으로도 나라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바로 이 사람이 아르센 뤼팽이다, 라고 아무도 단언할 수 없다는 건 참으로 즐거운 일입니다. 다만, 이런 놀라운 일은 아르센 뤼팽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사람들에게 인식되는 것이겠지요. - 219~22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